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인 소개로 찾은 투자상담…“매달 5% 수익보장”
지난해 6월 여의도의 한 오피스텔. 김 모 씨는 지인의 소개로 투자 상담을 받기 위해 이곳을 찾았다. 이 오피스텔에는 한 투자업체가 입주해 수시로 투자 상담을 하고 있었다.
김 씨에 따르면 투자업체 관계자는 투자 제안서를 건네면서 매달 5%의 수익률을 약속했다고 한다. 유망한 밴처기업에 투자하거나 기업 M&A를 통해 고소득을 올릴 수 있다는 것이다. 매달 5%의 수익이면 연리 60%였다.

투자 제안서도 그럴 듯 했다. 투자업체는 코스닥 상장 업체를 비롯해 부동산투자와 무역 등 여러 분야에서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들에 투자하고 있다고 홍보했다. 코스닥 상장 업체를 인수한 뒤 임원들끼리 세부로 연수를 다녀온 사진까지 보여줬다. 김 씨는 "해당 업체가 자신들이 코스닥 상장 회사의 대주주인데 회사가 망하겠느냐, 다 주식이나 현금으로 보전해주니까 믿고 맡겨라고 하니까 믿을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사무실 닫고 줄행랑…퇴직자 등 4백여명 피해
처음 몇 달은 수익금이 꼬박꼬박 입금됐다. 문제가 불거진 건 지난 1월. 수익금이 갑자기 끊긴 것이다. 김 씨는 이상한 생각에 지난해 말 여의도 오피스텔의 사무실을 찾아갔지만 업체 직원들은 문도 열어주지 않았다. 김 씨는 "감사를 진행 중이라는 말만 할 뿐 제대로 설명이 없었다"고 말했다. 최근 해당 사무실은 아예 사라졌다.
이 투자업체에 투자했다가 피해를 본 사람은 경찰이 파악하고 있는 건만 4백여 명에 달한다. 신고된 피해액은 180억여 원. 김 씨는 "피해자들 중에는 퇴직금은 물론, 자녀들의 결혼 비용이나 보험금까지 잃은 사람도 있다"며 "가슴이 새까맣게 타들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피해자들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피해자들이 신고를 하면 투자금을 돌려받지 못 할까봐 신고를 꺼리는 탓이다.
수서경찰서는 지난 1월부터 수사에 착수해 최근 투자업체 임원 10명을 유사수신혐의로 구속했다. 경찰은 이 업체가 은행법이나 저축은행법상의 인허가도 받지 않고 불법으로 투자금을 끌어모은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새로 모집한 투자금으로 기존 투자자에게 수익금을 주는 '돌려막기'를 한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6월 여의도의 한 오피스텔. 김 모 씨는 지인의 소개로 투자 상담을 받기 위해 이곳을 찾았다. 이 오피스텔에는 한 투자업체가 입주해 수시로 투자 상담을 하고 있었다.
김 씨에 따르면 투자업체 관계자는 투자 제안서를 건네면서 매달 5%의 수익률을 약속했다고 한다. 유망한 밴처기업에 투자하거나 기업 M&A를 통해 고소득을 올릴 수 있다는 것이다. 매달 5%의 수익이면 연리 60%였다.

투자 제안서도 그럴 듯 했다. 투자업체는 코스닥 상장 업체를 비롯해 부동산투자와 무역 등 여러 분야에서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들에 투자하고 있다고 홍보했다. 코스닥 상장 업체를 인수한 뒤 임원들끼리 세부로 연수를 다녀온 사진까지 보여줬다. 김 씨는 "해당 업체가 자신들이 코스닥 상장 회사의 대주주인데 회사가 망하겠느냐, 다 주식이나 현금으로 보전해주니까 믿고 맡겨라고 하니까 믿을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사무실 닫고 줄행랑…퇴직자 등 4백여명 피해
처음 몇 달은 수익금이 꼬박꼬박 입금됐다. 문제가 불거진 건 지난 1월. 수익금이 갑자기 끊긴 것이다. 김 씨는 이상한 생각에 지난해 말 여의도 오피스텔의 사무실을 찾아갔지만 업체 직원들은 문도 열어주지 않았다. 김 씨는 "감사를 진행 중이라는 말만 할 뿐 제대로 설명이 없었다"고 말했다. 최근 해당 사무실은 아예 사라졌다.
이 투자업체에 투자했다가 피해를 본 사람은 경찰이 파악하고 있는 건만 4백여 명에 달한다. 신고된 피해액은 180억여 원. 김 씨는 "피해자들 중에는 퇴직금은 물론, 자녀들의 결혼 비용이나 보험금까지 잃은 사람도 있다"며 "가슴이 새까맣게 타들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피해자들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피해자들이 신고를 하면 투자금을 돌려받지 못 할까봐 신고를 꺼리는 탓이다.
수서경찰서는 지난 1월부터 수사에 착수해 최근 투자업체 임원 10명을 유사수신혐의로 구속했다. 경찰은 이 업체가 은행법이나 저축은행법상의 인허가도 받지 않고 불법으로 투자금을 끌어모은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새로 모집한 투자금으로 기존 투자자에게 수익금을 주는 '돌려막기'를 한 것으로 보고 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매달 5% 수익보장”…퇴직자 울린 투자사기
-
- 입력 2017-03-06 10:42:15

지인 소개로 찾은 투자상담…“매달 5% 수익보장”
지난해 6월 여의도의 한 오피스텔. 김 모 씨는 지인의 소개로 투자 상담을 받기 위해 이곳을 찾았다. 이 오피스텔에는 한 투자업체가 입주해 수시로 투자 상담을 하고 있었다.
김 씨에 따르면 투자업체 관계자는 투자 제안서를 건네면서 매달 5%의 수익률을 약속했다고 한다. 유망한 밴처기업에 투자하거나 기업 M&A를 통해 고소득을 올릴 수 있다는 것이다. 매달 5%의 수익이면 연리 60%였다.

투자 제안서도 그럴 듯 했다. 투자업체는 코스닥 상장 업체를 비롯해 부동산투자와 무역 등 여러 분야에서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들에 투자하고 있다고 홍보했다. 코스닥 상장 업체를 인수한 뒤 임원들끼리 세부로 연수를 다녀온 사진까지 보여줬다. 김 씨는 "해당 업체가 자신들이 코스닥 상장 회사의 대주주인데 회사가 망하겠느냐, 다 주식이나 현금으로 보전해주니까 믿고 맡겨라고 하니까 믿을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사무실 닫고 줄행랑…퇴직자 등 4백여명 피해
처음 몇 달은 수익금이 꼬박꼬박 입금됐다. 문제가 불거진 건 지난 1월. 수익금이 갑자기 끊긴 것이다. 김 씨는 이상한 생각에 지난해 말 여의도 오피스텔의 사무실을 찾아갔지만 업체 직원들은 문도 열어주지 않았다. 김 씨는 "감사를 진행 중이라는 말만 할 뿐 제대로 설명이 없었다"고 말했다. 최근 해당 사무실은 아예 사라졌다.
이 투자업체에 투자했다가 피해를 본 사람은 경찰이 파악하고 있는 건만 4백여 명에 달한다. 신고된 피해액은 180억여 원. 김 씨는 "피해자들 중에는 퇴직금은 물론, 자녀들의 결혼 비용이나 보험금까지 잃은 사람도 있다"며 "가슴이 새까맣게 타들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피해자들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피해자들이 신고를 하면 투자금을 돌려받지 못 할까봐 신고를 꺼리는 탓이다.
수서경찰서는 지난 1월부터 수사에 착수해 최근 투자업체 임원 10명을 유사수신혐의로 구속했다. 경찰은 이 업체가 은행법이나 저축은행법상의 인허가도 받지 않고 불법으로 투자금을 끌어모은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새로 모집한 투자금으로 기존 투자자에게 수익금을 주는 '돌려막기'를 한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6월 여의도의 한 오피스텔. 김 모 씨는 지인의 소개로 투자 상담을 받기 위해 이곳을 찾았다. 이 오피스텔에는 한 투자업체가 입주해 수시로 투자 상담을 하고 있었다.
김 씨에 따르면 투자업체 관계자는 투자 제안서를 건네면서 매달 5%의 수익률을 약속했다고 한다. 유망한 밴처기업에 투자하거나 기업 M&A를 통해 고소득을 올릴 수 있다는 것이다. 매달 5%의 수익이면 연리 60%였다.

투자 제안서도 그럴 듯 했다. 투자업체는 코스닥 상장 업체를 비롯해 부동산투자와 무역 등 여러 분야에서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들에 투자하고 있다고 홍보했다. 코스닥 상장 업체를 인수한 뒤 임원들끼리 세부로 연수를 다녀온 사진까지 보여줬다. 김 씨는 "해당 업체가 자신들이 코스닥 상장 회사의 대주주인데 회사가 망하겠느냐, 다 주식이나 현금으로 보전해주니까 믿고 맡겨라고 하니까 믿을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사무실 닫고 줄행랑…퇴직자 등 4백여명 피해
처음 몇 달은 수익금이 꼬박꼬박 입금됐다. 문제가 불거진 건 지난 1월. 수익금이 갑자기 끊긴 것이다. 김 씨는 이상한 생각에 지난해 말 여의도 오피스텔의 사무실을 찾아갔지만 업체 직원들은 문도 열어주지 않았다. 김 씨는 "감사를 진행 중이라는 말만 할 뿐 제대로 설명이 없었다"고 말했다. 최근 해당 사무실은 아예 사라졌다.
이 투자업체에 투자했다가 피해를 본 사람은 경찰이 파악하고 있는 건만 4백여 명에 달한다. 신고된 피해액은 180억여 원. 김 씨는 "피해자들 중에는 퇴직금은 물론, 자녀들의 결혼 비용이나 보험금까지 잃은 사람도 있다"며 "가슴이 새까맣게 타들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피해자들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피해자들이 신고를 하면 투자금을 돌려받지 못 할까봐 신고를 꺼리는 탓이다.
수서경찰서는 지난 1월부터 수사에 착수해 최근 투자업체 임원 10명을 유사수신혐의로 구속했다. 경찰은 이 업체가 은행법이나 저축은행법상의 인허가도 받지 않고 불법으로 투자금을 끌어모은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새로 모집한 투자금으로 기존 투자자에게 수익금을 주는 '돌려막기'를 한 것으로 보고 있다.
-
-
홍성희 기자 bombom@kbs.co.kr
홍성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