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24] 트럼프 행정명령 후폭풍…구글 임직원 시위까지

입력 2017.01.31 (21: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진희 앵커 >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동과 아프리카 7개 나라 사람들의 미국 입국을 일시 금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그 후폭풍이 미국뿐 아니라 세계 곳곳에서 계속되고 있습니다.

미국이 '이민자의 나라'로 불렸기 때문에 국가 정체성을 둘러싸고 논란이 더욱 커지는 모습입니다. 글로벌 이슈에서 짚어봅니다.


이재석 기자. '후폭풍'이라는 말이 딱 맞을 정도로 지금 미국이 많이 시끄러운 것 같아요.

○이재석 기자 > 요 며칠 사이에 국가적 논란이라고 할 만큼 분위기가 뜨거웠고 지금도 진행형입니다.


미국 주요 도시에서 이번 행정명령에 반대하는 집회가 날마다 이어지고 있습니다. 트럼프의 이번 결정이 이민자들로 구성된 나라인 미국의 근본적 성격, 정체성을 송두리째 부정하는 처사라는 겁니다.

거리의 시민들뿐 아니라 정치권에서도 비판이 거셉니다.

오바마 전 대통령이 퇴임 뒤 첫 성명을 냈습니다. 신념과 종교를 이유로 개인을 차별하는 것에 동의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뉴욕타임스 보도를 보면 재외공관에 근무하는 미국 외교관 백여 명이 연판장을 돌리고 있다고 합니다. 이번 행정명령에 집단 반발하고 있는 거죠.

미국은 연방제니까, 주마다 장관들이 따로 있거든요. 15개 주 법무장관들이 헌법 위반이라고 비판 성명을 냈구요, 민주당은 말할 것도 없고 공화당 내부에서도 매케인 상원의원을 비롯해서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는 실정입니다.

■김진희 앵커 > 정말 각계각층에서 비판을 하고 있네요. 이번 행정명령이 뭔지 짚어볼까요.


○이재석 기자 > 미국 대통령은 '행정명령'이라는 걸 발동할 수 있습니다. 의회 승인 없이도 바로 효력을 갖는 건데, 지난주에 트럼프가 서명한 행정명령은 이런 거죠.

이라크, 시리아, 이란 등 중동과 아프리카 7개 나라 국민들이 석 달 동안 미국 입국을 하지 못하게 금지하는 내용이 핵심입니다. 테러 방지가 목적이라는 거죠.

■김진희 앵커 > 석 달 동안 일시적 금지니까 그 뒤에는 그러면 괜찮아지는 건가요.

○이재석 기자 > 원칙적으론 그렇습니다. 그러나 이미 곳곳에서 혼란이 벌어지고 있고, 나중에 또 이와 유사한 행정명령이나 법안이 나올 수도 있는 거니까 지금 논란이 되는 거겠죠.

이번 행정명령이 나온 이후 수백 명이 미국행 여객기에 탑승을 아예 못하거나 미국 공항에 도착해서도 밖으로 못 나오고 발이 묶이는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이 여성은 합법적인 미국 체류자인데, 소말리아에 두고 온 딸을 못 데려오게 되는 거냐며 두려워합니다.

기업쪽 타격이 큽니다. 특히 IT 기업이 그런데요. 구글만 해도 직원들 가운데 최소 백 명이 이번 행정명령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고 미국 언론들은 전합니다.

트럼프 ‘반이민’ 행정명령에 반대하는 구글 임직원 시위트럼프 ‘반이민’ 행정명령에 반대하는 구글 임직원 시위

최고 경영자를 비롯해 구글 임직원 2천 명이 캘리포니아 본사에서 반대 시위를 벌였습니다. 애플, 아마존, 코카콜라, 포드... 내로라하는 기업의 경영자들도 비판 대열에 동참했습니다.

할리우드 배우 엠마 스톤할리우드 배우 엠마 스톤

문화예술계는 물론 더 말할 것도 없겠죠. 미국배우조합 시상식에서 애쉬튼 커쳐는 "공항에 억류된 여러분들도 미국의 일부다, 사랑한다"고 말했고 <라라랜드>의 여주인공 엠마 스톤도 "힘든 시기에 살고 있다, 용서할 수 없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고 트럼프를 비판했습니다.

■김진희 앵커 > 트럼프는 뭐라고 대응하고 있나요.


○이재석 기자 > 옳은 결정이었다고 주장합니다. 만약 미리 공지를 했다면 그 사이에 나쁜 사람들이 미국에 들어왔을 거다, 미국을 다시 안전하게 만들자, 이렇게 트위터에 올렸습니다.

물론 이런 트럼프 입장에 동의하는 미국인들도 상당수 있을 겁니다. 그런데 BBC 보도를 보면, 9·11 테러 이후 미국에서 일어난 테러에서 테러범 80%가 미국 시민이나 귀화 시민, 영주권자들이었다고 합니다. 즉, 테러 방지의 효과가 과연 있겠냐는 반론이 나오는 거죠.

또 9·11 테러범들의 경우 대다수가 사우디아라비아 출신인데, 이번 행정명령에서 사우디는 정작 빠져 있죠. 어떤 기준으로 7개 나라를 정한 거냐는 논란도 제기되고 있는 겁니다. 글로벌 이슈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글로벌24] 트럼프 행정명령 후폭풍…구글 임직원 시위까지
    • 입력 2017-01-31 21:01:09
    국제
■김진희 앵커 >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동과 아프리카 7개 나라 사람들의 미국 입국을 일시 금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그 후폭풍이 미국뿐 아니라 세계 곳곳에서 계속되고 있습니다.

미국이 '이민자의 나라'로 불렸기 때문에 국가 정체성을 둘러싸고 논란이 더욱 커지는 모습입니다. 글로벌 이슈에서 짚어봅니다.


이재석 기자. '후폭풍'이라는 말이 딱 맞을 정도로 지금 미국이 많이 시끄러운 것 같아요.

○이재석 기자 > 요 며칠 사이에 국가적 논란이라고 할 만큼 분위기가 뜨거웠고 지금도 진행형입니다.


미국 주요 도시에서 이번 행정명령에 반대하는 집회가 날마다 이어지고 있습니다. 트럼프의 이번 결정이 이민자들로 구성된 나라인 미국의 근본적 성격, 정체성을 송두리째 부정하는 처사라는 겁니다.

거리의 시민들뿐 아니라 정치권에서도 비판이 거셉니다.

오바마 전 대통령이 퇴임 뒤 첫 성명을 냈습니다. 신념과 종교를 이유로 개인을 차별하는 것에 동의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뉴욕타임스 보도를 보면 재외공관에 근무하는 미국 외교관 백여 명이 연판장을 돌리고 있다고 합니다. 이번 행정명령에 집단 반발하고 있는 거죠.

미국은 연방제니까, 주마다 장관들이 따로 있거든요. 15개 주 법무장관들이 헌법 위반이라고 비판 성명을 냈구요, 민주당은 말할 것도 없고 공화당 내부에서도 매케인 상원의원을 비롯해서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는 실정입니다.

■김진희 앵커 > 정말 각계각층에서 비판을 하고 있네요. 이번 행정명령이 뭔지 짚어볼까요.


○이재석 기자 > 미국 대통령은 '행정명령'이라는 걸 발동할 수 있습니다. 의회 승인 없이도 바로 효력을 갖는 건데, 지난주에 트럼프가 서명한 행정명령은 이런 거죠.

이라크, 시리아, 이란 등 중동과 아프리카 7개 나라 국민들이 석 달 동안 미국 입국을 하지 못하게 금지하는 내용이 핵심입니다. 테러 방지가 목적이라는 거죠.

■김진희 앵커 > 석 달 동안 일시적 금지니까 그 뒤에는 그러면 괜찮아지는 건가요.

○이재석 기자 > 원칙적으론 그렇습니다. 그러나 이미 곳곳에서 혼란이 벌어지고 있고, 나중에 또 이와 유사한 행정명령이나 법안이 나올 수도 있는 거니까 지금 논란이 되는 거겠죠.

이번 행정명령이 나온 이후 수백 명이 미국행 여객기에 탑승을 아예 못하거나 미국 공항에 도착해서도 밖으로 못 나오고 발이 묶이는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이 여성은 합법적인 미국 체류자인데, 소말리아에 두고 온 딸을 못 데려오게 되는 거냐며 두려워합니다.

기업쪽 타격이 큽니다. 특히 IT 기업이 그런데요. 구글만 해도 직원들 가운데 최소 백 명이 이번 행정명령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고 미국 언론들은 전합니다.

트럼프 ‘반이민’ 행정명령에 반대하는 구글 임직원 시위
최고 경영자를 비롯해 구글 임직원 2천 명이 캘리포니아 본사에서 반대 시위를 벌였습니다. 애플, 아마존, 코카콜라, 포드... 내로라하는 기업의 경영자들도 비판 대열에 동참했습니다.

할리우드 배우 엠마 스톤
문화예술계는 물론 더 말할 것도 없겠죠. 미국배우조합 시상식에서 애쉬튼 커쳐는 "공항에 억류된 여러분들도 미국의 일부다, 사랑한다"고 말했고 <라라랜드>의 여주인공 엠마 스톤도 "힘든 시기에 살고 있다, 용서할 수 없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고 트럼프를 비판했습니다.

■김진희 앵커 > 트럼프는 뭐라고 대응하고 있나요.


○이재석 기자 > 옳은 결정이었다고 주장합니다. 만약 미리 공지를 했다면 그 사이에 나쁜 사람들이 미국에 들어왔을 거다, 미국을 다시 안전하게 만들자, 이렇게 트위터에 올렸습니다.

물론 이런 트럼프 입장에 동의하는 미국인들도 상당수 있을 겁니다. 그런데 BBC 보도를 보면, 9·11 테러 이후 미국에서 일어난 테러에서 테러범 80%가 미국 시민이나 귀화 시민, 영주권자들이었다고 합니다. 즉, 테러 방지의 효과가 과연 있겠냐는 반론이 나오는 거죠.

또 9·11 테러범들의 경우 대다수가 사우디아라비아 출신인데, 이번 행정명령에서 사우디는 정작 빠져 있죠. 어떤 기준으로 7개 나라를 정한 거냐는 논란도 제기되고 있는 겁니다. 글로벌 이슈였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