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생활화학제품 사고 주의…어린이 사고 ↑
입력 2017.04.13 (12:38) 수정 2017.04.13 (12:47) 뉴스 12
<앵커 멘트>
접착제나 표백제 같은 생활화학제품 관련 사고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특히 10건중 3건은 어린이 사고로 나타났는데요.
아이가 있는 집에선 주의하셔야겠습니다.
강나루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국소비자원이 최근 3년동안 생활화학제품 위해정보 천 5백여 건을 분석한 결과 접착제 사고가 전체의 4분의 1로 가장 많았습니다.
접착제 사고의 절반은 접착제를 쓰다 내용물이 눈으로 튀거나 접착제를 눈에 넣는 안약으로 착각해 안구 손상을 입는 경우였습니다.
또 접착제의 뜨거운 화학성분에 데어 화상을 입는 경우가 뒤를 이었습니다.
접착제 사고 다음으론 표백제 관련 사고가 18%, 세정제 사고 12% 순이었습니다.
표백제나 세정제 사고도 안구 손상을 입거나 음료나 의약품으로 잘못 알고 삼킨 경우가 많았습니다.
사고 가운데 피해자의 연령 확인이 가능한 천 3백여 건을 분석한 결과 10세 미만 어린이가 전체의 30%를 차지했습니다.
어린이 사고의 경우 바퀴벌레약이나 개미 살충제를 삼키는 등 살충제 관련 사고가 절반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소비자원은 밀폐된 환경에선 제품 사용을 자제하고 제품은 어린이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강나루입니다.
접착제나 표백제 같은 생활화학제품 관련 사고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특히 10건중 3건은 어린이 사고로 나타났는데요.
아이가 있는 집에선 주의하셔야겠습니다.
강나루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국소비자원이 최근 3년동안 생활화학제품 위해정보 천 5백여 건을 분석한 결과 접착제 사고가 전체의 4분의 1로 가장 많았습니다.
접착제 사고의 절반은 접착제를 쓰다 내용물이 눈으로 튀거나 접착제를 눈에 넣는 안약으로 착각해 안구 손상을 입는 경우였습니다.
또 접착제의 뜨거운 화학성분에 데어 화상을 입는 경우가 뒤를 이었습니다.
접착제 사고 다음으론 표백제 관련 사고가 18%, 세정제 사고 12% 순이었습니다.
표백제나 세정제 사고도 안구 손상을 입거나 음료나 의약품으로 잘못 알고 삼킨 경우가 많았습니다.
사고 가운데 피해자의 연령 확인이 가능한 천 3백여 건을 분석한 결과 10세 미만 어린이가 전체의 30%를 차지했습니다.
어린이 사고의 경우 바퀴벌레약이나 개미 살충제를 삼키는 등 살충제 관련 사고가 절반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소비자원은 밀폐된 환경에선 제품 사용을 자제하고 제품은 어린이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강나루입니다.
- 생활화학제품 사고 주의…어린이 사고 ↑
-
- 입력 2017-04-13 12:41:11
- 수정2017-04-13 12:47:05

<앵커 멘트>
접착제나 표백제 같은 생활화학제품 관련 사고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특히 10건중 3건은 어린이 사고로 나타났는데요.
아이가 있는 집에선 주의하셔야겠습니다.
강나루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국소비자원이 최근 3년동안 생활화학제품 위해정보 천 5백여 건을 분석한 결과 접착제 사고가 전체의 4분의 1로 가장 많았습니다.
접착제 사고의 절반은 접착제를 쓰다 내용물이 눈으로 튀거나 접착제를 눈에 넣는 안약으로 착각해 안구 손상을 입는 경우였습니다.
또 접착제의 뜨거운 화학성분에 데어 화상을 입는 경우가 뒤를 이었습니다.
접착제 사고 다음으론 표백제 관련 사고가 18%, 세정제 사고 12% 순이었습니다.
표백제나 세정제 사고도 안구 손상을 입거나 음료나 의약품으로 잘못 알고 삼킨 경우가 많았습니다.
사고 가운데 피해자의 연령 확인이 가능한 천 3백여 건을 분석한 결과 10세 미만 어린이가 전체의 30%를 차지했습니다.
어린이 사고의 경우 바퀴벌레약이나 개미 살충제를 삼키는 등 살충제 관련 사고가 절반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소비자원은 밀폐된 환경에선 제품 사용을 자제하고 제품은 어린이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강나루입니다.
접착제나 표백제 같은 생활화학제품 관련 사고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특히 10건중 3건은 어린이 사고로 나타났는데요.
아이가 있는 집에선 주의하셔야겠습니다.
강나루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국소비자원이 최근 3년동안 생활화학제품 위해정보 천 5백여 건을 분석한 결과 접착제 사고가 전체의 4분의 1로 가장 많았습니다.
접착제 사고의 절반은 접착제를 쓰다 내용물이 눈으로 튀거나 접착제를 눈에 넣는 안약으로 착각해 안구 손상을 입는 경우였습니다.
또 접착제의 뜨거운 화학성분에 데어 화상을 입는 경우가 뒤를 이었습니다.
접착제 사고 다음으론 표백제 관련 사고가 18%, 세정제 사고 12% 순이었습니다.
표백제나 세정제 사고도 안구 손상을 입거나 음료나 의약품으로 잘못 알고 삼킨 경우가 많았습니다.
사고 가운데 피해자의 연령 확인이 가능한 천 3백여 건을 분석한 결과 10세 미만 어린이가 전체의 30%를 차지했습니다.
어린이 사고의 경우 바퀴벌레약이나 개미 살충제를 삼키는 등 살충제 관련 사고가 절반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소비자원은 밀폐된 환경에선 제품 사용을 자제하고 제품은 어린이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강나루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 12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강나루 기자 naru@kbs.co.kr
강나루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