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가계빚 1344조 원…제2금융권 대출 급증
입력 2017.02.22 (06:30) 수정 2017.02.22 (07:16)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가계빚이 사상 최대 증가폭을 기록하며 1,300조 원을 넘어섰습니다.
특히 은행 문턱을 넘지 못하는 사람들이 제2금융권으로 흘러가는 이른바 '풍선 효과'가 현실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경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빚을 갚지 못해 채무 상담을 기다리는 사람들로 빈자리가 없습니다.
40대 주부 김 모 씨는 대부업체에서 생활비 400만 원을 빌렸다가, 신용 불량자가 됐습니다.
<녹취> 김OO(신용 불량자/음성변조) : "연체되면 아무것도 안 되더라고요. 다른 은행까지도 연결돼서."
빚으로 연명하는 '한계 가구'는 모두 182만 가구.
1년 새 15%나 증가했습니다.
전체 가계 빚 규모는 사상 최대인 1,344조 3천억 원.
지난 한 해 동안 141조 원 급증해 증가액으로도 사상 최대입니다.
특히 상호금융과 새마을금고 등 제2금융권의 대출이 42조 원 늘어나 은행권에 비해 증가세가 두드러졌습니다.
높아진 은행 문턱을 넘지 못한 저신용·저소득층이 제2금융권으로 대거 몰렸기 때문입니다.
부채의 질이 악화되면서, 금융당국이 다음 달부터는 제2금융권의 대출 규제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녹취> 정은보(금융위원회 부위원장) : "(제2금융권의) 대출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을 하고, 금감원의 실태 점검을 실시하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대출 금리마저 가파르게 오르고 있어 빚을 낸 가구가 추가 이자 부담을 견뎌내지 못할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가계빚이 사상 최대 증가폭을 기록하며 1,300조 원을 넘어섰습니다.
특히 은행 문턱을 넘지 못하는 사람들이 제2금융권으로 흘러가는 이른바 '풍선 효과'가 현실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경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빚을 갚지 못해 채무 상담을 기다리는 사람들로 빈자리가 없습니다.
40대 주부 김 모 씨는 대부업체에서 생활비 400만 원을 빌렸다가, 신용 불량자가 됐습니다.
<녹취> 김OO(신용 불량자/음성변조) : "연체되면 아무것도 안 되더라고요. 다른 은행까지도 연결돼서."
빚으로 연명하는 '한계 가구'는 모두 182만 가구.
1년 새 15%나 증가했습니다.
전체 가계 빚 규모는 사상 최대인 1,344조 3천억 원.
지난 한 해 동안 141조 원 급증해 증가액으로도 사상 최대입니다.
특히 상호금융과 새마을금고 등 제2금융권의 대출이 42조 원 늘어나 은행권에 비해 증가세가 두드러졌습니다.
높아진 은행 문턱을 넘지 못한 저신용·저소득층이 제2금융권으로 대거 몰렸기 때문입니다.
부채의 질이 악화되면서, 금융당국이 다음 달부터는 제2금융권의 대출 규제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녹취> 정은보(금융위원회 부위원장) : "(제2금융권의) 대출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을 하고, 금감원의 실태 점검을 실시하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대출 금리마저 가파르게 오르고 있어 빚을 낸 가구가 추가 이자 부담을 견뎌내지 못할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 가계빚 1344조 원…제2금융권 대출 급증
-
- 입력 2017-02-22 06:32:53
- 수정2017-02-22 07:16:44

<앵커 멘트>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가계빚이 사상 최대 증가폭을 기록하며 1,300조 원을 넘어섰습니다.
특히 은행 문턱을 넘지 못하는 사람들이 제2금융권으로 흘러가는 이른바 '풍선 효과'가 현실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경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빚을 갚지 못해 채무 상담을 기다리는 사람들로 빈자리가 없습니다.
40대 주부 김 모 씨는 대부업체에서 생활비 400만 원을 빌렸다가, 신용 불량자가 됐습니다.
<녹취> 김OO(신용 불량자/음성변조) : "연체되면 아무것도 안 되더라고요. 다른 은행까지도 연결돼서."
빚으로 연명하는 '한계 가구'는 모두 182만 가구.
1년 새 15%나 증가했습니다.
전체 가계 빚 규모는 사상 최대인 1,344조 3천억 원.
지난 한 해 동안 141조 원 급증해 증가액으로도 사상 최대입니다.
특히 상호금융과 새마을금고 등 제2금융권의 대출이 42조 원 늘어나 은행권에 비해 증가세가 두드러졌습니다.
높아진 은행 문턱을 넘지 못한 저신용·저소득층이 제2금융권으로 대거 몰렸기 때문입니다.
부채의 질이 악화되면서, 금융당국이 다음 달부터는 제2금융권의 대출 규제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녹취> 정은보(금융위원회 부위원장) : "(제2금융권의) 대출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을 하고, 금감원의 실태 점검을 실시하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대출 금리마저 가파르게 오르고 있어 빚을 낸 가구가 추가 이자 부담을 견뎌내지 못할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가계빚이 사상 최대 증가폭을 기록하며 1,300조 원을 넘어섰습니다.
특히 은행 문턱을 넘지 못하는 사람들이 제2금융권으로 흘러가는 이른바 '풍선 효과'가 현실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경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빚을 갚지 못해 채무 상담을 기다리는 사람들로 빈자리가 없습니다.
40대 주부 김 모 씨는 대부업체에서 생활비 400만 원을 빌렸다가, 신용 불량자가 됐습니다.
<녹취> 김OO(신용 불량자/음성변조) : "연체되면 아무것도 안 되더라고요. 다른 은행까지도 연결돼서."
빚으로 연명하는 '한계 가구'는 모두 182만 가구.
1년 새 15%나 증가했습니다.
전체 가계 빚 규모는 사상 최대인 1,344조 3천억 원.
지난 한 해 동안 141조 원 급증해 증가액으로도 사상 최대입니다.
특히 상호금융과 새마을금고 등 제2금융권의 대출이 42조 원 늘어나 은행권에 비해 증가세가 두드러졌습니다.
높아진 은행 문턱을 넘지 못한 저신용·저소득층이 제2금융권으로 대거 몰렸기 때문입니다.
부채의 질이 악화되면서, 금융당국이 다음 달부터는 제2금융권의 대출 규제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녹취> 정은보(금융위원회 부위원장) : "(제2금융권의) 대출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을 하고, 금감원의 실태 점검을 실시하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대출 금리마저 가파르게 오르고 있어 빚을 낸 가구가 추가 이자 부담을 견뎌내지 못할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경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광장 1부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김경진 기자 kjkim@kbs.co.kr
김경진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