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기 강도 행방 묘연…주민 불안감 증폭
입력 2017.04.22 (16:57)
수정 2017.04.22 (16: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북 경산의 농협에서 총기 강도 사건이 발생한 지 사흘째가 되도록 용의자 행방이 묘연한 가운데 지역 주민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특히 용의자가 45구경 총기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주민들의 불안감이 크다.
경산에 사는 오 모 씨는 "미국 드라마에서나 봤던 총기 강도 사건이 주변에서 일어나 너무 놀랐다"면서 "불안감 해소를 위해 범인을 빨리 잡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당초 경찰은 용의자가 외국인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현장에 지문을 남기지 않았고 인적이 드문 농로로 도주하는 등 치밀한 계획 하에 범행을 저지른 점에 미뤄 용의자가 지역 사정에 밝은 한국 사람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또한 용의자가 범행 전 휴대전화를 사용한 점을 감안할 때 공범이 있을 가능성도 주목하고 있다. 경찰은 국적 여부, 공범 여부 등 모든 상황을 감안해 수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경찰은 총기로 인한 주민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주요 시설에 대한 순찰 횟수를 늘리고, 순찰 경찰관에게 방탄복과 방탄모 등 안전장비도 지급했다.
특히 용의자가 45구경 총기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주민들의 불안감이 크다.
경산에 사는 오 모 씨는 "미국 드라마에서나 봤던 총기 강도 사건이 주변에서 일어나 너무 놀랐다"면서 "불안감 해소를 위해 범인을 빨리 잡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당초 경찰은 용의자가 외국인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현장에 지문을 남기지 않았고 인적이 드문 농로로 도주하는 등 치밀한 계획 하에 범행을 저지른 점에 미뤄 용의자가 지역 사정에 밝은 한국 사람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또한 용의자가 범행 전 휴대전화를 사용한 점을 감안할 때 공범이 있을 가능성도 주목하고 있다. 경찰은 국적 여부, 공범 여부 등 모든 상황을 감안해 수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경찰은 총기로 인한 주민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주요 시설에 대한 순찰 횟수를 늘리고, 순찰 경찰관에게 방탄복과 방탄모 등 안전장비도 지급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총기 강도 행방 묘연…주민 불안감 증폭
-
- 입력 2017-04-22 16:57:32
- 수정2017-04-22 16:58:01

경북 경산의 농협에서 총기 강도 사건이 발생한 지 사흘째가 되도록 용의자 행방이 묘연한 가운데 지역 주민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특히 용의자가 45구경 총기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주민들의 불안감이 크다.
경산에 사는 오 모 씨는 "미국 드라마에서나 봤던 총기 강도 사건이 주변에서 일어나 너무 놀랐다"면서 "불안감 해소를 위해 범인을 빨리 잡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당초 경찰은 용의자가 외국인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현장에 지문을 남기지 않았고 인적이 드문 농로로 도주하는 등 치밀한 계획 하에 범행을 저지른 점에 미뤄 용의자가 지역 사정에 밝은 한국 사람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또한 용의자가 범행 전 휴대전화를 사용한 점을 감안할 때 공범이 있을 가능성도 주목하고 있다. 경찰은 국적 여부, 공범 여부 등 모든 상황을 감안해 수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경찰은 총기로 인한 주민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주요 시설에 대한 순찰 횟수를 늘리고, 순찰 경찰관에게 방탄복과 방탄모 등 안전장비도 지급했다.
특히 용의자가 45구경 총기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주민들의 불안감이 크다.
경산에 사는 오 모 씨는 "미국 드라마에서나 봤던 총기 강도 사건이 주변에서 일어나 너무 놀랐다"면서 "불안감 해소를 위해 범인을 빨리 잡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당초 경찰은 용의자가 외국인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현장에 지문을 남기지 않았고 인적이 드문 농로로 도주하는 등 치밀한 계획 하에 범행을 저지른 점에 미뤄 용의자가 지역 사정에 밝은 한국 사람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또한 용의자가 범행 전 휴대전화를 사용한 점을 감안할 때 공범이 있을 가능성도 주목하고 있다. 경찰은 국적 여부, 공범 여부 등 모든 상황을 감안해 수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경찰은 총기로 인한 주민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주요 시설에 대한 순찰 횟수를 늘리고, 순찰 경찰관에게 방탄복과 방탄모 등 안전장비도 지급했다.
-
-
김도훈 기자 kinchy@kbs.co.kr
김도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