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소녀상 압박 ‘10억 엔’ 때문? 속내는?
입력 2017.01.09 (08:16)
수정 2017.01.09 (09:2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자 멘트>
부산 일본 영사관 앞에 설치된 위안부 소녀상입니다.
시민들이 한 푼 두 푼 모은 8500만 원으로 만들었습니다.
부산 소녀상은 지난 2015년 12월 28일 진행된 한일 위안부 합의로 인해 제작됐습니다.
지난 12월 28일 합의 1년에 맞춰 영사관 앞에 설치하려다, 철거되는 등 우여곡절 끝에 30일 자리를 잡았습니다.
그러나 이를 계기로 일본의 외교 압박이 한층 격해졌습니다.
일본 정부는 소녀상을 이유로 오늘 주한 일본 대사와 부산 총영사를 일시 귀국조치했습니다.
일본 대사의 귀국은 지난 2012년 8월 당시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방문이후 처음입니다.
급기야, 일본 아베 총리가 직접 나서 우리 정부를 압박하기 시작했습니다.
윤석구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일본 외무성은 부산 일본 총영사관 앞 소녀상 설치에 반발해 나가미네 주한 일본대사와 모리모토 부산 총영사를 오늘 일시귀국시킨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사안에 대한 일본 측의 공식적인 항의표시입니다.
그동안 일본 정부 쪽에서는 스가 관방 장관 등 아베 총리의 측근 인물들이 군위안부 합의나 소녀상 문제를 언급해 왔는데요.
이번엔 아베 총리가 직접 나섰습니다.
아베 총리는 NHK 프로그램에 나와서 2015년 군위안부 문제에 관해 한일간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합의가 이뤄졌으며, 일본 정부는 이미 약속한 금액을 내 합의사항을 이행했다며 한국 정부를 겨냥했습니다.
재단에 10억 엔을 모두 거출했으니 다음은 한국이 충실하게 성의를 보이지 않으면 안된다는 겁니다.
직접 언급은 없었지만, '성의'를 보이라는 것은 곧 서울과 부산에 설치된 소녀상 철거 요구를 시사한 것이라고 NHK는 보도했습니다.
아베 총리는 또 "한국에서 정권이 바뀌더라도 합의를 실행해야하며, 이는 국가 신용의 문제"라고 말했습니다.
이에 대해 우리 외교부는 일단 직접적인 대응을 피한 채, 군위안부 문제 합의 내용을 양측이 착실히 이행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원론적인 입장만을 재확인했습니다.
일본에선 소녀상을 둘러싼 한일간 갈등이 표면화 되면서 당분간 양국 사이에 냉각기가 예상된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도쿄에서 전해드렸습니다.
<기자 멘트>
일본의 대응은 치밀하게 준비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특히 지난 6일 오전 일본 아베 총리는 미국 바이든 부통령과 통화하면서 한국과 소녀상에 대한 협의를 했습니다.
이를 두고 미국을 끌어들인 일본의 언론플레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내부적으로는, 이런 아베 총리의 강수가 환태평양 경제동반자 협정과 쿠릴 열도 4개 섬 반환 협상 부진에 대한 일본내 불만을 돌리려는 행보라는 분석이 일본 내에서도 나오고 있습니다.
따라서 일본 대사의 귀국 이후 일정 기간 동안, 한일 양국간 외교적 갈등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외부적으로는 미국의 정권 교체기와 한국의 국정 공백 상황인데요.
일본이 이를 노려 위안부 문제를 거론함으로써, 한미일 동맹에서 실리를 챙기고 우위를 노린다는 지적이 높습니다.
한국과 관계에서는 차기 정부를 상대로 위안부 문제를 선점하려 한다는 겁니다.
특히 미일 정상회담 조기 개최와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 후 조기 방일 등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이런 자리에서는 일본의 입맛에 맞게 소녀상과 위안부 문제 등 지역 안보 이슈를 재단할 우려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의 이런 압박에 대해 정치권은 한 목소리로 성토에 나섰습니다.
새누리당은 논평에서 "아베 총리가 집권과 총리직을 위해 한일 관계 현안까지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보여 바람직하지 않다"고 꼬집었습니다.
더불어민주당도 "민간 차원의 문제를 외교 갈등으로 몰고 가는 일본 정부에 대해 엄중 경고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국민의당도 "민간단체가 설치한 소녀상에 일본이 왜 이런 태도를 보이나. 양국간 무슨 이면합의라도 있나"라고 비판했습니다.
바른정당도 "위안부 합의에 소녀상 철거가 전제였는지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최근 행정법원은 위안부 합의 문서를 공개하라고 판결했는데요.
이를 두고 일부 정치권과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박근혜 정부의 무능외교"에 책임이 있다며, 판결에 따라 합의 교섭문서를 공개하고, 합의를 원천 무효로 해야 한다고 요구했습니다.
우리 정부는 일단 공식적인 반박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부산 일본 영사관 앞에 설치된 위안부 소녀상입니다.
시민들이 한 푼 두 푼 모은 8500만 원으로 만들었습니다.
부산 소녀상은 지난 2015년 12월 28일 진행된 한일 위안부 합의로 인해 제작됐습니다.
지난 12월 28일 합의 1년에 맞춰 영사관 앞에 설치하려다, 철거되는 등 우여곡절 끝에 30일 자리를 잡았습니다.
그러나 이를 계기로 일본의 외교 압박이 한층 격해졌습니다.
일본 정부는 소녀상을 이유로 오늘 주한 일본 대사와 부산 총영사를 일시 귀국조치했습니다.
일본 대사의 귀국은 지난 2012년 8월 당시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방문이후 처음입니다.
급기야, 일본 아베 총리가 직접 나서 우리 정부를 압박하기 시작했습니다.
윤석구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일본 외무성은 부산 일본 총영사관 앞 소녀상 설치에 반발해 나가미네 주한 일본대사와 모리모토 부산 총영사를 오늘 일시귀국시킨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사안에 대한 일본 측의 공식적인 항의표시입니다.
그동안 일본 정부 쪽에서는 스가 관방 장관 등 아베 총리의 측근 인물들이 군위안부 합의나 소녀상 문제를 언급해 왔는데요.
이번엔 아베 총리가 직접 나섰습니다.
아베 총리는 NHK 프로그램에 나와서 2015년 군위안부 문제에 관해 한일간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합의가 이뤄졌으며, 일본 정부는 이미 약속한 금액을 내 합의사항을 이행했다며 한국 정부를 겨냥했습니다.
재단에 10억 엔을 모두 거출했으니 다음은 한국이 충실하게 성의를 보이지 않으면 안된다는 겁니다.
직접 언급은 없었지만, '성의'를 보이라는 것은 곧 서울과 부산에 설치된 소녀상 철거 요구를 시사한 것이라고 NHK는 보도했습니다.
아베 총리는 또 "한국에서 정권이 바뀌더라도 합의를 실행해야하며, 이는 국가 신용의 문제"라고 말했습니다.
이에 대해 우리 외교부는 일단 직접적인 대응을 피한 채, 군위안부 문제 합의 내용을 양측이 착실히 이행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원론적인 입장만을 재확인했습니다.
일본에선 소녀상을 둘러싼 한일간 갈등이 표면화 되면서 당분간 양국 사이에 냉각기가 예상된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도쿄에서 전해드렸습니다.
<기자 멘트>
일본의 대응은 치밀하게 준비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특히 지난 6일 오전 일본 아베 총리는 미국 바이든 부통령과 통화하면서 한국과 소녀상에 대한 협의를 했습니다.
이를 두고 미국을 끌어들인 일본의 언론플레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내부적으로는, 이런 아베 총리의 강수가 환태평양 경제동반자 협정과 쿠릴 열도 4개 섬 반환 협상 부진에 대한 일본내 불만을 돌리려는 행보라는 분석이 일본 내에서도 나오고 있습니다.
따라서 일본 대사의 귀국 이후 일정 기간 동안, 한일 양국간 외교적 갈등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외부적으로는 미국의 정권 교체기와 한국의 국정 공백 상황인데요.
일본이 이를 노려 위안부 문제를 거론함으로써, 한미일 동맹에서 실리를 챙기고 우위를 노린다는 지적이 높습니다.
한국과 관계에서는 차기 정부를 상대로 위안부 문제를 선점하려 한다는 겁니다.
특히 미일 정상회담 조기 개최와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 후 조기 방일 등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이런 자리에서는 일본의 입맛에 맞게 소녀상과 위안부 문제 등 지역 안보 이슈를 재단할 우려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의 이런 압박에 대해 정치권은 한 목소리로 성토에 나섰습니다.
새누리당은 논평에서 "아베 총리가 집권과 총리직을 위해 한일 관계 현안까지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보여 바람직하지 않다"고 꼬집었습니다.
더불어민주당도 "민간 차원의 문제를 외교 갈등으로 몰고 가는 일본 정부에 대해 엄중 경고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국민의당도 "민간단체가 설치한 소녀상에 일본이 왜 이런 태도를 보이나. 양국간 무슨 이면합의라도 있나"라고 비판했습니다.
바른정당도 "위안부 합의에 소녀상 철거가 전제였는지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최근 행정법원은 위안부 합의 문서를 공개하라고 판결했는데요.
이를 두고 일부 정치권과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박근혜 정부의 무능외교"에 책임이 있다며, 판결에 따라 합의 교섭문서를 공개하고, 합의를 원천 무효로 해야 한다고 요구했습니다.
우리 정부는 일단 공식적인 반박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일본, 소녀상 압박 ‘10억 엔’ 때문? 속내는?
-
- 입력 2017-01-09 08:16:53
- 수정2017-01-09 09:27:09

<기자 멘트>
부산 일본 영사관 앞에 설치된 위안부 소녀상입니다.
시민들이 한 푼 두 푼 모은 8500만 원으로 만들었습니다.
부산 소녀상은 지난 2015년 12월 28일 진행된 한일 위안부 합의로 인해 제작됐습니다.
지난 12월 28일 합의 1년에 맞춰 영사관 앞에 설치하려다, 철거되는 등 우여곡절 끝에 30일 자리를 잡았습니다.
그러나 이를 계기로 일본의 외교 압박이 한층 격해졌습니다.
일본 정부는 소녀상을 이유로 오늘 주한 일본 대사와 부산 총영사를 일시 귀국조치했습니다.
일본 대사의 귀국은 지난 2012년 8월 당시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방문이후 처음입니다.
급기야, 일본 아베 총리가 직접 나서 우리 정부를 압박하기 시작했습니다.
윤석구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일본 외무성은 부산 일본 총영사관 앞 소녀상 설치에 반발해 나가미네 주한 일본대사와 모리모토 부산 총영사를 오늘 일시귀국시킨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사안에 대한 일본 측의 공식적인 항의표시입니다.
그동안 일본 정부 쪽에서는 스가 관방 장관 등 아베 총리의 측근 인물들이 군위안부 합의나 소녀상 문제를 언급해 왔는데요.
이번엔 아베 총리가 직접 나섰습니다.
아베 총리는 NHK 프로그램에 나와서 2015년 군위안부 문제에 관해 한일간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합의가 이뤄졌으며, 일본 정부는 이미 약속한 금액을 내 합의사항을 이행했다며 한국 정부를 겨냥했습니다.
재단에 10억 엔을 모두 거출했으니 다음은 한국이 충실하게 성의를 보이지 않으면 안된다는 겁니다.
직접 언급은 없었지만, '성의'를 보이라는 것은 곧 서울과 부산에 설치된 소녀상 철거 요구를 시사한 것이라고 NHK는 보도했습니다.
아베 총리는 또 "한국에서 정권이 바뀌더라도 합의를 실행해야하며, 이는 국가 신용의 문제"라고 말했습니다.
이에 대해 우리 외교부는 일단 직접적인 대응을 피한 채, 군위안부 문제 합의 내용을 양측이 착실히 이행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원론적인 입장만을 재확인했습니다.
일본에선 소녀상을 둘러싼 한일간 갈등이 표면화 되면서 당분간 양국 사이에 냉각기가 예상된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도쿄에서 전해드렸습니다.
<기자 멘트>
일본의 대응은 치밀하게 준비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특히 지난 6일 오전 일본 아베 총리는 미국 바이든 부통령과 통화하면서 한국과 소녀상에 대한 협의를 했습니다.
이를 두고 미국을 끌어들인 일본의 언론플레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내부적으로는, 이런 아베 총리의 강수가 환태평양 경제동반자 협정과 쿠릴 열도 4개 섬 반환 협상 부진에 대한 일본내 불만을 돌리려는 행보라는 분석이 일본 내에서도 나오고 있습니다.
따라서 일본 대사의 귀국 이후 일정 기간 동안, 한일 양국간 외교적 갈등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외부적으로는 미국의 정권 교체기와 한국의 국정 공백 상황인데요.
일본이 이를 노려 위안부 문제를 거론함으로써, 한미일 동맹에서 실리를 챙기고 우위를 노린다는 지적이 높습니다.
한국과 관계에서는 차기 정부를 상대로 위안부 문제를 선점하려 한다는 겁니다.
특히 미일 정상회담 조기 개최와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 후 조기 방일 등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이런 자리에서는 일본의 입맛에 맞게 소녀상과 위안부 문제 등 지역 안보 이슈를 재단할 우려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의 이런 압박에 대해 정치권은 한 목소리로 성토에 나섰습니다.
새누리당은 논평에서 "아베 총리가 집권과 총리직을 위해 한일 관계 현안까지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보여 바람직하지 않다"고 꼬집었습니다.
더불어민주당도 "민간 차원의 문제를 외교 갈등으로 몰고 가는 일본 정부에 대해 엄중 경고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국민의당도 "민간단체가 설치한 소녀상에 일본이 왜 이런 태도를 보이나. 양국간 무슨 이면합의라도 있나"라고 비판했습니다.
바른정당도 "위안부 합의에 소녀상 철거가 전제였는지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최근 행정법원은 위안부 합의 문서를 공개하라고 판결했는데요.
이를 두고 일부 정치권과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박근혜 정부의 무능외교"에 책임이 있다며, 판결에 따라 합의 교섭문서를 공개하고, 합의를 원천 무효로 해야 한다고 요구했습니다.
우리 정부는 일단 공식적인 반박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부산 일본 영사관 앞에 설치된 위안부 소녀상입니다.
시민들이 한 푼 두 푼 모은 8500만 원으로 만들었습니다.
부산 소녀상은 지난 2015년 12월 28일 진행된 한일 위안부 합의로 인해 제작됐습니다.
지난 12월 28일 합의 1년에 맞춰 영사관 앞에 설치하려다, 철거되는 등 우여곡절 끝에 30일 자리를 잡았습니다.
그러나 이를 계기로 일본의 외교 압박이 한층 격해졌습니다.
일본 정부는 소녀상을 이유로 오늘 주한 일본 대사와 부산 총영사를 일시 귀국조치했습니다.
일본 대사의 귀국은 지난 2012년 8월 당시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방문이후 처음입니다.
급기야, 일본 아베 총리가 직접 나서 우리 정부를 압박하기 시작했습니다.
윤석구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일본 외무성은 부산 일본 총영사관 앞 소녀상 설치에 반발해 나가미네 주한 일본대사와 모리모토 부산 총영사를 오늘 일시귀국시킨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사안에 대한 일본 측의 공식적인 항의표시입니다.
그동안 일본 정부 쪽에서는 스가 관방 장관 등 아베 총리의 측근 인물들이 군위안부 합의나 소녀상 문제를 언급해 왔는데요.
이번엔 아베 총리가 직접 나섰습니다.
아베 총리는 NHK 프로그램에 나와서 2015년 군위안부 문제에 관해 한일간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합의가 이뤄졌으며, 일본 정부는 이미 약속한 금액을 내 합의사항을 이행했다며 한국 정부를 겨냥했습니다.
재단에 10억 엔을 모두 거출했으니 다음은 한국이 충실하게 성의를 보이지 않으면 안된다는 겁니다.
직접 언급은 없었지만, '성의'를 보이라는 것은 곧 서울과 부산에 설치된 소녀상 철거 요구를 시사한 것이라고 NHK는 보도했습니다.
아베 총리는 또 "한국에서 정권이 바뀌더라도 합의를 실행해야하며, 이는 국가 신용의 문제"라고 말했습니다.
이에 대해 우리 외교부는 일단 직접적인 대응을 피한 채, 군위안부 문제 합의 내용을 양측이 착실히 이행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원론적인 입장만을 재확인했습니다.
일본에선 소녀상을 둘러싼 한일간 갈등이 표면화 되면서 당분간 양국 사이에 냉각기가 예상된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도쿄에서 전해드렸습니다.
<기자 멘트>
일본의 대응은 치밀하게 준비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특히 지난 6일 오전 일본 아베 총리는 미국 바이든 부통령과 통화하면서 한국과 소녀상에 대한 협의를 했습니다.
이를 두고 미국을 끌어들인 일본의 언론플레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내부적으로는, 이런 아베 총리의 강수가 환태평양 경제동반자 협정과 쿠릴 열도 4개 섬 반환 협상 부진에 대한 일본내 불만을 돌리려는 행보라는 분석이 일본 내에서도 나오고 있습니다.
따라서 일본 대사의 귀국 이후 일정 기간 동안, 한일 양국간 외교적 갈등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외부적으로는 미국의 정권 교체기와 한국의 국정 공백 상황인데요.
일본이 이를 노려 위안부 문제를 거론함으로써, 한미일 동맹에서 실리를 챙기고 우위를 노린다는 지적이 높습니다.
한국과 관계에서는 차기 정부를 상대로 위안부 문제를 선점하려 한다는 겁니다.
특히 미일 정상회담 조기 개최와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 후 조기 방일 등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이런 자리에서는 일본의 입맛에 맞게 소녀상과 위안부 문제 등 지역 안보 이슈를 재단할 우려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의 이런 압박에 대해 정치권은 한 목소리로 성토에 나섰습니다.
새누리당은 논평에서 "아베 총리가 집권과 총리직을 위해 한일 관계 현안까지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보여 바람직하지 않다"고 꼬집었습니다.
더불어민주당도 "민간 차원의 문제를 외교 갈등으로 몰고 가는 일본 정부에 대해 엄중 경고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국민의당도 "민간단체가 설치한 소녀상에 일본이 왜 이런 태도를 보이나. 양국간 무슨 이면합의라도 있나"라고 비판했습니다.
바른정당도 "위안부 합의에 소녀상 철거가 전제였는지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최근 행정법원은 위안부 합의 문서를 공개하라고 판결했는데요.
이를 두고 일부 정치권과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박근혜 정부의 무능외교"에 책임이 있다며, 판결에 따라 합의 교섭문서를 공개하고, 합의를 원천 무효로 해야 한다고 요구했습니다.
우리 정부는 일단 공식적인 반박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
-
박경호 기자 4right@kbs.co.kr
박경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윤석구 기자 sukkoo@kbs.co.kr
윤석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