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의대 교수들 “트럼프 정신건강 우려” 서한
입력 2016.12.19 (16:47)
수정 2016.12.19 (16: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 하버드대의 정신과 전문의들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정신 건강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하는 서한을 버락 오바마 대통령에게 보냈다.
18일(현지시간) 미국의 온라인매체 허핑턴포스트는 최근 하버드의대 주디스 허먼 교수(정신의학)와 내넷 가트렐, 디 모스바커 등 정신과 의사 3명이 오바마 대통령에게 트럼프의 정신 건강을 우려하는 공동 서한을 발송했다고 보도했다.
이들은 서한에서 미 정신의학회(APA)의 규정상 직접 진료하지 않은 환자의 병명을 추측해서는 안 된다면서도 "대통령 당선인의 정신적 안정에 관해 '중대한 우려'를 표명하기 위해 서한을 쓴다"고 적었다.
이들은 언론에 보도된 트럼프의 여러 행태를 언급하며 "과장, 충동성, 모욕이나 비판에 대한 과민반응, 환상과 현실을 구별하지 못하는 것은 그가 막중한 책임을 수행할 공직에 적합한지 의구심을 갖게 한다"고 지적했다.
서한을 보낸 의사들은 트럼프의 취임 전에 "공정한 조사관들의 입회하에 트럼프가 모든 의학적·신경정신과적 진단을 받기를 강력히 권고한다"고 덧붙였다.
이 서한을 입수해 17일(현지시간) 허핑턴포스트에 공개한 커뮤니케이션 전문가 리처드 그린은 "내가 인터뷰한 모든 정신건강 전문가들이 트럼프가 '자기애성 인격장애'의 진단기준을 충족한다고 100% 믿고 있다"고 전했다.
자기애성 인격장애는 자신에 대한 과장된 평가, 인정받고 싶은 욕구, 다른 사람에 대한 공감의 결여를 주요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정신질환이다.
트럼프의 정신상태가 대통령직을 수행하기에 적합한지를 놓고 논란이 불거진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 8월에는 한 민주당원이 트럼프가 자기애성 인격장애를 앓고 있을 수 있다며 정신감정 의뢰를 요구하는 온라인 청원 캠페인을 벌인데 이어 MSNBC 방송의 진행자인 조 스카버러는 정신감정의 필요성을 방송에서 공개적으로 제기하기도 했다.
18일(현지시간) 미국의 온라인매체 허핑턴포스트는 최근 하버드의대 주디스 허먼 교수(정신의학)와 내넷 가트렐, 디 모스바커 등 정신과 의사 3명이 오바마 대통령에게 트럼프의 정신 건강을 우려하는 공동 서한을 발송했다고 보도했다.
이들은 서한에서 미 정신의학회(APA)의 규정상 직접 진료하지 않은 환자의 병명을 추측해서는 안 된다면서도 "대통령 당선인의 정신적 안정에 관해 '중대한 우려'를 표명하기 위해 서한을 쓴다"고 적었다.
이들은 언론에 보도된 트럼프의 여러 행태를 언급하며 "과장, 충동성, 모욕이나 비판에 대한 과민반응, 환상과 현실을 구별하지 못하는 것은 그가 막중한 책임을 수행할 공직에 적합한지 의구심을 갖게 한다"고 지적했다.
서한을 보낸 의사들은 트럼프의 취임 전에 "공정한 조사관들의 입회하에 트럼프가 모든 의학적·신경정신과적 진단을 받기를 강력히 권고한다"고 덧붙였다.
이 서한을 입수해 17일(현지시간) 허핑턴포스트에 공개한 커뮤니케이션 전문가 리처드 그린은 "내가 인터뷰한 모든 정신건강 전문가들이 트럼프가 '자기애성 인격장애'의 진단기준을 충족한다고 100% 믿고 있다"고 전했다.
자기애성 인격장애는 자신에 대한 과장된 평가, 인정받고 싶은 욕구, 다른 사람에 대한 공감의 결여를 주요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정신질환이다.
트럼프의 정신상태가 대통령직을 수행하기에 적합한지를 놓고 논란이 불거진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 8월에는 한 민주당원이 트럼프가 자기애성 인격장애를 앓고 있을 수 있다며 정신감정 의뢰를 요구하는 온라인 청원 캠페인을 벌인데 이어 MSNBC 방송의 진행자인 조 스카버러는 정신감정의 필요성을 방송에서 공개적으로 제기하기도 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하버드의대 교수들 “트럼프 정신건강 우려” 서한
-
- 입력 2016-12-19 16:47:48
- 수정2016-12-19 16:51:37

미국 하버드대의 정신과 전문의들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정신 건강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하는 서한을 버락 오바마 대통령에게 보냈다.
18일(현지시간) 미국의 온라인매체 허핑턴포스트는 최근 하버드의대 주디스 허먼 교수(정신의학)와 내넷 가트렐, 디 모스바커 등 정신과 의사 3명이 오바마 대통령에게 트럼프의 정신 건강을 우려하는 공동 서한을 발송했다고 보도했다.
이들은 서한에서 미 정신의학회(APA)의 규정상 직접 진료하지 않은 환자의 병명을 추측해서는 안 된다면서도 "대통령 당선인의 정신적 안정에 관해 '중대한 우려'를 표명하기 위해 서한을 쓴다"고 적었다.
이들은 언론에 보도된 트럼프의 여러 행태를 언급하며 "과장, 충동성, 모욕이나 비판에 대한 과민반응, 환상과 현실을 구별하지 못하는 것은 그가 막중한 책임을 수행할 공직에 적합한지 의구심을 갖게 한다"고 지적했다.
서한을 보낸 의사들은 트럼프의 취임 전에 "공정한 조사관들의 입회하에 트럼프가 모든 의학적·신경정신과적 진단을 받기를 강력히 권고한다"고 덧붙였다.
이 서한을 입수해 17일(현지시간) 허핑턴포스트에 공개한 커뮤니케이션 전문가 리처드 그린은 "내가 인터뷰한 모든 정신건강 전문가들이 트럼프가 '자기애성 인격장애'의 진단기준을 충족한다고 100% 믿고 있다"고 전했다.
자기애성 인격장애는 자신에 대한 과장된 평가, 인정받고 싶은 욕구, 다른 사람에 대한 공감의 결여를 주요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정신질환이다.
트럼프의 정신상태가 대통령직을 수행하기에 적합한지를 놓고 논란이 불거진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 8월에는 한 민주당원이 트럼프가 자기애성 인격장애를 앓고 있을 수 있다며 정신감정 의뢰를 요구하는 온라인 청원 캠페인을 벌인데 이어 MSNBC 방송의 진행자인 조 스카버러는 정신감정의 필요성을 방송에서 공개적으로 제기하기도 했다.
18일(현지시간) 미국의 온라인매체 허핑턴포스트는 최근 하버드의대 주디스 허먼 교수(정신의학)와 내넷 가트렐, 디 모스바커 등 정신과 의사 3명이 오바마 대통령에게 트럼프의 정신 건강을 우려하는 공동 서한을 발송했다고 보도했다.
이들은 서한에서 미 정신의학회(APA)의 규정상 직접 진료하지 않은 환자의 병명을 추측해서는 안 된다면서도 "대통령 당선인의 정신적 안정에 관해 '중대한 우려'를 표명하기 위해 서한을 쓴다"고 적었다.
이들은 언론에 보도된 트럼프의 여러 행태를 언급하며 "과장, 충동성, 모욕이나 비판에 대한 과민반응, 환상과 현실을 구별하지 못하는 것은 그가 막중한 책임을 수행할 공직에 적합한지 의구심을 갖게 한다"고 지적했다.
서한을 보낸 의사들은 트럼프의 취임 전에 "공정한 조사관들의 입회하에 트럼프가 모든 의학적·신경정신과적 진단을 받기를 강력히 권고한다"고 덧붙였다.
이 서한을 입수해 17일(현지시간) 허핑턴포스트에 공개한 커뮤니케이션 전문가 리처드 그린은 "내가 인터뷰한 모든 정신건강 전문가들이 트럼프가 '자기애성 인격장애'의 진단기준을 충족한다고 100% 믿고 있다"고 전했다.
자기애성 인격장애는 자신에 대한 과장된 평가, 인정받고 싶은 욕구, 다른 사람에 대한 공감의 결여를 주요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정신질환이다.
트럼프의 정신상태가 대통령직을 수행하기에 적합한지를 놓고 논란이 불거진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 8월에는 한 민주당원이 트럼프가 자기애성 인격장애를 앓고 있을 수 있다며 정신감정 의뢰를 요구하는 온라인 청원 캠페인을 벌인데 이어 MSNBC 방송의 진행자인 조 스카버러는 정신감정의 필요성을 방송에서 공개적으로 제기하기도 했다.
-
-
정새배 기자 newboat@kbs.co.kr
정새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