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 자급률 뚝…美초저가·김영란법·구제역 ‘삼중고’
입력 2017.04.08 (06:25)
수정 2017.04.08 (22: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한미 FTA가 발효된 지 5년이 지나면서 우리 한우 농가가 최대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저렴한 가격을 앞세운 미국산 소고기의 공세에다 최근엔 김영란법의 여파로 한우 자급률 40% 선이 무너졌습니다.
이윤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미국산 소고기 전문 식당입니다.
<녹취> "부채살, 토시살 주세요."
소고기 6백 그램을 주문했는데 주방 앞 저울엔 주문양의 2배, 천 2백 그램이 찍힙니다.
모든 소고기 메뉴가 원 플러스 원, 남성 여섯 명이 실컷 먹고도 가격은 5만원이 채 안됩니다.
<인터뷰> 한윤석(회사원) : "돼지고기보다 싸고 푸짐하고..배부르게 먹고도 고기가 많이 남는 것 같아요."
한미 FTA 발효로 미국산 소고기에 붙던 관세 40%가 26%까지 떨어지면서 가격을 끌어내린 겁니다.
이로 인해 지난해 미국 소고기 수입량은 34만 톤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문제는 한우입니다. 수입 소고기 공세에 이어 최근엔 이른바 '김영란 법' 여파로 한우 판매량은 갈수록 떨어지고 있습니다.
값비싼 한우 스테이크가 무료 시식에 등장하고, 건식숙성법을 활용한 고품질 한우 상품이 출시되는 등 생존에 안간힘을 쓰지만 한우 자급률은 심리적 저지선인 40%마저 무너져 버렸습니다.
혈통 좋은 쌍둥이 송아지가 태어나도 이 한우 농민에겐 기쁨보다 근심이 앞섭니다.
<인터뷰> 홍재경(한우 농민) : "길러도 본전하기 바쁘니까. 전기세 물세 그게 안 나오니까 먹고 사는게 걱정이죠."
한우협회는 오는 24일부터 대대적인 소비 촉진 행사에 들어갈 계획이지만 수입 소고기에 김영란법, 구제역까지 삼중고에 처한 한우 농가의 봄날은 점점 멀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윤희니다.
한미 FTA가 발효된 지 5년이 지나면서 우리 한우 농가가 최대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저렴한 가격을 앞세운 미국산 소고기의 공세에다 최근엔 김영란법의 여파로 한우 자급률 40% 선이 무너졌습니다.
이윤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미국산 소고기 전문 식당입니다.
<녹취> "부채살, 토시살 주세요."
소고기 6백 그램을 주문했는데 주방 앞 저울엔 주문양의 2배, 천 2백 그램이 찍힙니다.
모든 소고기 메뉴가 원 플러스 원, 남성 여섯 명이 실컷 먹고도 가격은 5만원이 채 안됩니다.
<인터뷰> 한윤석(회사원) : "돼지고기보다 싸고 푸짐하고..배부르게 먹고도 고기가 많이 남는 것 같아요."
한미 FTA 발효로 미국산 소고기에 붙던 관세 40%가 26%까지 떨어지면서 가격을 끌어내린 겁니다.
이로 인해 지난해 미국 소고기 수입량은 34만 톤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문제는 한우입니다. 수입 소고기 공세에 이어 최근엔 이른바 '김영란 법' 여파로 한우 판매량은 갈수록 떨어지고 있습니다.
값비싼 한우 스테이크가 무료 시식에 등장하고, 건식숙성법을 활용한 고품질 한우 상품이 출시되는 등 생존에 안간힘을 쓰지만 한우 자급률은 심리적 저지선인 40%마저 무너져 버렸습니다.
혈통 좋은 쌍둥이 송아지가 태어나도 이 한우 농민에겐 기쁨보다 근심이 앞섭니다.
<인터뷰> 홍재경(한우 농민) : "길러도 본전하기 바쁘니까. 전기세 물세 그게 안 나오니까 먹고 사는게 걱정이죠."
한우협회는 오는 24일부터 대대적인 소비 촉진 행사에 들어갈 계획이지만 수입 소고기에 김영란법, 구제역까지 삼중고에 처한 한우 농가의 봄날은 점점 멀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윤희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우 자급률 뚝…美초저가·김영란법·구제역 ‘삼중고’
-
- 입력 2017-04-08 06:27:31
- 수정2017-04-08 22:28:01

<앵커 멘트>
한미 FTA가 발효된 지 5년이 지나면서 우리 한우 농가가 최대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저렴한 가격을 앞세운 미국산 소고기의 공세에다 최근엔 김영란법의 여파로 한우 자급률 40% 선이 무너졌습니다.
이윤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미국산 소고기 전문 식당입니다.
<녹취> "부채살, 토시살 주세요."
소고기 6백 그램을 주문했는데 주방 앞 저울엔 주문양의 2배, 천 2백 그램이 찍힙니다.
모든 소고기 메뉴가 원 플러스 원, 남성 여섯 명이 실컷 먹고도 가격은 5만원이 채 안됩니다.
<인터뷰> 한윤석(회사원) : "돼지고기보다 싸고 푸짐하고..배부르게 먹고도 고기가 많이 남는 것 같아요."
한미 FTA 발효로 미국산 소고기에 붙던 관세 40%가 26%까지 떨어지면서 가격을 끌어내린 겁니다.
이로 인해 지난해 미국 소고기 수입량은 34만 톤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문제는 한우입니다. 수입 소고기 공세에 이어 최근엔 이른바 '김영란 법' 여파로 한우 판매량은 갈수록 떨어지고 있습니다.
값비싼 한우 스테이크가 무료 시식에 등장하고, 건식숙성법을 활용한 고품질 한우 상품이 출시되는 등 생존에 안간힘을 쓰지만 한우 자급률은 심리적 저지선인 40%마저 무너져 버렸습니다.
혈통 좋은 쌍둥이 송아지가 태어나도 이 한우 농민에겐 기쁨보다 근심이 앞섭니다.
<인터뷰> 홍재경(한우 농민) : "길러도 본전하기 바쁘니까. 전기세 물세 그게 안 나오니까 먹고 사는게 걱정이죠."
한우협회는 오는 24일부터 대대적인 소비 촉진 행사에 들어갈 계획이지만 수입 소고기에 김영란법, 구제역까지 삼중고에 처한 한우 농가의 봄날은 점점 멀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윤희니다.
한미 FTA가 발효된 지 5년이 지나면서 우리 한우 농가가 최대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저렴한 가격을 앞세운 미국산 소고기의 공세에다 최근엔 김영란법의 여파로 한우 자급률 40% 선이 무너졌습니다.
이윤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미국산 소고기 전문 식당입니다.
<녹취> "부채살, 토시살 주세요."
소고기 6백 그램을 주문했는데 주방 앞 저울엔 주문양의 2배, 천 2백 그램이 찍힙니다.
모든 소고기 메뉴가 원 플러스 원, 남성 여섯 명이 실컷 먹고도 가격은 5만원이 채 안됩니다.
<인터뷰> 한윤석(회사원) : "돼지고기보다 싸고 푸짐하고..배부르게 먹고도 고기가 많이 남는 것 같아요."
한미 FTA 발효로 미국산 소고기에 붙던 관세 40%가 26%까지 떨어지면서 가격을 끌어내린 겁니다.
이로 인해 지난해 미국 소고기 수입량은 34만 톤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문제는 한우입니다. 수입 소고기 공세에 이어 최근엔 이른바 '김영란 법' 여파로 한우 판매량은 갈수록 떨어지고 있습니다.
값비싼 한우 스테이크가 무료 시식에 등장하고, 건식숙성법을 활용한 고품질 한우 상품이 출시되는 등 생존에 안간힘을 쓰지만 한우 자급률은 심리적 저지선인 40%마저 무너져 버렸습니다.
혈통 좋은 쌍둥이 송아지가 태어나도 이 한우 농민에겐 기쁨보다 근심이 앞섭니다.
<인터뷰> 홍재경(한우 농민) : "길러도 본전하기 바쁘니까. 전기세 물세 그게 안 나오니까 먹고 사는게 걱정이죠."
한우협회는 오는 24일부터 대대적인 소비 촉진 행사에 들어갈 계획이지만 수입 소고기에 김영란법, 구제역까지 삼중고에 처한 한우 농가의 봄날은 점점 멀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윤희니다.
-
-
이윤희 기자 heeya@kbs.co.kr
이윤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