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女농구 대표 가드 최윤아, 무릎 부상으로 은퇴 결정
입력 2017.04.13 (18:49) 연합뉴스
여자 프로농구의 한 시대를 풍미했던 최윤아(32·인천 신한은행)가 은퇴한다.

신한은행 이정희 사무국장은 13일 "최윤아가 은퇴 의사를 밝혔고, 구단도 이를 받아들이기로 했다"라고 밝혔다.

최윤아의 은퇴 후 진로는 확정되지 않았다.

구단은 최윤아의 코치 선임 등을 고려하고 있다.

이 사무국장은 "최윤아는 신한은행에서 십수 년을 뛴 프랜차이즈 스타"라며 "구단주도 프랜차이즈 스타 대우를 확실하게 해줘야 한다고 당부했다"라고 전했다.

최윤아는 2003년 청주 현대건설에 입단했고, 이듬해 팀이 신한은행에 인수된 뒤 기량이 만개했다.

그는 2007년 겨울 리그부터 2011~2012시즌까지 신한은행의 6시즌 연속 우승을 이끌며 한국 여자 프로농구의 대표적인 가드로 명성을 날렸다.

2008-2009시즌엔 정규리그 최우수선수(MVP)상을 거머쥐기도 했다.

국제대회에서도 2006년 도하아시안게임,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 참가해 활약했다.

악착같은 플레이와 넓은 시야, 빠른 스피드로 중무장한 최윤아는 그러나 2013-2014시즌부터 내리막을 걸었다.

무릎이 문제였다.

2009년 왼쪽 무릎 연골 수술을 받았던 최윤아는 통증을 안고 버텼는데, 해가 갈수록 상태가 나빠졌다.

2016년 초 다시 수술대에 올랐지만, 효험이 없었다.

오히려 오른쪽 무릎 연골까지 문제가 생기면서 경기를 뛰기 어려운 지경에 이르렀다.

최윤아는 올 시즌 이를 악물고 재기를 노렸지만, 결국 코트와 작별했다.

리그 간판급 센터 양지희(33·아산 우리은행)도 은퇴를 결정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양지희의 무릎 상태가 매우 안 좋다. 올 시즌엔 통증을 안고 뛰었는데, 더는 선수 생활을 이어가기 힘들다고 판단했다"라고 설명했다.

양지희는 우리은행 주전 센터로 5연속 통합우승을 이끌었다.

양지희의 진로도 결정되지 않았다.

이 밖에 구리 KDB생명 김진영, 청주 국민은행 김수연도 은퇴를 선택했다.
  • 女농구 대표 가드 최윤아, 무릎 부상으로 은퇴 결정
    • 입력 2017-04-13 18:49:20
    연합뉴스
여자 프로농구의 한 시대를 풍미했던 최윤아(32·인천 신한은행)가 은퇴한다.

신한은행 이정희 사무국장은 13일 "최윤아가 은퇴 의사를 밝혔고, 구단도 이를 받아들이기로 했다"라고 밝혔다.

최윤아의 은퇴 후 진로는 확정되지 않았다.

구단은 최윤아의 코치 선임 등을 고려하고 있다.

이 사무국장은 "최윤아는 신한은행에서 십수 년을 뛴 프랜차이즈 스타"라며 "구단주도 프랜차이즈 스타 대우를 확실하게 해줘야 한다고 당부했다"라고 전했다.

최윤아는 2003년 청주 현대건설에 입단했고, 이듬해 팀이 신한은행에 인수된 뒤 기량이 만개했다.

그는 2007년 겨울 리그부터 2011~2012시즌까지 신한은행의 6시즌 연속 우승을 이끌며 한국 여자 프로농구의 대표적인 가드로 명성을 날렸다.

2008-2009시즌엔 정규리그 최우수선수(MVP)상을 거머쥐기도 했다.

국제대회에서도 2006년 도하아시안게임,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 참가해 활약했다.

악착같은 플레이와 넓은 시야, 빠른 스피드로 중무장한 최윤아는 그러나 2013-2014시즌부터 내리막을 걸었다.

무릎이 문제였다.

2009년 왼쪽 무릎 연골 수술을 받았던 최윤아는 통증을 안고 버텼는데, 해가 갈수록 상태가 나빠졌다.

2016년 초 다시 수술대에 올랐지만, 효험이 없었다.

오히려 오른쪽 무릎 연골까지 문제가 생기면서 경기를 뛰기 어려운 지경에 이르렀다.

최윤아는 올 시즌 이를 악물고 재기를 노렸지만, 결국 코트와 작별했다.

리그 간판급 센터 양지희(33·아산 우리은행)도 은퇴를 결정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양지희의 무릎 상태가 매우 안 좋다. 올 시즌엔 통증을 안고 뛰었는데, 더는 선수 생활을 이어가기 힘들다고 판단했다"라고 설명했다.

양지희는 우리은행 주전 센터로 5연속 통합우승을 이끌었다.

양지희의 진로도 결정되지 않았다.

이 밖에 구리 KDB생명 김진영, 청주 국민은행 김수연도 은퇴를 선택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기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