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자체 개발한 스텔스 전투기가 방위장비청으로 정식 인도된 뒤 첫 시험비행에 성공했다.
30일 산케이신문은 방위장비청이 일본의 첫 스텔스 전투기인 '선진기술실증기'(X2)의 시험비행을 전날 기후 현 가카미가하라 시 소재 기후시험장에서 진행했다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X2는 지난 4월 아이치 현 고마키 기지를 이륙해 30분가량 시험비행을 한 뒤 기후 기지에 착륙한 적이 있다.
당시 일본은 미국, 러시아, 중국에 이어 유인 스텔스기의 비행에 성공한 4번째 국가로 주목받았다.
산케이는 이번 시험비행이 X2가 지난 6월 방위장비청으로 정식 인도된 뒤 처음 이뤄진 것으로, 29일 오전 약 1시간에 걸쳐 비행이 진행됐다고 전했다.
X2는 앞으로 50회가량 시험비행을 할 예정이며, 방위장비청은 이를 통해 스텔스 기술과 성능을 확인한 뒤 미래 전투기 개발에 필요한 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일본 방위성의 위탁을 받아 2009년부터 개발이 시작된 X2는 탄소섬유로 된 전파 흡수 소재를 이용해 레이더에 잡히지 않는 스텔스 기능을 갖추고 있다.
X2는 길이 14.2m, 폭 9.1m, 높이 4.5m로 시속 1963km, 최대시속 2410km, 항속거리는 2960km에 달한다. 개발비는 400억 엔(약 4천143억 원)이 투입됐다.
일본어로 후지산의 별칭인 '신신'(心神)으로 불리는 X2는 미쓰비시중공업이 주 개발자로 참가했으며, 주날개와 꼬리 날개는 후지중공업, 조종석 주위는 가와사키중공업이 각각 맡아 개발했다.
X2는 일본 내 국산화율이 90% 이상이며 220개 일본 기업이 제작에 참가해 일본 중공업 및 소재기술의 결정체로 불린다.
방위성은 2018년까지 일본에서 독자적으로 스텔스기를 개발할지 국제 공동개발에 참여할지를 결정할 예정으로, 이렇게 개발될 스텔스기의 실전 배치 시점은 2030년으로 잡고 있다.
30일 산케이신문은 방위장비청이 일본의 첫 스텔스 전투기인 '선진기술실증기'(X2)의 시험비행을 전날 기후 현 가카미가하라 시 소재 기후시험장에서 진행했다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X2는 지난 4월 아이치 현 고마키 기지를 이륙해 30분가량 시험비행을 한 뒤 기후 기지에 착륙한 적이 있다.
당시 일본은 미국, 러시아, 중국에 이어 유인 스텔스기의 비행에 성공한 4번째 국가로 주목받았다.
산케이는 이번 시험비행이 X2가 지난 6월 방위장비청으로 정식 인도된 뒤 처음 이뤄진 것으로, 29일 오전 약 1시간에 걸쳐 비행이 진행됐다고 전했다.
X2는 앞으로 50회가량 시험비행을 할 예정이며, 방위장비청은 이를 통해 스텔스 기술과 성능을 확인한 뒤 미래 전투기 개발에 필요한 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일본 방위성의 위탁을 받아 2009년부터 개발이 시작된 X2는 탄소섬유로 된 전파 흡수 소재를 이용해 레이더에 잡히지 않는 스텔스 기능을 갖추고 있다.
X2는 길이 14.2m, 폭 9.1m, 높이 4.5m로 시속 1963km, 최대시속 2410km, 항속거리는 2960km에 달한다. 개발비는 400억 엔(약 4천143억 원)이 투입됐다.
일본어로 후지산의 별칭인 '신신'(心神)으로 불리는 X2는 미쓰비시중공업이 주 개발자로 참가했으며, 주날개와 꼬리 날개는 후지중공업, 조종석 주위는 가와사키중공업이 각각 맡아 개발했다.
X2는 일본 내 국산화율이 90% 이상이며 220개 일본 기업이 제작에 참가해 일본 중공업 및 소재기술의 결정체로 불린다.
방위성은 2018년까지 일본에서 독자적으로 스텔스기를 개발할지 국제 공동개발에 참여할지를 결정할 예정으로, 이렇게 개발될 스텔스기의 실전 배치 시점은 2030년으로 잡고 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일본 자체 개발 스텔스 전투기 X2, 첫 실전 시험비행 성공
-
- 입력 2016-11-30 21:36:19
일본이 자체 개발한 스텔스 전투기가 방위장비청으로 정식 인도된 뒤 첫 시험비행에 성공했다.
30일 산케이신문은 방위장비청이 일본의 첫 스텔스 전투기인 '선진기술실증기'(X2)의 시험비행을 전날 기후 현 가카미가하라 시 소재 기후시험장에서 진행했다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X2는 지난 4월 아이치 현 고마키 기지를 이륙해 30분가량 시험비행을 한 뒤 기후 기지에 착륙한 적이 있다.
당시 일본은 미국, 러시아, 중국에 이어 유인 스텔스기의 비행에 성공한 4번째 국가로 주목받았다.
산케이는 이번 시험비행이 X2가 지난 6월 방위장비청으로 정식 인도된 뒤 처음 이뤄진 것으로, 29일 오전 약 1시간에 걸쳐 비행이 진행됐다고 전했다.
X2는 앞으로 50회가량 시험비행을 할 예정이며, 방위장비청은 이를 통해 스텔스 기술과 성능을 확인한 뒤 미래 전투기 개발에 필요한 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일본 방위성의 위탁을 받아 2009년부터 개발이 시작된 X2는 탄소섬유로 된 전파 흡수 소재를 이용해 레이더에 잡히지 않는 스텔스 기능을 갖추고 있다.
X2는 길이 14.2m, 폭 9.1m, 높이 4.5m로 시속 1963km, 최대시속 2410km, 항속거리는 2960km에 달한다. 개발비는 400억 엔(약 4천143억 원)이 투입됐다.
일본어로 후지산의 별칭인 '신신'(心神)으로 불리는 X2는 미쓰비시중공업이 주 개발자로 참가했으며, 주날개와 꼬리 날개는 후지중공업, 조종석 주위는 가와사키중공업이 각각 맡아 개발했다.
X2는 일본 내 국산화율이 90% 이상이며 220개 일본 기업이 제작에 참가해 일본 중공업 및 소재기술의 결정체로 불린다.
방위성은 2018년까지 일본에서 독자적으로 스텔스기를 개발할지 국제 공동개발에 참여할지를 결정할 예정으로, 이렇게 개발될 스텔스기의 실전 배치 시점은 2030년으로 잡고 있다.
30일 산케이신문은 방위장비청이 일본의 첫 스텔스 전투기인 '선진기술실증기'(X2)의 시험비행을 전날 기후 현 가카미가하라 시 소재 기후시험장에서 진행했다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X2는 지난 4월 아이치 현 고마키 기지를 이륙해 30분가량 시험비행을 한 뒤 기후 기지에 착륙한 적이 있다.
당시 일본은 미국, 러시아, 중국에 이어 유인 스텔스기의 비행에 성공한 4번째 국가로 주목받았다.
산케이는 이번 시험비행이 X2가 지난 6월 방위장비청으로 정식 인도된 뒤 처음 이뤄진 것으로, 29일 오전 약 1시간에 걸쳐 비행이 진행됐다고 전했다.
X2는 앞으로 50회가량 시험비행을 할 예정이며, 방위장비청은 이를 통해 스텔스 기술과 성능을 확인한 뒤 미래 전투기 개발에 필요한 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일본 방위성의 위탁을 받아 2009년부터 개발이 시작된 X2는 탄소섬유로 된 전파 흡수 소재를 이용해 레이더에 잡히지 않는 스텔스 기능을 갖추고 있다.
X2는 길이 14.2m, 폭 9.1m, 높이 4.5m로 시속 1963km, 최대시속 2410km, 항속거리는 2960km에 달한다. 개발비는 400억 엔(약 4천143억 원)이 투입됐다.
일본어로 후지산의 별칭인 '신신'(心神)으로 불리는 X2는 미쓰비시중공업이 주 개발자로 참가했으며, 주날개와 꼬리 날개는 후지중공업, 조종석 주위는 가와사키중공업이 각각 맡아 개발했다.
X2는 일본 내 국산화율이 90% 이상이며 220개 일본 기업이 제작에 참가해 일본 중공업 및 소재기술의 결정체로 불린다.
방위성은 2018년까지 일본에서 독자적으로 스텔스기를 개발할지 국제 공동개발에 참여할지를 결정할 예정으로, 이렇게 개발될 스텔스기의 실전 배치 시점은 2030년으로 잡고 있다.
-
-
정새배 기자 newboat@kbs.co.kr
정새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