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아파트값 상승폭 확대…강남권 강세
입력 2017.04.20 (16:01)
수정 2017.04.20 (16: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봄철 이사 수요로 인해 전국의 아파트값 상승세가 뚜렷해지고 있다. 서울의 경우 재건축이 한창인 강남권을 중심으로 상승 폭이 확대되고 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 17일 전국의 주간 아파트값은 0.02% 올라 지난주(0.01%)보다 오름폭이 조금 커졌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0.09%로 지난주(0.08%)보다 0.01%포인트 커졌다.
서울 강동구는 다음 달 관리처분인가를 앞두고 있는 둔촌 주공아파트의 강세로 지난주보다 0.08%포인트 높은 0.1% 상승했다. 강남구와 서초구의 아파트값은 각각 지난주보다 0.02% 포인트 높은 0.09% 올랐다. 강북권역도 성동구 성수전략정비구역과 뚝섬지역 개발사업이 속도를 내면서 권역 평균 0.07% 올랐다.
지방은 지난주 하락(-0.02%)에서 이번 주 조사에서는 보합을 기록하는 등 하락과 보합을 반복하고 있다. 3주 연속 하락세를 보였던 제주의 아파트값이 0.04% 상승했고 대구·울산(-0.04%), 충남(-0.06%) 등지의 아파트값은 낙폭이 둔화했다. 세종시 아파트값은 0.03% 상승했다.
전국의 아파트 전셋값은 0.01% 오르며 지난주 수준의 안정세를 보였다. 서울의 전셋값이 지난주와 같은 0.05% 올랐고, 경기도는 0.04%로 지난주(0.02%)보다 오름폭이 확대됐다. 그러나 지방은 0.02% 떨어지며 3주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다.
지난해까지 전셋값이 가파르게 오르던 과천시의 경우 재건축 이주가 마무리되면서 이번 주 조사에서 0.16% 하락했다. 작년 말 대비해서는 0.51% 떨어졌다. 입주 물량이 많은 세종시도 전셋값은 1.46% 하락하며 지난주(-1.51%)에 이어 1%대의 낙폭을 보였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 17일 전국의 주간 아파트값은 0.02% 올라 지난주(0.01%)보다 오름폭이 조금 커졌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0.09%로 지난주(0.08%)보다 0.01%포인트 커졌다.
서울 강동구는 다음 달 관리처분인가를 앞두고 있는 둔촌 주공아파트의 강세로 지난주보다 0.08%포인트 높은 0.1% 상승했다. 강남구와 서초구의 아파트값은 각각 지난주보다 0.02% 포인트 높은 0.09% 올랐다. 강북권역도 성동구 성수전략정비구역과 뚝섬지역 개발사업이 속도를 내면서 권역 평균 0.07% 올랐다.
지방은 지난주 하락(-0.02%)에서 이번 주 조사에서는 보합을 기록하는 등 하락과 보합을 반복하고 있다. 3주 연속 하락세를 보였던 제주의 아파트값이 0.04% 상승했고 대구·울산(-0.04%), 충남(-0.06%) 등지의 아파트값은 낙폭이 둔화했다. 세종시 아파트값은 0.03% 상승했다.
전국의 아파트 전셋값은 0.01% 오르며 지난주 수준의 안정세를 보였다. 서울의 전셋값이 지난주와 같은 0.05% 올랐고, 경기도는 0.04%로 지난주(0.02%)보다 오름폭이 확대됐다. 그러나 지방은 0.02% 떨어지며 3주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다.
지난해까지 전셋값이 가파르게 오르던 과천시의 경우 재건축 이주가 마무리되면서 이번 주 조사에서 0.16% 하락했다. 작년 말 대비해서는 0.51% 떨어졌다. 입주 물량이 많은 세종시도 전셋값은 1.46% 하락하며 지난주(-1.51%)에 이어 1%대의 낙폭을 보였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전국 아파트값 상승폭 확대…강남권 강세
-
- 입력 2017-04-20 16:01:59
- 수정2017-04-20 16:15:30

최근 봄철 이사 수요로 인해 전국의 아파트값 상승세가 뚜렷해지고 있다. 서울의 경우 재건축이 한창인 강남권을 중심으로 상승 폭이 확대되고 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 17일 전국의 주간 아파트값은 0.02% 올라 지난주(0.01%)보다 오름폭이 조금 커졌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0.09%로 지난주(0.08%)보다 0.01%포인트 커졌다.
서울 강동구는 다음 달 관리처분인가를 앞두고 있는 둔촌 주공아파트의 강세로 지난주보다 0.08%포인트 높은 0.1% 상승했다. 강남구와 서초구의 아파트값은 각각 지난주보다 0.02% 포인트 높은 0.09% 올랐다. 강북권역도 성동구 성수전략정비구역과 뚝섬지역 개발사업이 속도를 내면서 권역 평균 0.07% 올랐다.
지방은 지난주 하락(-0.02%)에서 이번 주 조사에서는 보합을 기록하는 등 하락과 보합을 반복하고 있다. 3주 연속 하락세를 보였던 제주의 아파트값이 0.04% 상승했고 대구·울산(-0.04%), 충남(-0.06%) 등지의 아파트값은 낙폭이 둔화했다. 세종시 아파트값은 0.03% 상승했다.
전국의 아파트 전셋값은 0.01% 오르며 지난주 수준의 안정세를 보였다. 서울의 전셋값이 지난주와 같은 0.05% 올랐고, 경기도는 0.04%로 지난주(0.02%)보다 오름폭이 확대됐다. 그러나 지방은 0.02% 떨어지며 3주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다.
지난해까지 전셋값이 가파르게 오르던 과천시의 경우 재건축 이주가 마무리되면서 이번 주 조사에서 0.16% 하락했다. 작년 말 대비해서는 0.51% 떨어졌다. 입주 물량이 많은 세종시도 전셋값은 1.46% 하락하며 지난주(-1.51%)에 이어 1%대의 낙폭을 보였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 17일 전국의 주간 아파트값은 0.02% 올라 지난주(0.01%)보다 오름폭이 조금 커졌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0.09%로 지난주(0.08%)보다 0.01%포인트 커졌다.
서울 강동구는 다음 달 관리처분인가를 앞두고 있는 둔촌 주공아파트의 강세로 지난주보다 0.08%포인트 높은 0.1% 상승했다. 강남구와 서초구의 아파트값은 각각 지난주보다 0.02% 포인트 높은 0.09% 올랐다. 강북권역도 성동구 성수전략정비구역과 뚝섬지역 개발사업이 속도를 내면서 권역 평균 0.07% 올랐다.
지방은 지난주 하락(-0.02%)에서 이번 주 조사에서는 보합을 기록하는 등 하락과 보합을 반복하고 있다. 3주 연속 하락세를 보였던 제주의 아파트값이 0.04% 상승했고 대구·울산(-0.04%), 충남(-0.06%) 등지의 아파트값은 낙폭이 둔화했다. 세종시 아파트값은 0.03% 상승했다.
전국의 아파트 전셋값은 0.01% 오르며 지난주 수준의 안정세를 보였다. 서울의 전셋값이 지난주와 같은 0.05% 올랐고, 경기도는 0.04%로 지난주(0.02%)보다 오름폭이 확대됐다. 그러나 지방은 0.02% 떨어지며 3주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다.
지난해까지 전셋값이 가파르게 오르던 과천시의 경우 재건축 이주가 마무리되면서 이번 주 조사에서 0.16% 하락했다. 작년 말 대비해서는 0.51% 떨어졌다. 입주 물량이 많은 세종시도 전셋값은 1.46% 하락하며 지난주(-1.51%)에 이어 1%대의 낙폭을 보였다.
-
-
유지향 기자 nausika@kbs.co.kr
유지향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