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경사로, T자 코스’ 어려워진 운전면허 시험 오늘부터 시행
입력 2016.12.22 (18:53) 수정 2016.12.22 (19:59) 사회
학과시험과 장내 주행 시험 등을 대폭 강화한 운전면허 시험이 오늘(22)부터 전면 시행되면서 탈락자들이 속출하고 있다.
서울 강서운전면허시험장의 경우 오전 한때 40여 명의 응시생 가운데 단 한 명이 합격하는 등 92%가 넘는 합격률을 보였던 어제까지의 쉬운 시험과는 극명한 대조를 보였다.
특히 경찰이 시험 난이도를 높인 뒤 시범적으로 시행해본 결과 80%대로 확인된 합격률보다 실제 합격률은 훨씬 낮을 것으로 보인다.
오늘부터 시행되고 있는 면허시험은 응시생들이 많이 탈락해 지난 2011년 폐지됐던 장내시험의 'T자 코스' 항목과 '경사로 정지 뒤 출발하기' 항목이 부활하는 등 장내 주행 코스가 2개에서 7개로 확대 강화됐고, 주행 거리도 50미터에서 300미터로 늘었다.
도로 주행 시험에서는 차량 성능 향상으로 시험의 필요성이 없어진 항목이 폐지되고, 끼어들기 위반이나 방향지시등 작동 여부 등 난폭 운전을 방지하는 항목이 높은 배점으로 추가됐다.
실격 기준도 강화돼 기존 장내 기능 시험에서는 '안전띠 미착용' 등 2가지 항목이 실격 사유였지만, 새로 바뀌는 시험에서는 '30초 내 미출발'등 5개 사유가 추가됐다.
또 주행 시험에서 지금까지 다섯 차례 넘게 엔진 정지 상태가 되면 실격이었지만, 오늘부터는 세 차례만 엔진을 멈춰도 실격 처리된다.
경찰은 지난 2011년 면허시험 간소화 이후 운전면허를 따기가 쉬워지면서 사고 위험도 높아졌다는 지적이 일자 검토를 거쳐 관련 법령을 개정했다.
서울 강서운전면허시험장의 경우 오전 한때 40여 명의 응시생 가운데 단 한 명이 합격하는 등 92%가 넘는 합격률을 보였던 어제까지의 쉬운 시험과는 극명한 대조를 보였다.
특히 경찰이 시험 난이도를 높인 뒤 시범적으로 시행해본 결과 80%대로 확인된 합격률보다 실제 합격률은 훨씬 낮을 것으로 보인다.
오늘부터 시행되고 있는 면허시험은 응시생들이 많이 탈락해 지난 2011년 폐지됐던 장내시험의 'T자 코스' 항목과 '경사로 정지 뒤 출발하기' 항목이 부활하는 등 장내 주행 코스가 2개에서 7개로 확대 강화됐고, 주행 거리도 50미터에서 300미터로 늘었다.
도로 주행 시험에서는 차량 성능 향상으로 시험의 필요성이 없어진 항목이 폐지되고, 끼어들기 위반이나 방향지시등 작동 여부 등 난폭 운전을 방지하는 항목이 높은 배점으로 추가됐다.
실격 기준도 강화돼 기존 장내 기능 시험에서는 '안전띠 미착용' 등 2가지 항목이 실격 사유였지만, 새로 바뀌는 시험에서는 '30초 내 미출발'등 5개 사유가 추가됐다.
또 주행 시험에서 지금까지 다섯 차례 넘게 엔진 정지 상태가 되면 실격이었지만, 오늘부터는 세 차례만 엔진을 멈춰도 실격 처리된다.
경찰은 지난 2011년 면허시험 간소화 이후 운전면허를 따기가 쉬워지면서 사고 위험도 높아졌다는 지적이 일자 검토를 거쳐 관련 법령을 개정했다.
- ‘경사로, T자 코스’ 어려워진 운전면허 시험 오늘부터 시행
-
- 입력 2016-12-22 18:53:22
- 수정2016-12-22 19:59:44

학과시험과 장내 주행 시험 등을 대폭 강화한 운전면허 시험이 오늘(22)부터 전면 시행되면서 탈락자들이 속출하고 있다.
서울 강서운전면허시험장의 경우 오전 한때 40여 명의 응시생 가운데 단 한 명이 합격하는 등 92%가 넘는 합격률을 보였던 어제까지의 쉬운 시험과는 극명한 대조를 보였다.
특히 경찰이 시험 난이도를 높인 뒤 시범적으로 시행해본 결과 80%대로 확인된 합격률보다 실제 합격률은 훨씬 낮을 것으로 보인다.
오늘부터 시행되고 있는 면허시험은 응시생들이 많이 탈락해 지난 2011년 폐지됐던 장내시험의 'T자 코스' 항목과 '경사로 정지 뒤 출발하기' 항목이 부활하는 등 장내 주행 코스가 2개에서 7개로 확대 강화됐고, 주행 거리도 50미터에서 300미터로 늘었다.
도로 주행 시험에서는 차량 성능 향상으로 시험의 필요성이 없어진 항목이 폐지되고, 끼어들기 위반이나 방향지시등 작동 여부 등 난폭 운전을 방지하는 항목이 높은 배점으로 추가됐다.
실격 기준도 강화돼 기존 장내 기능 시험에서는 '안전띠 미착용' 등 2가지 항목이 실격 사유였지만, 새로 바뀌는 시험에서는 '30초 내 미출발'등 5개 사유가 추가됐다.
또 주행 시험에서 지금까지 다섯 차례 넘게 엔진 정지 상태가 되면 실격이었지만, 오늘부터는 세 차례만 엔진을 멈춰도 실격 처리된다.
경찰은 지난 2011년 면허시험 간소화 이후 운전면허를 따기가 쉬워지면서 사고 위험도 높아졌다는 지적이 일자 검토를 거쳐 관련 법령을 개정했다.
서울 강서운전면허시험장의 경우 오전 한때 40여 명의 응시생 가운데 단 한 명이 합격하는 등 92%가 넘는 합격률을 보였던 어제까지의 쉬운 시험과는 극명한 대조를 보였다.
특히 경찰이 시험 난이도를 높인 뒤 시범적으로 시행해본 결과 80%대로 확인된 합격률보다 실제 합격률은 훨씬 낮을 것으로 보인다.
오늘부터 시행되고 있는 면허시험은 응시생들이 많이 탈락해 지난 2011년 폐지됐던 장내시험의 'T자 코스' 항목과 '경사로 정지 뒤 출발하기' 항목이 부활하는 등 장내 주행 코스가 2개에서 7개로 확대 강화됐고, 주행 거리도 50미터에서 300미터로 늘었다.
도로 주행 시험에서는 차량 성능 향상으로 시험의 필요성이 없어진 항목이 폐지되고, 끼어들기 위반이나 방향지시등 작동 여부 등 난폭 운전을 방지하는 항목이 높은 배점으로 추가됐다.
실격 기준도 강화돼 기존 장내 기능 시험에서는 '안전띠 미착용' 등 2가지 항목이 실격 사유였지만, 새로 바뀌는 시험에서는 '30초 내 미출발'등 5개 사유가 추가됐다.
또 주행 시험에서 지금까지 다섯 차례 넘게 엔진 정지 상태가 되면 실격이었지만, 오늘부터는 세 차례만 엔진을 멈춰도 실격 처리된다.
경찰은 지난 2011년 면허시험 간소화 이후 운전면허를 따기가 쉬워지면서 사고 위험도 높아졌다는 지적이 일자 검토를 거쳐 관련 법령을 개정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기자 정보
-
-
송금한 기자 email@kbs.co.kr
송금한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