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시골 학교의 기적…“자연에서 웃음꽃”
입력 2016.10.21 (21:45) 수정 2016.10.21 (22:00) 뉴스 9
<앵커 멘트>
학교에 다닐 나이의 아이들 수가 줄어들다보니 문을 닫는 시골 학교들이 늘고 있는데요.
자연 환경 체험 학습 프로그램을 운영하다보니 오히려 도시 학생들이 전학을 오는 시골 학교들이 있다고 합니다.
이철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학교에서 나온 학생들이 도착한 곳은 벼가 익은 논두렁, 벼 베기 수업이 시작됐습니다.
교사가 홀태로 옛날 방식의 탈곡 시범을 보여주자 아이들의 탄성이 이어집니다.
<녹취> "훑고 돌려서"
<녹취> "와 엄청 나온다"
직접 낫으로 벼를 베고, 짚을 꼬아 새끼줄도 만들어 봅니다.
도시의 학생들은 이 모든 일들이 신기합니다.
<인터뷰> 정지유(인천 가림초 6학년) : "저희 동네에서 할 수 없는 걸 할 수 있으니까 정말 좋은 경험이 많이 쌓인 것 같아요."
강화도의 2개 학교가 시행 중인 자연 학습 프로그램은 이제 입소문을 타면서 지원자가 정원을 넘기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정아(위탁 학생 학부모) : "아이들이 공부에 대한 스트레스가 없어요. 계속 웃고 지내는 것 같고요. 저희도 같이 좋은 것 같아요."
위탁 체험 실시 후 전교생 서른명 남짓의 시골 학교들로 1년 만에 12명이 도시에서 전학을 왔습니다.
<인터뷰> 봉하준(강화 양사초 전학생) : "무엇보다 선생님들이 1대1로 수업을 해주시는게 좋은 것 같아요. 발표도 1대1로 해주시고."
폐교 위기에 몰렸던 학교가 자연환경을 이용한 교육프로그램으로 새로운 길을 찾게 된겁니다.
<인터뷰> 한재협(강화 양사초 교사) : "나가면 자연이 교재거든요. 교과서가 자연이 되고요. 그걸 통해서 체육이나 음악 미술 모든게 다 연계가 되기 때문에."
학교 측은 도시학생의 전학을 위해 마을의 빈 주택을 주거 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마련 중입니다.
KBS 뉴스 이철호입니다.
학교에 다닐 나이의 아이들 수가 줄어들다보니 문을 닫는 시골 학교들이 늘고 있는데요.
자연 환경 체험 학습 프로그램을 운영하다보니 오히려 도시 학생들이 전학을 오는 시골 학교들이 있다고 합니다.
이철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학교에서 나온 학생들이 도착한 곳은 벼가 익은 논두렁, 벼 베기 수업이 시작됐습니다.
교사가 홀태로 옛날 방식의 탈곡 시범을 보여주자 아이들의 탄성이 이어집니다.
<녹취> "훑고 돌려서"
<녹취> "와 엄청 나온다"
직접 낫으로 벼를 베고, 짚을 꼬아 새끼줄도 만들어 봅니다.
도시의 학생들은 이 모든 일들이 신기합니다.
<인터뷰> 정지유(인천 가림초 6학년) : "저희 동네에서 할 수 없는 걸 할 수 있으니까 정말 좋은 경험이 많이 쌓인 것 같아요."
강화도의 2개 학교가 시행 중인 자연 학습 프로그램은 이제 입소문을 타면서 지원자가 정원을 넘기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정아(위탁 학생 학부모) : "아이들이 공부에 대한 스트레스가 없어요. 계속 웃고 지내는 것 같고요. 저희도 같이 좋은 것 같아요."
위탁 체험 실시 후 전교생 서른명 남짓의 시골 학교들로 1년 만에 12명이 도시에서 전학을 왔습니다.
<인터뷰> 봉하준(강화 양사초 전학생) : "무엇보다 선생님들이 1대1로 수업을 해주시는게 좋은 것 같아요. 발표도 1대1로 해주시고."
폐교 위기에 몰렸던 학교가 자연환경을 이용한 교육프로그램으로 새로운 길을 찾게 된겁니다.
<인터뷰> 한재협(강화 양사초 교사) : "나가면 자연이 교재거든요. 교과서가 자연이 되고요. 그걸 통해서 체육이나 음악 미술 모든게 다 연계가 되기 때문에."
학교 측은 도시학생의 전학을 위해 마을의 빈 주택을 주거 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마련 중입니다.
KBS 뉴스 이철호입니다.
- 시골 학교의 기적…“자연에서 웃음꽃”
-
- 입력 2016-10-21 21:56:02
- 수정2016-10-21 22:00:59

<앵커 멘트>
학교에 다닐 나이의 아이들 수가 줄어들다보니 문을 닫는 시골 학교들이 늘고 있는데요.
자연 환경 체험 학습 프로그램을 운영하다보니 오히려 도시 학생들이 전학을 오는 시골 학교들이 있다고 합니다.
이철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학교에서 나온 학생들이 도착한 곳은 벼가 익은 논두렁, 벼 베기 수업이 시작됐습니다.
교사가 홀태로 옛날 방식의 탈곡 시범을 보여주자 아이들의 탄성이 이어집니다.
<녹취> "훑고 돌려서"
<녹취> "와 엄청 나온다"
직접 낫으로 벼를 베고, 짚을 꼬아 새끼줄도 만들어 봅니다.
도시의 학생들은 이 모든 일들이 신기합니다.
<인터뷰> 정지유(인천 가림초 6학년) : "저희 동네에서 할 수 없는 걸 할 수 있으니까 정말 좋은 경험이 많이 쌓인 것 같아요."
강화도의 2개 학교가 시행 중인 자연 학습 프로그램은 이제 입소문을 타면서 지원자가 정원을 넘기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정아(위탁 학생 학부모) : "아이들이 공부에 대한 스트레스가 없어요. 계속 웃고 지내는 것 같고요. 저희도 같이 좋은 것 같아요."
위탁 체험 실시 후 전교생 서른명 남짓의 시골 학교들로 1년 만에 12명이 도시에서 전학을 왔습니다.
<인터뷰> 봉하준(강화 양사초 전학생) : "무엇보다 선생님들이 1대1로 수업을 해주시는게 좋은 것 같아요. 발표도 1대1로 해주시고."
폐교 위기에 몰렸던 학교가 자연환경을 이용한 교육프로그램으로 새로운 길을 찾게 된겁니다.
<인터뷰> 한재협(강화 양사초 교사) : "나가면 자연이 교재거든요. 교과서가 자연이 되고요. 그걸 통해서 체육이나 음악 미술 모든게 다 연계가 되기 때문에."
학교 측은 도시학생의 전학을 위해 마을의 빈 주택을 주거 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마련 중입니다.
KBS 뉴스 이철호입니다.
학교에 다닐 나이의 아이들 수가 줄어들다보니 문을 닫는 시골 학교들이 늘고 있는데요.
자연 환경 체험 학습 프로그램을 운영하다보니 오히려 도시 학생들이 전학을 오는 시골 학교들이 있다고 합니다.
이철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학교에서 나온 학생들이 도착한 곳은 벼가 익은 논두렁, 벼 베기 수업이 시작됐습니다.
교사가 홀태로 옛날 방식의 탈곡 시범을 보여주자 아이들의 탄성이 이어집니다.
<녹취> "훑고 돌려서"
<녹취> "와 엄청 나온다"
직접 낫으로 벼를 베고, 짚을 꼬아 새끼줄도 만들어 봅니다.
도시의 학생들은 이 모든 일들이 신기합니다.
<인터뷰> 정지유(인천 가림초 6학년) : "저희 동네에서 할 수 없는 걸 할 수 있으니까 정말 좋은 경험이 많이 쌓인 것 같아요."
강화도의 2개 학교가 시행 중인 자연 학습 프로그램은 이제 입소문을 타면서 지원자가 정원을 넘기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정아(위탁 학생 학부모) : "아이들이 공부에 대한 스트레스가 없어요. 계속 웃고 지내는 것 같고요. 저희도 같이 좋은 것 같아요."
위탁 체험 실시 후 전교생 서른명 남짓의 시골 학교들로 1년 만에 12명이 도시에서 전학을 왔습니다.
<인터뷰> 봉하준(강화 양사초 전학생) : "무엇보다 선생님들이 1대1로 수업을 해주시는게 좋은 것 같아요. 발표도 1대1로 해주시고."
폐교 위기에 몰렸던 학교가 자연환경을 이용한 교육프로그램으로 새로운 길을 찾게 된겁니다.
<인터뷰> 한재협(강화 양사초 교사) : "나가면 자연이 교재거든요. 교과서가 자연이 되고요. 그걸 통해서 체육이나 음악 미술 모든게 다 연계가 되기 때문에."
학교 측은 도시학생의 전학을 위해 마을의 빈 주택을 주거 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마련 중입니다.
KBS 뉴스 이철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 9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이철호 기자 manjeok@kbs.co.kr
이철호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