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수입한 제품 10개 중 1개는 한국산

입력 2017.01.31 (13:51) 수정 2017.01.31 (14: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한국은 중국에 물건을 가장 많이 판 나라이자 중국에 가장 많은 투자를 한 나라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베이징(北京)지부는 중국 해관총서의 '2016년 수출입통계'를 인용해 지난해 중국의 한국 제품 수입액은 1천589억달러로, 전체 수입규모의 10.0%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한국은 중국 수입시장에서 2009년 이후 10% 안팎의 점유율을 꾸준히 유지해왔으며 2013년 일본을 제치고 점유율 1위 국가에 올랐다. 다만 점유율은 2012년 9.3%에서 2015년 10.4%로 매년 꾸준히 상승세를 보였지만, 지난해에는 10.0%로 소폭 하락했다.

중국에 대한 직접투자액 또한 중화권 국가인 싱가포르를 제외하면 한국이 가장 많았다. 중국 상무부가 발표한 대(對) 중국 직접투자액은 지난해 1∼11월 기준 1천138억달러다. 이 가운데 한국 투자액은 43억7천만달러로, 싱가포르 54억6천만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특히 한국의 중국 투자액은 전년보다 17.8% 급등하며 2006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국가별 중국 투자액을 보면 중화권 국가는 하락세를 보였지만, 서구권에서는 증가세를 나타냈다. 싱가포르 투자액은 전년보다 7.0%, 대만은 19.6% 감소했다. 일본도 6.5% 감소세를 기록했다.

반면, 미국과 독일은 각각 50.9%와 80.2%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수년간 한국산 제품은 중국 시장에서 견고한 위치를 점하고 있지만, 한반도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사드·THAAD)를 둘러싼 갈등으로 중국으로의 수출길은 점점 좁아지는 상황이다.

중국의 중간재 자급률이 높아지는 것도 우리 수출에는 위험 요인이다. 무역협회 베이징지부는 "중국의 경제·무역 구조 전환에 따른 수출 감소로 한국산 수입이 줄어드는 추세"라면서 "양국 정부 간 비관세조치 협의 기구 설치와 신속한 분쟁해결절차 도입 등을 통해 중국의 비관세조치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우리 기업이 겪는 어려움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이 수입한 제품 10개 중 1개는 한국산
    • 입력 2017-01-31 13:51:35
    • 수정2017-01-31 14:59:50
    경제
지난해 한국은 중국에 물건을 가장 많이 판 나라이자 중국에 가장 많은 투자를 한 나라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베이징(北京)지부는 중국 해관총서의 '2016년 수출입통계'를 인용해 지난해 중국의 한국 제품 수입액은 1천589억달러로, 전체 수입규모의 10.0%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한국은 중국 수입시장에서 2009년 이후 10% 안팎의 점유율을 꾸준히 유지해왔으며 2013년 일본을 제치고 점유율 1위 국가에 올랐다. 다만 점유율은 2012년 9.3%에서 2015년 10.4%로 매년 꾸준히 상승세를 보였지만, 지난해에는 10.0%로 소폭 하락했다.

중국에 대한 직접투자액 또한 중화권 국가인 싱가포르를 제외하면 한국이 가장 많았다. 중국 상무부가 발표한 대(對) 중국 직접투자액은 지난해 1∼11월 기준 1천138억달러다. 이 가운데 한국 투자액은 43억7천만달러로, 싱가포르 54억6천만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특히 한국의 중국 투자액은 전년보다 17.8% 급등하며 2006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국가별 중국 투자액을 보면 중화권 국가는 하락세를 보였지만, 서구권에서는 증가세를 나타냈다. 싱가포르 투자액은 전년보다 7.0%, 대만은 19.6% 감소했다. 일본도 6.5% 감소세를 기록했다.

반면, 미국과 독일은 각각 50.9%와 80.2%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수년간 한국산 제품은 중국 시장에서 견고한 위치를 점하고 있지만, 한반도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사드·THAAD)를 둘러싼 갈등으로 중국으로의 수출길은 점점 좁아지는 상황이다.

중국의 중간재 자급률이 높아지는 것도 우리 수출에는 위험 요인이다. 무역협회 베이징지부는 "중국의 경제·무역 구조 전환에 따른 수출 감소로 한국산 수입이 줄어드는 추세"라면서 "양국 정부 간 비관세조치 협의 기구 설치와 신속한 분쟁해결절차 도입 등을 통해 중국의 비관세조치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우리 기업이 겪는 어려움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