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윤병세 “2017년 대북 제재·압박 성과 가시화 추진”
입력 2016.12.22 (13:52) 수정 2016.12.22 (14:03) 정치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내년에도 대북 제재와 압박의 구체적인 성과가 더욱 가시화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오늘(22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현안보고에서 "올해 대북 압박외교를 통해 공고화된 '국제사회 대 북한' 구도를 활용하면서 안보리 차원의 제재, 조율된 독자 제재, 그리고 글로벌 차원의 대북압박이라는 3개 축으로 내년에는 성과가 가시화되도록 추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또 미국 행정부 교체기에 있을 수 있는 북한의 도발과 기만적 대화 공세 등 다양한 책동 가능성을 모두 염두에 두면서 단호한 대응 태세를 유지할 것이라면서 "'비핵화 대화 최우선' 원칙을 굳게 유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외교부의 대북정책이 제재와 압박 기조를 유지하고 북한이 핵 포기가 아닌 핵 동결 등을 위한 협상을 요구할 경우 우리 정부는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재확인한 것이다.

윤 장관은 "미국 행정부 교체기에도 북핵·북한 문제와 관련해 한미 간 신속하고 일치된 대응이 이뤄질 수 있도록 오바마 행정부는 물론 (차기) 트럼프 행정부 측과 긴밀히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윤병세 “2017년 대북 제재·압박 성과 가시화 추진”
    • 입력 2016-12-22 13:52:44
    • 수정2016-12-22 14:03:15
    정치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내년에도 대북 제재와 압박의 구체적인 성과가 더욱 가시화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오늘(22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현안보고에서 "올해 대북 압박외교를 통해 공고화된 '국제사회 대 북한' 구도를 활용하면서 안보리 차원의 제재, 조율된 독자 제재, 그리고 글로벌 차원의 대북압박이라는 3개 축으로 내년에는 성과가 가시화되도록 추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또 미국 행정부 교체기에 있을 수 있는 북한의 도발과 기만적 대화 공세 등 다양한 책동 가능성을 모두 염두에 두면서 단호한 대응 태세를 유지할 것이라면서 "'비핵화 대화 최우선' 원칙을 굳게 유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외교부의 대북정책이 제재와 압박 기조를 유지하고 북한이 핵 포기가 아닌 핵 동결 등을 위한 협상을 요구할 경우 우리 정부는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재확인한 것이다.

윤 장관은 "미국 행정부 교체기에도 북핵·북한 문제와 관련해 한미 간 신속하고 일치된 대응이 이뤄질 수 있도록 오바마 행정부는 물론 (차기) 트럼프 행정부 측과 긴밀히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기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