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대미 무역흑자, 실질 교역액으로 보면 5분의 1 수준”
입력 2017.02.22 (10:49) 수정 2017.02.22 (14:19) 경제
우리나라의 대미 무역흑자를 실질 교역액인 부가가치 기준으로 보면 5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든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22일 '미국의 무역구조를 통해 본 우리의 대미 무역전략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2014년 세계산업연관표를 활용해 미국에 대한 무역 흑자를 부가가치 기준으로 환산한 결과, 345억달러에서 72억달러로 79.1% 감소했다"고 밝혔다.
세계산업연관표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를 비롯해 유럽 12개 연구기관이 공동 작성한 통계로, 우리나라 등 총 43개국 56개 산업의 무역현황을 다룬다.
우리나라가 미국과의 교역에서 낸 실질적인 흑자가 무역흑자 총액기준 20% 수준으로 한국 수출품의 부가가치가 그만큼 높지 않다는 뜻이다.
부가가치 환산에 따른 감소 폭은 한국(79.1%)이 미국의 주요 교역국인 일본(69.3%), 독일(65.6%), 멕시코(55.9%), 중국(45.1%)보다 훨씬 크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수출의 부가가치율은 63.3%로 미국(87.2%), 일본(78.9%), 독일(71.2%) 등 선진국은 물론 중국(82.6%)보다도 낮았다.
보고서는 "한국은 원자재와 중간재의 해외조달 비중이 높고 전기·전자, 기계 등 조립가공제품의 수출 비중이 커 부가가치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우리나라의 대미 서비스수지 적자가 커지고 있고 투자를 늘리고 있다는 것도 한·미 FTA 재협상의 방어논리로 부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22일 '미국의 무역구조를 통해 본 우리의 대미 무역전략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2014년 세계산업연관표를 활용해 미국에 대한 무역 흑자를 부가가치 기준으로 환산한 결과, 345억달러에서 72억달러로 79.1% 감소했다"고 밝혔다.
세계산업연관표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를 비롯해 유럽 12개 연구기관이 공동 작성한 통계로, 우리나라 등 총 43개국 56개 산업의 무역현황을 다룬다.
우리나라가 미국과의 교역에서 낸 실질적인 흑자가 무역흑자 총액기준 20% 수준으로 한국 수출품의 부가가치가 그만큼 높지 않다는 뜻이다.
부가가치 환산에 따른 감소 폭은 한국(79.1%)이 미국의 주요 교역국인 일본(69.3%), 독일(65.6%), 멕시코(55.9%), 중국(45.1%)보다 훨씬 크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수출의 부가가치율은 63.3%로 미국(87.2%), 일본(78.9%), 독일(71.2%) 등 선진국은 물론 중국(82.6%)보다도 낮았다.
보고서는 "한국은 원자재와 중간재의 해외조달 비중이 높고 전기·전자, 기계 등 조립가공제품의 수출 비중이 커 부가가치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우리나라의 대미 서비스수지 적자가 커지고 있고 투자를 늘리고 있다는 것도 한·미 FTA 재협상의 방어논리로 부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대미 무역흑자, 실질 교역액으로 보면 5분의 1 수준”
-
- 입력 2017-02-22 10:49:20
- 수정2017-02-22 14:19:34

우리나라의 대미 무역흑자를 실질 교역액인 부가가치 기준으로 보면 5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든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22일 '미국의 무역구조를 통해 본 우리의 대미 무역전략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2014년 세계산업연관표를 활용해 미국에 대한 무역 흑자를 부가가치 기준으로 환산한 결과, 345억달러에서 72억달러로 79.1% 감소했다"고 밝혔다.
세계산업연관표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를 비롯해 유럽 12개 연구기관이 공동 작성한 통계로, 우리나라 등 총 43개국 56개 산업의 무역현황을 다룬다.
우리나라가 미국과의 교역에서 낸 실질적인 흑자가 무역흑자 총액기준 20% 수준으로 한국 수출품의 부가가치가 그만큼 높지 않다는 뜻이다.
부가가치 환산에 따른 감소 폭은 한국(79.1%)이 미국의 주요 교역국인 일본(69.3%), 독일(65.6%), 멕시코(55.9%), 중국(45.1%)보다 훨씬 크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수출의 부가가치율은 63.3%로 미국(87.2%), 일본(78.9%), 독일(71.2%) 등 선진국은 물론 중국(82.6%)보다도 낮았다.
보고서는 "한국은 원자재와 중간재의 해외조달 비중이 높고 전기·전자, 기계 등 조립가공제품의 수출 비중이 커 부가가치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우리나라의 대미 서비스수지 적자가 커지고 있고 투자를 늘리고 있다는 것도 한·미 FTA 재협상의 방어논리로 부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22일 '미국의 무역구조를 통해 본 우리의 대미 무역전략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2014년 세계산업연관표를 활용해 미국에 대한 무역 흑자를 부가가치 기준으로 환산한 결과, 345억달러에서 72억달러로 79.1% 감소했다"고 밝혔다.
세계산업연관표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를 비롯해 유럽 12개 연구기관이 공동 작성한 통계로, 우리나라 등 총 43개국 56개 산업의 무역현황을 다룬다.
우리나라가 미국과의 교역에서 낸 실질적인 흑자가 무역흑자 총액기준 20% 수준으로 한국 수출품의 부가가치가 그만큼 높지 않다는 뜻이다.
부가가치 환산에 따른 감소 폭은 한국(79.1%)이 미국의 주요 교역국인 일본(69.3%), 독일(65.6%), 멕시코(55.9%), 중국(45.1%)보다 훨씬 크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수출의 부가가치율은 63.3%로 미국(87.2%), 일본(78.9%), 독일(71.2%) 등 선진국은 물론 중국(82.6%)보다도 낮았다.
보고서는 "한국은 원자재와 중간재의 해외조달 비중이 높고 전기·전자, 기계 등 조립가공제품의 수출 비중이 커 부가가치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우리나라의 대미 서비스수지 적자가 커지고 있고 투자를 늘리고 있다는 것도 한·미 FTA 재협상의 방어논리로 부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자 정보
-
-
송형국 기자 spianato@kbs.co.kr
송형국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