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 77% “민간교류 허용·활성화 필요”

입력 2016.12.22 (13:55) 수정 2016.12.22 (14: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거주 이산가족 10명 중 8명 가량이 이산가족과 관련한 민간교류를 허용하고 활성화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는데 반해 비용 부담과 민간중개인에 의한 사기피해 우려 때문에 실제 참여하겠다는 이산가족수는 전체 응답자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부가 오늘(22일) 발표한 '2016년 이산가족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산가족 찾기 신청자 5만1천174명 중 표본으로 선정된 6천142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77%는 이산가족 관련 민간교류 허용 및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당국 차원에서의 교류를 우선으로 하되, 민간교류도 허용'이라는 응답이 52.4%로 가장 많았고, '민간교류의 활성화 필요'가 24.6%, '민간교류를 제한해 당국 차원의 교류 촉진'이 20.9%였다.

이산가족 민간교류 참여 여부에 대해서는 46.5%가 '참여 의사가 없다'고 답변했고, '참여 의사가 있다'는 답변은 38.5%였다. 민간교류 참여를 희망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소요비용에 대한 경제적 부담'(36.5%), '일부 중개인들에 대한 사기 피해 우려'(26.3%), '민간교류에 대한 정부 부족'(14.9%), '신변 안전에 대한 위험 부담'(10.6%) 순으로 응답 비중이 높았다.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정책에 대해서는 '전면적인 생사확인 추진'이 76.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10.3%), '남북 간 서신교환 제도 마련'(4.0%), '정부 차원의 전화통화 제도 도입 및 활성화'(2.9%), '추석 등 정기적인 고향 방문 추진'(2.6%) 순이었다.

이산가족 사업 관련 개인별 참여 희망 여부도 파악한 결과, 북한 가족의 생사 확인(86.2%), 상봉(76.7%), 서신 교환(70.1%), 고향 방문(61.7%) 등의 순으로 참여 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산가족들은 또한 '이산가족의 기록물 수집·보존'(39.5%), '이산가족 관련 문화예술 보급'(19.2%), '이산가족 위로 행사 확대'(14.6%) 등을 통해 정부가 이산가족의 아픔을 위로하고 국민적 관심을 모아주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4월 기준 이산가족 찾기 신청자 13만887명 중 사망자는 6만6천25명, 생존자는 6만4천862명이다. 이산가족 교류 실태와 정책 인식 등을 알아보기 위한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 4월 1일부터 10월 28일까지 진행됐다.

통일부는 2011년 이후 5년 만에 실시한 이번 실태조사를 통해 국내 거주 이산가족 신청자의 신청서 기재 내용을 확인하고, 헤어진 사연, 가족 사항, 거주지, 연락처, 사진 등 누락 또는 변경 내용을 수정해 이산가족 정보의 정확도를 높였다.

성별은 남성(66.1%)이 여성(33.9%)보다 더 많았고, 연령대는 80대(43.9%), 70대(28.2%), 90대(12.0%), 60대(10.4%) 순이었다. 거주지는 서울·경기 지역이 57%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산가족 유전자 검사는 24.3%, 영상 편지 제작은 32.7% 각각 완료됐다.

통일부는 "이번 실태 조사 결과를 토대로 고령화하고 있는 이산가족들이 더 다양한 방식으로 북한 가족과 교류를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남북 이산가족 교류 촉진 기본계획과 정책에 반영되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산가족 77% “민간교류 허용·활성화 필요”
    • 입력 2016-12-22 13:55:10
    • 수정2016-12-22 14:01:36
    정치
국내 거주 이산가족 10명 중 8명 가량이 이산가족과 관련한 민간교류를 허용하고 활성화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는데 반해 비용 부담과 민간중개인에 의한 사기피해 우려 때문에 실제 참여하겠다는 이산가족수는 전체 응답자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부가 오늘(22일) 발표한 '2016년 이산가족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산가족 찾기 신청자 5만1천174명 중 표본으로 선정된 6천142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77%는 이산가족 관련 민간교류 허용 및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당국 차원에서의 교류를 우선으로 하되, 민간교류도 허용'이라는 응답이 52.4%로 가장 많았고, '민간교류의 활성화 필요'가 24.6%, '민간교류를 제한해 당국 차원의 교류 촉진'이 20.9%였다.

이산가족 민간교류 참여 여부에 대해서는 46.5%가 '참여 의사가 없다'고 답변했고, '참여 의사가 있다'는 답변은 38.5%였다. 민간교류 참여를 희망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소요비용에 대한 경제적 부담'(36.5%), '일부 중개인들에 대한 사기 피해 우려'(26.3%), '민간교류에 대한 정부 부족'(14.9%), '신변 안전에 대한 위험 부담'(10.6%) 순으로 응답 비중이 높았다.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정책에 대해서는 '전면적인 생사확인 추진'이 76.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10.3%), '남북 간 서신교환 제도 마련'(4.0%), '정부 차원의 전화통화 제도 도입 및 활성화'(2.9%), '추석 등 정기적인 고향 방문 추진'(2.6%) 순이었다.

이산가족 사업 관련 개인별 참여 희망 여부도 파악한 결과, 북한 가족의 생사 확인(86.2%), 상봉(76.7%), 서신 교환(70.1%), 고향 방문(61.7%) 등의 순으로 참여 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산가족들은 또한 '이산가족의 기록물 수집·보존'(39.5%), '이산가족 관련 문화예술 보급'(19.2%), '이산가족 위로 행사 확대'(14.6%) 등을 통해 정부가 이산가족의 아픔을 위로하고 국민적 관심을 모아주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4월 기준 이산가족 찾기 신청자 13만887명 중 사망자는 6만6천25명, 생존자는 6만4천862명이다. 이산가족 교류 실태와 정책 인식 등을 알아보기 위한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 4월 1일부터 10월 28일까지 진행됐다.

통일부는 2011년 이후 5년 만에 실시한 이번 실태조사를 통해 국내 거주 이산가족 신청자의 신청서 기재 내용을 확인하고, 헤어진 사연, 가족 사항, 거주지, 연락처, 사진 등 누락 또는 변경 내용을 수정해 이산가족 정보의 정확도를 높였다.

성별은 남성(66.1%)이 여성(33.9%)보다 더 많았고, 연령대는 80대(43.9%), 70대(28.2%), 90대(12.0%), 60대(10.4%) 순이었다. 거주지는 서울·경기 지역이 57%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산가족 유전자 검사는 24.3%, 영상 편지 제작은 32.7% 각각 완료됐다.

통일부는 "이번 실태 조사 결과를 토대로 고령화하고 있는 이산가족들이 더 다양한 방식으로 북한 가족과 교류를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남북 이산가족 교류 촉진 기본계획과 정책에 반영되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