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 리포트] 학자금 대출의 늪…“빚 갚으려 청춘 반납”

입력 2017.01.12 (21:31) 수정 2017.01.12 (21: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대학생들의 학자금 누적 대출금이 10조 원을 훌쩍 넘었습니다.

경기불황에 취업난까지 더해진 마당에, 청년들은 사회에 첫 발을 내딛기도 전부터 '빚더미'에 허리가 휠 지경인데요.

무작정 희망만을 논할 수 없는, '청춘'을 반납한 청년들의 일상을 엄진아 기자가 함께 했습니다.

<리포트>

오전 8시, 대학교 2학년 강현욱 씨가 집을 나섭니다.

방학 동안 낮엔 편의점, 저녁엔 PC방에서 아르바이트를 합니다.

<녹취> "네, 6,100원 입니다."

집의 부담을 덜겠다고 입학과 동시에 학자금을 빌렸습니다.

등록금 4번을 모두 그렇게 해결했더니, 대출금 2천만 원이 쌓였습니다.

알바 인생의 시작이었습니다.

<녹취> 강현욱(대학교 2학년) : "(아르바이트를) 한 열 가지 정도 한 것 같아요. (예를 들면 어떤 것들이요?) 음식점 서빙부터 시작해서 PC방 관리, 당구장..."

일하는 도중에도 틈틈이 휴대폰을 들여다 봅니다.

주말 일자리를 찾는 겁니다.

언젠가는 대출 말고, 내 돈으로 등록금을 내는 게 바람입니다.

<인터뷰> 강현욱(대학교 2학년) : "지금 당장의 목표는 달마다 고정적인 수입이 조금씩 생기는 거, 왜냐하면 아르바이트도 방학 끝나고 개강을 하면 또 못 하잖아요."

장경환 씨는 1년 넘게 휴학 중입니다.

학교를 더 다닐수록 빚이 늘어나는 현실.

공부를 잠시 미루고 일을 선택했습니다.

<녹취> 장경환(휴학생) : "갚을 걸 생각을 하고, 또 (대출) 액수가 1천만 원 단위까지 올라가니까..."

올해부턴 매 달 월급에서 50만 원씩, 대출금을 갚아야 합니다.

<인터뷰> 장경환(휴학생) : "족쇄를 차고 걸어다니는 것 같은 느낌... 한 달에 버는 돈이 300~400만 원 되는 게 아니니까. 부담이 크게 느껴집니다."

지난 2000년 이후, 누적된 학자금 대출금은 약 17조 원.

해마다 대학생 70만여 명이 평균 300만 원 정도를 빌립니다.

지난 2015년 대학을 졸업한 이지윤씨는 직장을 얻은 기쁨도 잠시, 1년 만에 다시 취업준비생이 됐습니다.

원하던 일이었지만, 연봉 1,800만 원짜리 비정규직이었습니다.

한 달 월급 130만 원을 받아 방값과 공과금, 교통비, 동생에게 약속한 용돈을 제하면 47만 원이 남았습니다.

대출 원금 1천만 원은 거의 갚지 못했고, 상환을 미룰수록 이자도 늘었습니다.

<녹취> "문자가 오고, 또 메일도 오고..."

낯선 말, '채무자'란 메시지도 더 자주 받습니다.

<인터뷰> 이지윤(취업준비생) : "좀 암담하죠. 수업을 듣고, 학교에 다니려고, 결국엔 졸업장이란 서류 한 장 받으려고 빚을 진다는..."

하고 싶은 일과 해야만 하는 일.

다음 직장은 '꿈'보다 '돈'을 쫒을까봐 두렵기도 합니다.

<인터뷰> 이지윤(취업준비생) : "(대출 받지 않은) 친구들이랑 출발선이 다르다는 생각은 들어요. 부럽죠. 좀 더 할 수 있는 것들의 폭이 넓어지는 기분이 드니까. 그 아이들은."

이지윤씨의 복잡한 하루가 저물때, 강현욱씨의 야간 알바는 시작됩니다.

<인터뷰> 강현욱(대학교 2학년) : "(학자금 대출은) 애증 관계다. (왜 애증이예요?) 제가 학교 다닐 수 있게 도움은 주면서도, 피하고 싶은 현실이기도 해서."

학자금 대출자 중 4만 4,600여 명은 원금이나 이자를 제 때 갚지 못했습니다.

또, 이들 가운데 절반은 연체가 6개월 이상 이어져 '신용유의자'가 됐습니다.

KBS 뉴스 엄진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심층 리포트] 학자금 대출의 늪…“빚 갚으려 청춘 반납”
    • 입력 2017-01-12 21:32:23
    • 수정2017-01-12 21:38:42
    뉴스 9
<앵커 멘트>

대학생들의 학자금 누적 대출금이 10조 원을 훌쩍 넘었습니다.

경기불황에 취업난까지 더해진 마당에, 청년들은 사회에 첫 발을 내딛기도 전부터 '빚더미'에 허리가 휠 지경인데요.

무작정 희망만을 논할 수 없는, '청춘'을 반납한 청년들의 일상을 엄진아 기자가 함께 했습니다.

<리포트>

오전 8시, 대학교 2학년 강현욱 씨가 집을 나섭니다.

방학 동안 낮엔 편의점, 저녁엔 PC방에서 아르바이트를 합니다.

<녹취> "네, 6,100원 입니다."

집의 부담을 덜겠다고 입학과 동시에 학자금을 빌렸습니다.

등록금 4번을 모두 그렇게 해결했더니, 대출금 2천만 원이 쌓였습니다.

알바 인생의 시작이었습니다.

<녹취> 강현욱(대학교 2학년) : "(아르바이트를) 한 열 가지 정도 한 것 같아요. (예를 들면 어떤 것들이요?) 음식점 서빙부터 시작해서 PC방 관리, 당구장..."

일하는 도중에도 틈틈이 휴대폰을 들여다 봅니다.

주말 일자리를 찾는 겁니다.

언젠가는 대출 말고, 내 돈으로 등록금을 내는 게 바람입니다.

<인터뷰> 강현욱(대학교 2학년) : "지금 당장의 목표는 달마다 고정적인 수입이 조금씩 생기는 거, 왜냐하면 아르바이트도 방학 끝나고 개강을 하면 또 못 하잖아요."

장경환 씨는 1년 넘게 휴학 중입니다.

학교를 더 다닐수록 빚이 늘어나는 현실.

공부를 잠시 미루고 일을 선택했습니다.

<녹취> 장경환(휴학생) : "갚을 걸 생각을 하고, 또 (대출) 액수가 1천만 원 단위까지 올라가니까..."

올해부턴 매 달 월급에서 50만 원씩, 대출금을 갚아야 합니다.

<인터뷰> 장경환(휴학생) : "족쇄를 차고 걸어다니는 것 같은 느낌... 한 달에 버는 돈이 300~400만 원 되는 게 아니니까. 부담이 크게 느껴집니다."

지난 2000년 이후, 누적된 학자금 대출금은 약 17조 원.

해마다 대학생 70만여 명이 평균 300만 원 정도를 빌립니다.

지난 2015년 대학을 졸업한 이지윤씨는 직장을 얻은 기쁨도 잠시, 1년 만에 다시 취업준비생이 됐습니다.

원하던 일이었지만, 연봉 1,800만 원짜리 비정규직이었습니다.

한 달 월급 130만 원을 받아 방값과 공과금, 교통비, 동생에게 약속한 용돈을 제하면 47만 원이 남았습니다.

대출 원금 1천만 원은 거의 갚지 못했고, 상환을 미룰수록 이자도 늘었습니다.

<녹취> "문자가 오고, 또 메일도 오고..."

낯선 말, '채무자'란 메시지도 더 자주 받습니다.

<인터뷰> 이지윤(취업준비생) : "좀 암담하죠. 수업을 듣고, 학교에 다니려고, 결국엔 졸업장이란 서류 한 장 받으려고 빚을 진다는..."

하고 싶은 일과 해야만 하는 일.

다음 직장은 '꿈'보다 '돈'을 쫒을까봐 두렵기도 합니다.

<인터뷰> 이지윤(취업준비생) : "(대출 받지 않은) 친구들이랑 출발선이 다르다는 생각은 들어요. 부럽죠. 좀 더 할 수 있는 것들의 폭이 넓어지는 기분이 드니까. 그 아이들은."

이지윤씨의 복잡한 하루가 저물때, 강현욱씨의 야간 알바는 시작됩니다.

<인터뷰> 강현욱(대학교 2학년) : "(학자금 대출은) 애증 관계다. (왜 애증이예요?) 제가 학교 다닐 수 있게 도움은 주면서도, 피하고 싶은 현실이기도 해서."

학자금 대출자 중 4만 4,600여 명은 원금이나 이자를 제 때 갚지 못했습니다.

또, 이들 가운데 절반은 연체가 6개월 이상 이어져 '신용유의자'가 됐습니다.

KBS 뉴스 엄진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