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위기에 日 사립대들 공립 전환 러시

입력 2017.02.05 (13:57) 수정 2017.02.05 (14: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출산 고령화 현상이 심각한 일본에서 공립으로 전환하려는 사립대들이 늘어나고 있다.

5일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일본에서 지난 2009년 이후 현재까지 7개 사립대가 공립으로 전환했으며 6개의 다른 사립대는 공립 전환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립대의 공립 전환 움직임은 저출산으로 인해 신입생이 줄어들어 사립대가 심각한 경영난에 시달리고 있기 때문이다.

야마구치(山口) 현 도쿄이과대는 저출산으로 학생 수가 줄어들면서 경영난에 시달리다 대학이 문을 닫을 위기에까지 처하자 이 대학이 속한 지자체인 산요오노다(山陽小野田)시가 인수했다. 안 그래도 인구수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대학마저 문을 닫으면 더 활기를 잃을 것이 눈에 뻔히 보였기 때문이다.

이 대학과 비슷한 상황에 처한 사립대학 중 시즈오카(靜岡)문화예술대, 돗토리(鳥取)환경대, 고우치(告知)대 등이 지난 수년 사이에 공립대가 됐다.

나가노(長野)대, 아사히카와(旭川)대, 니가타(新潟)산업대 등 6개 대학은 지자체와 협상을 진행 중이거나 협상을 마치고 공립으로 옷을 갈아입을 준비를 하고 있다.

지자체가 사립대를 인수하면 국가로부터 보조금을 받게 돼 학비를 낮출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미 사립 시절부터 지자체가 지원하는 경우도 있어서 지자체 입장에서 비용 부담이 그렇게까지 크게 늘어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만 인구가 구조적으로 줄어드는 상황에서 억지로 대학을 유지시키는 게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의견도 나온다.

류코쿠(龍谷)대 사토 류코(佐藤龍子) 교수는 "사립의 공립화는 지방의 고등교육기관 확보 등에서 어느 정도 의미가 있다"면서도 "학생을 모으지 못해 도태될 뻔한 사립대를 공립대의 형태로 유지하는 것이 세금 사용 방식으로 적절한지에 대해 신중하게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저출산 위기에 日 사립대들 공립 전환 러시
    • 입력 2017-02-05 13:57:16
    • 수정2017-02-05 14:16:55
    국제
저출산 고령화 현상이 심각한 일본에서 공립으로 전환하려는 사립대들이 늘어나고 있다.

5일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일본에서 지난 2009년 이후 현재까지 7개 사립대가 공립으로 전환했으며 6개의 다른 사립대는 공립 전환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립대의 공립 전환 움직임은 저출산으로 인해 신입생이 줄어들어 사립대가 심각한 경영난에 시달리고 있기 때문이다.

야마구치(山口) 현 도쿄이과대는 저출산으로 학생 수가 줄어들면서 경영난에 시달리다 대학이 문을 닫을 위기에까지 처하자 이 대학이 속한 지자체인 산요오노다(山陽小野田)시가 인수했다. 안 그래도 인구수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대학마저 문을 닫으면 더 활기를 잃을 것이 눈에 뻔히 보였기 때문이다.

이 대학과 비슷한 상황에 처한 사립대학 중 시즈오카(靜岡)문화예술대, 돗토리(鳥取)환경대, 고우치(告知)대 등이 지난 수년 사이에 공립대가 됐다.

나가노(長野)대, 아사히카와(旭川)대, 니가타(新潟)산업대 등 6개 대학은 지자체와 협상을 진행 중이거나 협상을 마치고 공립으로 옷을 갈아입을 준비를 하고 있다.

지자체가 사립대를 인수하면 국가로부터 보조금을 받게 돼 학비를 낮출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미 사립 시절부터 지자체가 지원하는 경우도 있어서 지자체 입장에서 비용 부담이 그렇게까지 크게 늘어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만 인구가 구조적으로 줄어드는 상황에서 억지로 대학을 유지시키는 게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의견도 나온다.

류코쿠(龍谷)대 사토 류코(佐藤龍子) 교수는 "사립의 공립화는 지방의 고등교육기관 확보 등에서 어느 정도 의미가 있다"면서도 "학생을 모으지 못해 도태될 뻔한 사립대를 공립대의 형태로 유지하는 것이 세금 사용 방식으로 적절한지에 대해 신중하게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