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학점 때문에 택배 분류에 동원된 中 대학생들
입력 2016.11.28 (12:48) 수정 2016.11.28 (12:57) 뉴스 12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멘트>
중국판 블랙 프라이데이로 불리는 '광군제' 이후 중국 전역이 택배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택배 분류 작업에 대학생들까지 대거 동원돼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리포트>
산시 성의 택배 회사 물류 센터.
택배 분류 작업을 하는 이들은 대부분 실습을 나온 대학생들입니다.
<인터뷰> 산시 교통 직업 기술 대학 학생 : "학점 때문이죠. 실습 학점을 얻지 못하면 내년에 재수강해야 해요."
택배 회사들은 해마다 광군제 직후 심각한 인력난에 시달립니다.
학교 측은 교육의 일부라고 주장하는데요.
<인터뷰> 산시성 교통 직업 기술 대학 관계자 : "많은 학생들이 한꺼번에 실습할 장소를 섭외하기가 정말 쉽지 않습니다."
학생들이 전공과 관련도 없는 곳에서 하루 열 시간 씩 일을 하고 받는 돈도 매우 적습니다.
대학 측은 학생들의 실습을 교육 당국에 보고해야 한다는 규정도 지키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중국판 블랙 프라이데이로 불리는 '광군제' 이후 중국 전역이 택배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택배 분류 작업에 대학생들까지 대거 동원돼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리포트>
산시 성의 택배 회사 물류 센터.
택배 분류 작업을 하는 이들은 대부분 실습을 나온 대학생들입니다.
<인터뷰> 산시 교통 직업 기술 대학 학생 : "학점 때문이죠. 실습 학점을 얻지 못하면 내년에 재수강해야 해요."
택배 회사들은 해마다 광군제 직후 심각한 인력난에 시달립니다.
학교 측은 교육의 일부라고 주장하는데요.
<인터뷰> 산시성 교통 직업 기술 대학 관계자 : "많은 학생들이 한꺼번에 실습할 장소를 섭외하기가 정말 쉽지 않습니다."
학생들이 전공과 관련도 없는 곳에서 하루 열 시간 씩 일을 하고 받는 돈도 매우 적습니다.
대학 측은 학생들의 실습을 교육 당국에 보고해야 한다는 규정도 지키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 학점 때문에 택배 분류에 동원된 中 대학생들
-
- 입력 2016-11-28 12:50:26
- 수정2016-11-28 12:57:06

<앵커 멘트>
중국판 블랙 프라이데이로 불리는 '광군제' 이후 중국 전역이 택배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택배 분류 작업에 대학생들까지 대거 동원돼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리포트>
산시 성의 택배 회사 물류 센터.
택배 분류 작업을 하는 이들은 대부분 실습을 나온 대학생들입니다.
<인터뷰> 산시 교통 직업 기술 대학 학생 : "학점 때문이죠. 실습 학점을 얻지 못하면 내년에 재수강해야 해요."
택배 회사들은 해마다 광군제 직후 심각한 인력난에 시달립니다.
학교 측은 교육의 일부라고 주장하는데요.
<인터뷰> 산시성 교통 직업 기술 대학 관계자 : "많은 학생들이 한꺼번에 실습할 장소를 섭외하기가 정말 쉽지 않습니다."
학생들이 전공과 관련도 없는 곳에서 하루 열 시간 씩 일을 하고 받는 돈도 매우 적습니다.
대학 측은 학생들의 실습을 교육 당국에 보고해야 한다는 규정도 지키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중국판 블랙 프라이데이로 불리는 '광군제' 이후 중국 전역이 택배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택배 분류 작업에 대학생들까지 대거 동원돼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리포트>
산시 성의 택배 회사 물류 센터.
택배 분류 작업을 하는 이들은 대부분 실습을 나온 대학생들입니다.
<인터뷰> 산시 교통 직업 기술 대학 학생 : "학점 때문이죠. 실습 학점을 얻지 못하면 내년에 재수강해야 해요."
택배 회사들은 해마다 광군제 직후 심각한 인력난에 시달립니다.
학교 측은 교육의 일부라고 주장하는데요.
<인터뷰> 산시성 교통 직업 기술 대학 관계자 : "많은 학생들이 한꺼번에 실습할 장소를 섭외하기가 정말 쉽지 않습니다."
학생들이 전공과 관련도 없는 곳에서 하루 열 시간 씩 일을 하고 받는 돈도 매우 적습니다.
대학 측은 학생들의 실습을 교육 당국에 보고해야 한다는 규정도 지키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뉴스 12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KBS
KBS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