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경제성장률 한국만 낮췄다…이유는?
입력 2017.01.18 (06:21)
수정 2017.01.18 (08: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IMF가 한국 성장률 전망을 2%대로 낮췄습니다.
반면 미국과 영국, 일본과 같은 주요 선진국들 성장률은 상향 조정됐습니다.
세계 경제가 공통으로 직면한 어려움 속에서, 유독 우리나라만 뒤처진 이유를 우한울 기자가 분석했습니다.
보도에 우한울 기자입니다.
<리포트>
사상 최고 매출을 경신했던 지난해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
우리나라에선 최대 특수라는 설대목을 맞고도, 파는 쪽도 사는 쪽도 걱정부터 앞섭니다.
<인터뷰> 최영민(백화점 직원) : "10% 정도 싸게 나왔는데 (김영란 법 때문에?) 네, 안하시는 분이 많으세요. 확실히 저렴한 것 찾으시고."
<인터뷰> 김명수(공장 운영) : "경기가 없으니까 일거리도 없잖아요. (일거리) 없어도 (선물은) 보내야해요. 거래처에는."
영국과 독일 같은 선진국들은 브렉시트 논란을 겪고도 이번에 성장 전망치가 모두 올랐습니다.
역시 국내 소비가 떠받쳐서입니다.
무역 의존도가 높고, 내수가 취약한 우리 경제는 작은 충격에도 더 움츠러 들고 있습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7년 8개월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습니다.
<녹취> 이주열(한국은행 총재) : "민간소비가 생각했던 것보다 좀 더 둔화되지 않을까 이번 조정의 주된 포인트가 되겠습니다."
무역 의존도가 높은 중국은 강도높은 세금 감면 정책으로 보호 무역주의라는 파고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는 추경 카드를 만지작거리지만, 불안정한 정치 일정으로 그마저도 불확실합니다.
<인터뷰> 김광석(한양대 국제학대학원 교수) : "인력유출 문제라든가 고물가라든가 각계층들의 문제를 바로잡을 수 있는 보완책을 마련하는 데 집중적인 (투자가 필요합니다)."
IMF는 우리 경제의 성장전망을 내린 이유를 밝히진 않았습니다.
하지만, 보호 무역주의의 확산, 신흥국 성장세 둔화처럼 글로벌 경제가 직면한 위험에 취약한 나라로 꼽혔다는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IMF가 한국 성장률 전망을 2%대로 낮췄습니다.
반면 미국과 영국, 일본과 같은 주요 선진국들 성장률은 상향 조정됐습니다.
세계 경제가 공통으로 직면한 어려움 속에서, 유독 우리나라만 뒤처진 이유를 우한울 기자가 분석했습니다.
보도에 우한울 기자입니다.
<리포트>
사상 최고 매출을 경신했던 지난해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
우리나라에선 최대 특수라는 설대목을 맞고도, 파는 쪽도 사는 쪽도 걱정부터 앞섭니다.
<인터뷰> 최영민(백화점 직원) : "10% 정도 싸게 나왔는데 (김영란 법 때문에?) 네, 안하시는 분이 많으세요. 확실히 저렴한 것 찾으시고."
<인터뷰> 김명수(공장 운영) : "경기가 없으니까 일거리도 없잖아요. (일거리) 없어도 (선물은) 보내야해요. 거래처에는."
영국과 독일 같은 선진국들은 브렉시트 논란을 겪고도 이번에 성장 전망치가 모두 올랐습니다.
역시 국내 소비가 떠받쳐서입니다.
무역 의존도가 높고, 내수가 취약한 우리 경제는 작은 충격에도 더 움츠러 들고 있습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7년 8개월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습니다.
<녹취> 이주열(한국은행 총재) : "민간소비가 생각했던 것보다 좀 더 둔화되지 않을까 이번 조정의 주된 포인트가 되겠습니다."
무역 의존도가 높은 중국은 강도높은 세금 감면 정책으로 보호 무역주의라는 파고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는 추경 카드를 만지작거리지만, 불안정한 정치 일정으로 그마저도 불확실합니다.
<인터뷰> 김광석(한양대 국제학대학원 교수) : "인력유출 문제라든가 고물가라든가 각계층들의 문제를 바로잡을 수 있는 보완책을 마련하는 데 집중적인 (투자가 필요합니다)."
IMF는 우리 경제의 성장전망을 내린 이유를 밝히진 않았습니다.
하지만, 보호 무역주의의 확산, 신흥국 성장세 둔화처럼 글로벌 경제가 직면한 위험에 취약한 나라로 꼽혔다는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IMF, 경제성장률 한국만 낮췄다…이유는?
-
- 입력 2017-01-18 06:23:25
- 수정2017-01-18 08:24:28
<앵커 멘트>
IMF가 한국 성장률 전망을 2%대로 낮췄습니다.
반면 미국과 영국, 일본과 같은 주요 선진국들 성장률은 상향 조정됐습니다.
세계 경제가 공통으로 직면한 어려움 속에서, 유독 우리나라만 뒤처진 이유를 우한울 기자가 분석했습니다.
보도에 우한울 기자입니다.
<리포트>
사상 최고 매출을 경신했던 지난해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
우리나라에선 최대 특수라는 설대목을 맞고도, 파는 쪽도 사는 쪽도 걱정부터 앞섭니다.
<인터뷰> 최영민(백화점 직원) : "10% 정도 싸게 나왔는데 (김영란 법 때문에?) 네, 안하시는 분이 많으세요. 확실히 저렴한 것 찾으시고."
<인터뷰> 김명수(공장 운영) : "경기가 없으니까 일거리도 없잖아요. (일거리) 없어도 (선물은) 보내야해요. 거래처에는."
영국과 독일 같은 선진국들은 브렉시트 논란을 겪고도 이번에 성장 전망치가 모두 올랐습니다.
역시 국내 소비가 떠받쳐서입니다.
무역 의존도가 높고, 내수가 취약한 우리 경제는 작은 충격에도 더 움츠러 들고 있습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7년 8개월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습니다.
<녹취> 이주열(한국은행 총재) : "민간소비가 생각했던 것보다 좀 더 둔화되지 않을까 이번 조정의 주된 포인트가 되겠습니다."
무역 의존도가 높은 중국은 강도높은 세금 감면 정책으로 보호 무역주의라는 파고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는 추경 카드를 만지작거리지만, 불안정한 정치 일정으로 그마저도 불확실합니다.
<인터뷰> 김광석(한양대 국제학대학원 교수) : "인력유출 문제라든가 고물가라든가 각계층들의 문제를 바로잡을 수 있는 보완책을 마련하는 데 집중적인 (투자가 필요합니다)."
IMF는 우리 경제의 성장전망을 내린 이유를 밝히진 않았습니다.
하지만, 보호 무역주의의 확산, 신흥국 성장세 둔화처럼 글로벌 경제가 직면한 위험에 취약한 나라로 꼽혔다는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IMF가 한국 성장률 전망을 2%대로 낮췄습니다.
반면 미국과 영국, 일본과 같은 주요 선진국들 성장률은 상향 조정됐습니다.
세계 경제가 공통으로 직면한 어려움 속에서, 유독 우리나라만 뒤처진 이유를 우한울 기자가 분석했습니다.
보도에 우한울 기자입니다.
<리포트>
사상 최고 매출을 경신했던 지난해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
우리나라에선 최대 특수라는 설대목을 맞고도, 파는 쪽도 사는 쪽도 걱정부터 앞섭니다.
<인터뷰> 최영민(백화점 직원) : "10% 정도 싸게 나왔는데 (김영란 법 때문에?) 네, 안하시는 분이 많으세요. 확실히 저렴한 것 찾으시고."
<인터뷰> 김명수(공장 운영) : "경기가 없으니까 일거리도 없잖아요. (일거리) 없어도 (선물은) 보내야해요. 거래처에는."
영국과 독일 같은 선진국들은 브렉시트 논란을 겪고도 이번에 성장 전망치가 모두 올랐습니다.
역시 국내 소비가 떠받쳐서입니다.
무역 의존도가 높고, 내수가 취약한 우리 경제는 작은 충격에도 더 움츠러 들고 있습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7년 8개월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습니다.
<녹취> 이주열(한국은행 총재) : "민간소비가 생각했던 것보다 좀 더 둔화되지 않을까 이번 조정의 주된 포인트가 되겠습니다."
무역 의존도가 높은 중국은 강도높은 세금 감면 정책으로 보호 무역주의라는 파고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는 추경 카드를 만지작거리지만, 불안정한 정치 일정으로 그마저도 불확실합니다.
<인터뷰> 김광석(한양대 국제학대학원 교수) : "인력유출 문제라든가 고물가라든가 각계층들의 문제를 바로잡을 수 있는 보완책을 마련하는 데 집중적인 (투자가 필요합니다)."
IMF는 우리 경제의 성장전망을 내린 이유를 밝히진 않았습니다.
하지만, 보호 무역주의의 확산, 신흥국 성장세 둔화처럼 글로벌 경제가 직면한 위험에 취약한 나라로 꼽혔다는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
-
우한울 기자 whw@kbs.co.kr
우한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