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 통상장관 “한국 등 12개국과 무역협상 접촉 중”
입력 2017.01.19 (11:09)
수정 2017.01.19 (11: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가 이른바 '하드 브렉시트' 방침을 천명한 가운데 영국은 이미 한국과 중국 등 세계 12개국과 무역협정 체결을 위한 비공식 협상을 하고 있다고 영국 신문 텔레그래프가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리엄 폭스 영국 국제통상장관은 텔레그래프 기고에서 '브렉시트가 영국 번영의 핵심'이라고 전제하는 가운데 영국은 오는 2019년 유럽연합(EU) 탈퇴 후 공표될 협정들을 준비하기 위해 다수의 나라와 '무역 심사'를 실시 중이라고 밝혔다.
영국은 이에 따라 정부 각료와 관리들이 이미 한국과 중국, 인도, 호주를 비롯해 사우디아라비아와 오만 등의 중동 국가들과 협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텔레그래프는 전했다.
또 노르웨이와 뉴질랜드, 걸프협력위원회(GCC) 회원국들과도 초기 무역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폭스 장관은 기고에서 "우리가 EU를 떠나게 되면 호주, 뉴질랜드, 인도와 같은 나라들과 새로운 관계를 조성하게 되길 원할 것"이라면서 "호혜적인 무역과 투자에 대한 장벽 제거가 가능한지를 타진하기 위해 다수의 나라와 '무역 심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폭스 장관은 "우리는 이를 달성하기 위해 최대한의 자유가 필요하며 메이 총리가 EU 관세동맹 회원자격을 전면 배제한 것은 이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폭스 장관은 또 "영국 정부는 영국의 번영에 관해 결코 타협하지 않을 것이며 브렉시트를 번영에 대한 위협이 아니라 핵심 관건으로 간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EU 지도자들은 그동안 영국에 대해 브렉시트 절차가 완료될 때까지 공식적인 무역협상을 자제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해 왔다.
리엄 폭스 영국 국제통상장관은 텔레그래프 기고에서 '브렉시트가 영국 번영의 핵심'이라고 전제하는 가운데 영국은 오는 2019년 유럽연합(EU) 탈퇴 후 공표될 협정들을 준비하기 위해 다수의 나라와 '무역 심사'를 실시 중이라고 밝혔다.
영국은 이에 따라 정부 각료와 관리들이 이미 한국과 중국, 인도, 호주를 비롯해 사우디아라비아와 오만 등의 중동 국가들과 협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텔레그래프는 전했다.
또 노르웨이와 뉴질랜드, 걸프협력위원회(GCC) 회원국들과도 초기 무역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폭스 장관은 기고에서 "우리가 EU를 떠나게 되면 호주, 뉴질랜드, 인도와 같은 나라들과 새로운 관계를 조성하게 되길 원할 것"이라면서 "호혜적인 무역과 투자에 대한 장벽 제거가 가능한지를 타진하기 위해 다수의 나라와 '무역 심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폭스 장관은 "우리는 이를 달성하기 위해 최대한의 자유가 필요하며 메이 총리가 EU 관세동맹 회원자격을 전면 배제한 것은 이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폭스 장관은 또 "영국 정부는 영국의 번영에 관해 결코 타협하지 않을 것이며 브렉시트를 번영에 대한 위협이 아니라 핵심 관건으로 간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EU 지도자들은 그동안 영국에 대해 브렉시트 절차가 완료될 때까지 공식적인 무역협상을 자제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해 왔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英 통상장관 “한국 등 12개국과 무역협상 접촉 중”
-
- 입력 2017-01-19 11:09:26
- 수정2017-01-19 11:44:09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가 이른바 '하드 브렉시트' 방침을 천명한 가운데 영국은 이미 한국과 중국 등 세계 12개국과 무역협정 체결을 위한 비공식 협상을 하고 있다고 영국 신문 텔레그래프가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리엄 폭스 영국 국제통상장관은 텔레그래프 기고에서 '브렉시트가 영국 번영의 핵심'이라고 전제하는 가운데 영국은 오는 2019년 유럽연합(EU) 탈퇴 후 공표될 협정들을 준비하기 위해 다수의 나라와 '무역 심사'를 실시 중이라고 밝혔다.
영국은 이에 따라 정부 각료와 관리들이 이미 한국과 중국, 인도, 호주를 비롯해 사우디아라비아와 오만 등의 중동 국가들과 협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텔레그래프는 전했다.
또 노르웨이와 뉴질랜드, 걸프협력위원회(GCC) 회원국들과도 초기 무역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폭스 장관은 기고에서 "우리가 EU를 떠나게 되면 호주, 뉴질랜드, 인도와 같은 나라들과 새로운 관계를 조성하게 되길 원할 것"이라면서 "호혜적인 무역과 투자에 대한 장벽 제거가 가능한지를 타진하기 위해 다수의 나라와 '무역 심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폭스 장관은 "우리는 이를 달성하기 위해 최대한의 자유가 필요하며 메이 총리가 EU 관세동맹 회원자격을 전면 배제한 것은 이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폭스 장관은 또 "영국 정부는 영국의 번영에 관해 결코 타협하지 않을 것이며 브렉시트를 번영에 대한 위협이 아니라 핵심 관건으로 간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EU 지도자들은 그동안 영국에 대해 브렉시트 절차가 완료될 때까지 공식적인 무역협상을 자제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해 왔다.
리엄 폭스 영국 국제통상장관은 텔레그래프 기고에서 '브렉시트가 영국 번영의 핵심'이라고 전제하는 가운데 영국은 오는 2019년 유럽연합(EU) 탈퇴 후 공표될 협정들을 준비하기 위해 다수의 나라와 '무역 심사'를 실시 중이라고 밝혔다.
영국은 이에 따라 정부 각료와 관리들이 이미 한국과 중국, 인도, 호주를 비롯해 사우디아라비아와 오만 등의 중동 국가들과 협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텔레그래프는 전했다.
또 노르웨이와 뉴질랜드, 걸프협력위원회(GCC) 회원국들과도 초기 무역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폭스 장관은 기고에서 "우리가 EU를 떠나게 되면 호주, 뉴질랜드, 인도와 같은 나라들과 새로운 관계를 조성하게 되길 원할 것"이라면서 "호혜적인 무역과 투자에 대한 장벽 제거가 가능한지를 타진하기 위해 다수의 나라와 '무역 심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폭스 장관은 "우리는 이를 달성하기 위해 최대한의 자유가 필요하며 메이 총리가 EU 관세동맹 회원자격을 전면 배제한 것은 이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폭스 장관은 또 "영국 정부는 영국의 번영에 관해 결코 타협하지 않을 것이며 브렉시트를 번영에 대한 위협이 아니라 핵심 관건으로 간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EU 지도자들은 그동안 영국에 대해 브렉시트 절차가 완료될 때까지 공식적인 무역협상을 자제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해 왔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