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소홀·부실 대책…‘달걀 대란’ 키워

입력 2016.12.22 (08:16) 수정 2016.12.22 (09: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자 멘트>

조류인플루엔자, AI가 대체 언제쯤 잠잠해질까요? 한달 넘게 기승을 부리고 있는 AI로 2천만 마리의 가금류가 매몰처리됐는데요.

이런 피해는 정부의 부적절한 대책이 키웠다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방역 당국은 농가에 철저한 소독을 주문하고 있는데요,

정작 현장에선 효력이 떨어지는 부적합한 소독제가 사용됐는데도, 관리 감독이 부실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런 탓에 AI 확진 판정을 받은 곳이 확인된 곳만 30곳이 넘었습니다.

오대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오리를 키운 지 9년 만에 처음으로 AI가 발생한 충북의 한 농장입니다.

소독만큼은 철저히 해왔는데, 왜 AI가 발생했는지 영문을 알 수가 없다고 합니다.

<녹취> 오리 위탁 사육 농장 주인(음성변조) : "소독한 것을 사진을 찍어 보내줘야 (본사에서) 병아리를 주니까 무조건 소독을 해야 됩니다. 일주일에 두 번씩은 꼭 소독하게 돼 있습니다."

확인해보니 소독약이 효력 미달 제품, 닭이나 오리 농가에선 쓰지 말아야 할 제품이었습니다.

농식품부 자료를 보니, 이번에 AI 확진 판정을 받은 농가 중 31곳이 부적합한 소독약을 썼습니다.

이유는 있었습니다.

지난 6월, 방역 당국이 부적합 소독약 27종류의 회수 조치를 내렸지만, 정작 농민들에는 전달이 안됐던 겁니다.

<녹취> 농장 주인(음성변조) : "매몰처분 하고 나서 이제 그때 따지고 들어오더라고요. '소독은 했느냐했냐, 약품은 뭐를 쓰냐' 그전까지는 그런 거 물어보고 전화 한 통 온 적 한 번도 없었는데. 억울한 정도가 아니죠."

제품이 제대로 회수 됐는지에 대한 감독도 부실했습니다.

<인터뷰> 위성곤(의원/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 "정부가 해야 될 것은 소독제의 관리 강화를 분명히 해야 합니다. 아울러서 그것에 관한 정보를 농가들에 정확히 전달하는..."

방역의 기본인 소독 관리에 구멍이 뚫린 사이, 매몰된 닭과 오리는 2천만 마리를 넘어 섰습니다.

KBS 뉴스 오대성입니다.

<기자 멘트>

매몰처리된 닭 가운데 알 낳는 암탉이 1345만 마리로 가장 많습니다.

전체 산란계의 19%가 매몰됐습니다.

달걀 값이 요동치고 있습니다.

이제 달걀값은 평균 7000원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앞으로 얼마나 더 오를 지 알 수 없다는 겁니다.

대형 마트들은 한 사람당 한 판만 파는 구매 제한 조치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 식당에서 기본 반찬으로 등장했던 달걀 프라이는 보기 힘들어졌고, 달걀을 재료로 한 제과·제빵등의 식품 물가가 연쇄적으로 오를 것이란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런 와중에 제빵 대기업 직원들이 소매점을 돌며 달걀 수백판을 구입해 '사재기' 논란이 일기도 했습니다.

정부는 AI 대책 중 하나로 달걀을 수입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는데요.

국내에서 하루에 소비되는 달걀은 4000만 개 정돕니다.

과연 효과가 있을 지 의문을 제기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수입이 가능한 국가들의 평균 값이 30% 이상 비싸다는 반론이 거셉니다.

여기에 운송비용까지 더하고 달걀이 깨지기 쉬운데다, 비행기로는 하루에 300만개 정도만 수입할 수 있다면 이게 과연 현실성이 있느냐는 겁니다.

실제로 또 다른 AI가 창궐했던 2014년 중반 미국산 생계란 4.6톤 가량이 수입됐는데요.

대란 30알 기준 4만 원이었습니다.

현장에서는 달걀의 유통 구조 역시 부담을 키운다고 지적하기도 합니다.

우리나라 달걀 유통시장은 산란계 농장에서 달걀을 생산하면 전국 2400여 개 수집판매상들이 매입해 대형매장과 백화점, 재래시장, 음식점 등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처리되는 물량은 국내에서 생산되는 달걀의 65%에 이릅니다.

구조가 이렇다보니, 판매상들이 수요를 조절하면 가격도 덩달아 요동칠 수밖에 없고 판매상만 이득을 본다는 겁니다.

실제 최근 한달동안 산지 달걀 가격이 한 알에 18원 상승했을 때 소비자 가격은 48.5원 오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그러나 상황이 이래도, 이런 유통구조에 대해 정부는 속수무책입니다.

달걀뿐 아니라, 육계 공급 역시 조만간 급감해 닭고기 가격도 오를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AI 피해가 확산되기 시작한 지난 5일 정부는, "겨울은 달걀 공급과 소비가 모두 감소하는 비수기로, 방학이 시작되면 학교 급식에 쓰이는 달걀 수요가 줄어 당장 수급 문제는 없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는데요.

불과 2주 만에 부랴부랴 대책 마련에 나서면서 정부의 안일함을 다시 한번 증명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관리 소홀·부실 대책…‘달걀 대란’ 키워
    • 입력 2016-12-22 08:18:24
    • 수정2016-12-22 09:00:43
    아침뉴스타임
<기자 멘트>

조류인플루엔자, AI가 대체 언제쯤 잠잠해질까요? 한달 넘게 기승을 부리고 있는 AI로 2천만 마리의 가금류가 매몰처리됐는데요.

이런 피해는 정부의 부적절한 대책이 키웠다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방역 당국은 농가에 철저한 소독을 주문하고 있는데요,

정작 현장에선 효력이 떨어지는 부적합한 소독제가 사용됐는데도, 관리 감독이 부실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런 탓에 AI 확진 판정을 받은 곳이 확인된 곳만 30곳이 넘었습니다.

오대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오리를 키운 지 9년 만에 처음으로 AI가 발생한 충북의 한 농장입니다.

소독만큼은 철저히 해왔는데, 왜 AI가 발생했는지 영문을 알 수가 없다고 합니다.

<녹취> 오리 위탁 사육 농장 주인(음성변조) : "소독한 것을 사진을 찍어 보내줘야 (본사에서) 병아리를 주니까 무조건 소독을 해야 됩니다. 일주일에 두 번씩은 꼭 소독하게 돼 있습니다."

확인해보니 소독약이 효력 미달 제품, 닭이나 오리 농가에선 쓰지 말아야 할 제품이었습니다.

농식품부 자료를 보니, 이번에 AI 확진 판정을 받은 농가 중 31곳이 부적합한 소독약을 썼습니다.

이유는 있었습니다.

지난 6월, 방역 당국이 부적합 소독약 27종류의 회수 조치를 내렸지만, 정작 농민들에는 전달이 안됐던 겁니다.

<녹취> 농장 주인(음성변조) : "매몰처분 하고 나서 이제 그때 따지고 들어오더라고요. '소독은 했느냐했냐, 약품은 뭐를 쓰냐' 그전까지는 그런 거 물어보고 전화 한 통 온 적 한 번도 없었는데. 억울한 정도가 아니죠."

제품이 제대로 회수 됐는지에 대한 감독도 부실했습니다.

<인터뷰> 위성곤(의원/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 "정부가 해야 될 것은 소독제의 관리 강화를 분명히 해야 합니다. 아울러서 그것에 관한 정보를 농가들에 정확히 전달하는..."

방역의 기본인 소독 관리에 구멍이 뚫린 사이, 매몰된 닭과 오리는 2천만 마리를 넘어 섰습니다.

KBS 뉴스 오대성입니다.

<기자 멘트>

매몰처리된 닭 가운데 알 낳는 암탉이 1345만 마리로 가장 많습니다.

전체 산란계의 19%가 매몰됐습니다.

달걀 값이 요동치고 있습니다.

이제 달걀값은 평균 7000원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앞으로 얼마나 더 오를 지 알 수 없다는 겁니다.

대형 마트들은 한 사람당 한 판만 파는 구매 제한 조치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 식당에서 기본 반찬으로 등장했던 달걀 프라이는 보기 힘들어졌고, 달걀을 재료로 한 제과·제빵등의 식품 물가가 연쇄적으로 오를 것이란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런 와중에 제빵 대기업 직원들이 소매점을 돌며 달걀 수백판을 구입해 '사재기' 논란이 일기도 했습니다.

정부는 AI 대책 중 하나로 달걀을 수입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는데요.

국내에서 하루에 소비되는 달걀은 4000만 개 정돕니다.

과연 효과가 있을 지 의문을 제기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수입이 가능한 국가들의 평균 값이 30% 이상 비싸다는 반론이 거셉니다.

여기에 운송비용까지 더하고 달걀이 깨지기 쉬운데다, 비행기로는 하루에 300만개 정도만 수입할 수 있다면 이게 과연 현실성이 있느냐는 겁니다.

실제로 또 다른 AI가 창궐했던 2014년 중반 미국산 생계란 4.6톤 가량이 수입됐는데요.

대란 30알 기준 4만 원이었습니다.

현장에서는 달걀의 유통 구조 역시 부담을 키운다고 지적하기도 합니다.

우리나라 달걀 유통시장은 산란계 농장에서 달걀을 생산하면 전국 2400여 개 수집판매상들이 매입해 대형매장과 백화점, 재래시장, 음식점 등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처리되는 물량은 국내에서 생산되는 달걀의 65%에 이릅니다.

구조가 이렇다보니, 판매상들이 수요를 조절하면 가격도 덩달아 요동칠 수밖에 없고 판매상만 이득을 본다는 겁니다.

실제 최근 한달동안 산지 달걀 가격이 한 알에 18원 상승했을 때 소비자 가격은 48.5원 오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그러나 상황이 이래도, 이런 유통구조에 대해 정부는 속수무책입니다.

달걀뿐 아니라, 육계 공급 역시 조만간 급감해 닭고기 가격도 오를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AI 피해가 확산되기 시작한 지난 5일 정부는, "겨울은 달걀 공급과 소비가 모두 감소하는 비수기로, 방학이 시작되면 학교 급식에 쓰이는 달걀 수요가 줄어 당장 수급 문제는 없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는데요.

불과 2주 만에 부랴부랴 대책 마련에 나서면서 정부의 안일함을 다시 한번 증명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