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쇠고기 자급률 13년 만에 40% 붕괴
입력 2017.02.02 (10:08) 수정 2017.02.02 (10:28) 경제
쇠고기 자급률이 40% 아래로 떨어졌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최근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쇠고기 자급률 추정치는 37.7%에 그쳐 2003년 36.3%에 이어 13년만에 40% 아래로 내려갔다.
농촌경제연구원은 한미 자유무역협정 FTA의 발효 시점인 2012년을 기점으로 가격 폭락을 우려한 농가들이 사육 마릿수를 대폭 줄이고 정부가 암소 감축에 나서면서 한우 공급량이 빠른 속도로 감소한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최근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쇠고기 자급률 추정치는 37.7%에 그쳐 2003년 36.3%에 이어 13년만에 40% 아래로 내려갔다.
농촌경제연구원은 한미 자유무역협정 FTA의 발효 시점인 2012년을 기점으로 가격 폭락을 우려한 농가들이 사육 마릿수를 대폭 줄이고 정부가 암소 감축에 나서면서 한우 공급량이 빠른 속도로 감소한 것으로 보고 있다.
- 쇠고기 자급률 13년 만에 40% 붕괴
-
- 입력 2017-02-02 10:08:35
- 수정2017-02-02 10:28:19

쇠고기 자급률이 40% 아래로 떨어졌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최근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쇠고기 자급률 추정치는 37.7%에 그쳐 2003년 36.3%에 이어 13년만에 40% 아래로 내려갔다.
농촌경제연구원은 한미 자유무역협정 FTA의 발효 시점인 2012년을 기점으로 가격 폭락을 우려한 농가들이 사육 마릿수를 대폭 줄이고 정부가 암소 감축에 나서면서 한우 공급량이 빠른 속도로 감소한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최근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쇠고기 자급률 추정치는 37.7%에 그쳐 2003년 36.3%에 이어 13년만에 40% 아래로 내려갔다.
농촌경제연구원은 한미 자유무역협정 FTA의 발효 시점인 2012년을 기점으로 가격 폭락을 우려한 농가들이 사육 마릿수를 대폭 줄이고 정부가 암소 감축에 나서면서 한우 공급량이 빠른 속도로 감소한 것으로 보고 있다.
- 기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