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여야 사드 배치 신경전…“北, 주체 불분명한 도발 예상”
입력 2016.10.05 (21:38) 수정 2016.10.05 (22:15) 뉴스 9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멘트>
국회 국방위원회에서는 사드 배치가 필요하다는 여당과 국회 비준이 필요하다는 야당이 팽팽히 맞섰습니다.
한민구 국방장관은 북한이 책임을 떠넘기는 방식의 국지 도발을 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우정화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회 국방위 국정감사는 시작부터 사드 배치를 놓고 여야간 신경전이 펼쳐졌습니다.
<녹취> 이종명(국회 국방위원/새누리당) : "흔들림 없이(사드)배치를 추진을 해줬으면 좋겠습니다"
<녹취> 이철희(국회 국방위원/더민주) : "(사드배치는)국무회의 심의 거치고, 국회비준 받으세요."
야당 의원들은 사드 배치 부지가 성주 골프장으로 다시 바뀐 것은 부실 조사 때문이란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녹취> 서영교(국회 국방위원/무소속) : "성주 성산포대는 발사대 6대 정도도 배치못하는 그런 위치였다"
<녹취> 한민구(국방부장관) : "기지의 세부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저희들이 여러가지 군사 작전 필요성을 (검토했습니다)."
여당 의원들은 북한의 잠수함탄도미사일에 대비한 원자력잠수함 등의 필요성을 제기했습니다.
<녹취> 정진석(국회 국방위원/새누리당) : "SLBM(잠수함탄도미사일) 발사에 대비해서 제가 원자력추진잠수함 건조해야 된다고.."
<녹취> 한민구(국방부장관) : "당장 그것을 합니다, 안 합니다 이렇게 답변드리는 것은 적절치 않은 것 같고요"
한민구 국방장관은 북한이 책임을 전가하는 새로운 유형의 국지 도발을 감행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녹취> 한민구(국방부 장관) : "주체가 불분명하거나 의도파악이 제한되거나 이러한 자기들의 책임을 전가할 수 있는 (도발 가능성 있습니다.)"
한 장관은 한일 군사정보 보호 협정에 대해선 군사적 필요성이 존재하지만, 신중하게 접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우정화입니다.
국회 국방위원회에서는 사드 배치가 필요하다는 여당과 국회 비준이 필요하다는 야당이 팽팽히 맞섰습니다.
한민구 국방장관은 북한이 책임을 떠넘기는 방식의 국지 도발을 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우정화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회 국방위 국정감사는 시작부터 사드 배치를 놓고 여야간 신경전이 펼쳐졌습니다.
<녹취> 이종명(국회 국방위원/새누리당) : "흔들림 없이(사드)배치를 추진을 해줬으면 좋겠습니다"
<녹취> 이철희(국회 국방위원/더민주) : "(사드배치는)국무회의 심의 거치고, 국회비준 받으세요."
야당 의원들은 사드 배치 부지가 성주 골프장으로 다시 바뀐 것은 부실 조사 때문이란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녹취> 서영교(국회 국방위원/무소속) : "성주 성산포대는 발사대 6대 정도도 배치못하는 그런 위치였다"
<녹취> 한민구(국방부장관) : "기지의 세부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저희들이 여러가지 군사 작전 필요성을 (검토했습니다)."
여당 의원들은 북한의 잠수함탄도미사일에 대비한 원자력잠수함 등의 필요성을 제기했습니다.
<녹취> 정진석(국회 국방위원/새누리당) : "SLBM(잠수함탄도미사일) 발사에 대비해서 제가 원자력추진잠수함 건조해야 된다고.."
<녹취> 한민구(국방부장관) : "당장 그것을 합니다, 안 합니다 이렇게 답변드리는 것은 적절치 않은 것 같고요"
한민구 국방장관은 북한이 책임을 전가하는 새로운 유형의 국지 도발을 감행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녹취> 한민구(국방부 장관) : "주체가 불분명하거나 의도파악이 제한되거나 이러한 자기들의 책임을 전가할 수 있는 (도발 가능성 있습니다.)"
한 장관은 한일 군사정보 보호 협정에 대해선 군사적 필요성이 존재하지만, 신중하게 접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우정화입니다.
- 여야 사드 배치 신경전…“北, 주체 불분명한 도발 예상”
-
- 입력 2016-10-05 21:40:22
- 수정2016-10-05 22:15:15

<앵커 멘트>
국회 국방위원회에서는 사드 배치가 필요하다는 여당과 국회 비준이 필요하다는 야당이 팽팽히 맞섰습니다.
한민구 국방장관은 북한이 책임을 떠넘기는 방식의 국지 도발을 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우정화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회 국방위 국정감사는 시작부터 사드 배치를 놓고 여야간 신경전이 펼쳐졌습니다.
<녹취> 이종명(국회 국방위원/새누리당) : "흔들림 없이(사드)배치를 추진을 해줬으면 좋겠습니다"
<녹취> 이철희(국회 국방위원/더민주) : "(사드배치는)국무회의 심의 거치고, 국회비준 받으세요."
야당 의원들은 사드 배치 부지가 성주 골프장으로 다시 바뀐 것은 부실 조사 때문이란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녹취> 서영교(국회 국방위원/무소속) : "성주 성산포대는 발사대 6대 정도도 배치못하는 그런 위치였다"
<녹취> 한민구(국방부장관) : "기지의 세부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저희들이 여러가지 군사 작전 필요성을 (검토했습니다)."
여당 의원들은 북한의 잠수함탄도미사일에 대비한 원자력잠수함 등의 필요성을 제기했습니다.
<녹취> 정진석(국회 국방위원/새누리당) : "SLBM(잠수함탄도미사일) 발사에 대비해서 제가 원자력추진잠수함 건조해야 된다고.."
<녹취> 한민구(국방부장관) : "당장 그것을 합니다, 안 합니다 이렇게 답변드리는 것은 적절치 않은 것 같고요"
한민구 국방장관은 북한이 책임을 전가하는 새로운 유형의 국지 도발을 감행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녹취> 한민구(국방부 장관) : "주체가 불분명하거나 의도파악이 제한되거나 이러한 자기들의 책임을 전가할 수 있는 (도발 가능성 있습니다.)"
한 장관은 한일 군사정보 보호 협정에 대해선 군사적 필요성이 존재하지만, 신중하게 접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우정화입니다.
국회 국방위원회에서는 사드 배치가 필요하다는 여당과 국회 비준이 필요하다는 야당이 팽팽히 맞섰습니다.
한민구 국방장관은 북한이 책임을 떠넘기는 방식의 국지 도발을 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우정화 기자입니다.
<리포트>
국회 국방위 국정감사는 시작부터 사드 배치를 놓고 여야간 신경전이 펼쳐졌습니다.
<녹취> 이종명(국회 국방위원/새누리당) : "흔들림 없이(사드)배치를 추진을 해줬으면 좋겠습니다"
<녹취> 이철희(국회 국방위원/더민주) : "(사드배치는)국무회의 심의 거치고, 국회비준 받으세요."
야당 의원들은 사드 배치 부지가 성주 골프장으로 다시 바뀐 것은 부실 조사 때문이란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녹취> 서영교(국회 국방위원/무소속) : "성주 성산포대는 발사대 6대 정도도 배치못하는 그런 위치였다"
<녹취> 한민구(국방부장관) : "기지의 세부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저희들이 여러가지 군사 작전 필요성을 (검토했습니다)."
여당 의원들은 북한의 잠수함탄도미사일에 대비한 원자력잠수함 등의 필요성을 제기했습니다.
<녹취> 정진석(국회 국방위원/새누리당) : "SLBM(잠수함탄도미사일) 발사에 대비해서 제가 원자력추진잠수함 건조해야 된다고.."
<녹취> 한민구(국방부장관) : "당장 그것을 합니다, 안 합니다 이렇게 답변드리는 것은 적절치 않은 것 같고요"
한민구 국방장관은 북한이 책임을 전가하는 새로운 유형의 국지 도발을 감행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녹취> 한민구(국방부 장관) : "주체가 불분명하거나 의도파악이 제한되거나 이러한 자기들의 책임을 전가할 수 있는 (도발 가능성 있습니다.)"
한 장관은 한일 군사정보 보호 협정에 대해선 군사적 필요성이 존재하지만, 신중하게 접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우정화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