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 학점제·교사 자율권 확대…교육부 중장기 정책 발표

입력 2016.12.22 (15:01) 수정 2016.12.22 (15:2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생들의 학습 선택권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고교학점제를 도입하는 등 교육정책의 새 방향이 제시됐다.

교육부는 오늘(22일) 세종정부청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한 중장기 교육정책의 방향과 전략(시안)’을 발표했다. 교육부는 인공지능(AI) 알파고와 이세돌의 대결 등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중장기 정책 방향을 지난 4월부터 연구해왔다.

교육부는 유연화, 자율화, 개별화, 전문화, 인간화를 향후 교육정책의 5개 기조로 정하고, 학생 수업 선택권을 늘리고, 교사 자율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교육정책의 로드맵을 제시했다.

먼저, 고교 학점제가 검토되고 있다.

교육부는 고등학교를 선택중심 교육과정으로 운영한다는 2015 개정교육과정 방향에 따라 고등학교 단계부터 우선 학점제를 운영하고 중학교 단계로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학점제가 도입되면 자신의 학습 속도에 맞는 수업을 듣고 필수과목을 제외한 나머지는 학생이 원하는 과목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 교육감이 학교 밖에서 교육 프로그램을 직접 개설하거나 지정할 수도 있고, 학생들이 온라인 강좌 시스템으로 학교에서 개설되지 않은 교과도 이수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게 교육부 설명이다.

교육과정 운영과 평가 영역에서는 교사의 자율성이 확대된다. 중간·기말고사 등 단위학교에서 이뤄지는 평가를 최소화하고 교사 재량으로 과목별 특성과 학생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최적화된 평가방식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예를 들어 출석, 과제, 퀴즈, 발표·토론참여도, 중간·기말고사 성적을 각각 점수로 환산해 성적에 반영하고 평가에서 원하는 성적을 받지 못했을 경우 과제나 재시험 기회를 주는 식이다.

여기에 학생 개개인의 역량과 특성에 최적화한 맞춤형 교육을 위해 지능형 학습 플랫폼이 개발된다.

이 플랫폼은 수행결과물, 학습시간, 참여횟수 등 학생의 학습 관련 데이터를 분석해 학생들에게 학습 안내를 해주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교과성적과 각종 창의적 체험활동 등 모든 학습결과를 누적한 '온라인 학습포트폴리오'에서 수집된 빅데이터를 이용하게 된다.

교육부는 이번에 발표한 시안을 바탕으로 시·도교육청, 전문가, 교사, 학부모 등의 의견을 수렴해 전략을 수정·보완하고 2017년 상반기 중에 구체적인 정책과 로드맵을 확정할 계획이다.

이영 교육부 차관은 “4차 산업혁명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중장기 비전”이라며 “미래교육 방향을 정하는 건 자라나는 아이들을 위한 우리 세대의 사명이다”고 말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고교 학점제·교사 자율권 확대…교육부 중장기 정책 발표
    • 입력 2016-12-22 15:01:30
    • 수정2016-12-22 15:22:09
    사회
학생들의 학습 선택권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고교학점제를 도입하는 등 교육정책의 새 방향이 제시됐다.

교육부는 오늘(22일) 세종정부청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한 중장기 교육정책의 방향과 전략(시안)’을 발표했다. 교육부는 인공지능(AI) 알파고와 이세돌의 대결 등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중장기 정책 방향을 지난 4월부터 연구해왔다.

교육부는 유연화, 자율화, 개별화, 전문화, 인간화를 향후 교육정책의 5개 기조로 정하고, 학생 수업 선택권을 늘리고, 교사 자율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교육정책의 로드맵을 제시했다.

먼저, 고교 학점제가 검토되고 있다.

교육부는 고등학교를 선택중심 교육과정으로 운영한다는 2015 개정교육과정 방향에 따라 고등학교 단계부터 우선 학점제를 운영하고 중학교 단계로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학점제가 도입되면 자신의 학습 속도에 맞는 수업을 듣고 필수과목을 제외한 나머지는 학생이 원하는 과목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 교육감이 학교 밖에서 교육 프로그램을 직접 개설하거나 지정할 수도 있고, 학생들이 온라인 강좌 시스템으로 학교에서 개설되지 않은 교과도 이수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게 교육부 설명이다.

교육과정 운영과 평가 영역에서는 교사의 자율성이 확대된다. 중간·기말고사 등 단위학교에서 이뤄지는 평가를 최소화하고 교사 재량으로 과목별 특성과 학생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최적화된 평가방식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예를 들어 출석, 과제, 퀴즈, 발표·토론참여도, 중간·기말고사 성적을 각각 점수로 환산해 성적에 반영하고 평가에서 원하는 성적을 받지 못했을 경우 과제나 재시험 기회를 주는 식이다.

여기에 학생 개개인의 역량과 특성에 최적화한 맞춤형 교육을 위해 지능형 학습 플랫폼이 개발된다.

이 플랫폼은 수행결과물, 학습시간, 참여횟수 등 학생의 학습 관련 데이터를 분석해 학생들에게 학습 안내를 해주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교과성적과 각종 창의적 체험활동 등 모든 학습결과를 누적한 '온라인 학습포트폴리오'에서 수집된 빅데이터를 이용하게 된다.

교육부는 이번에 발표한 시안을 바탕으로 시·도교육청, 전문가, 교사, 학부모 등의 의견을 수렴해 전략을 수정·보완하고 2017년 상반기 중에 구체적인 정책과 로드맵을 확정할 계획이다.

이영 교육부 차관은 “4차 산업혁명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중장기 비전”이라며 “미래교육 방향을 정하는 건 자라나는 아이들을 위한 우리 세대의 사명이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