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앵커 멘트>
어제 기념식에서는 5.18 민주화 운동을 상징하는 '임을 위한 행진곡'이 9년 만에 공식 제창됐습니다.
새 정부 들어 처음 맞는 공식 기념식인 만큼 여야 정치권 인사들도 대거 참석해 5.18 정신을 함께 기렸습니다.
최건일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녹취> "사랑도 명예도 이름도 남김없이~"
5.18 민주묘지에 울려 퍼진 임을 위한 행진곡은 9년 만에 모두가 함께 불렀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노래를 작곡한 김종률 씨와 정세균 국회의장의 손을 잡았고, 각 정당 대표 등 정치권 인사들도 서로 손을 맞잡고 제창에 동참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노래 제창과 관련된 논란은 이제 끝내자고 호소했습니다.
<녹취> 문재인 대통령 :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는 것은 희생자의 명예를 지키고 민주주의의 역사를 기억하겠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정우택 자유한국당 대표권한대행 등 일부 야권 인사들은 아직 국민적 합의가 부족하다며 노래를 부르지 않았습니다.
예년에 없었던 기념 공연에서는 5.18 정신과 함께 국민 통합이 강조됐습니다.
<녹취> "그대와 꽃 피운다~"
합창단에는 전국 16개 시도 대표가 참여했고, 대선 때 안철수 후보를 지지했다 비판에 시달렸던 가수 전인권 씨가 상록수를 열창해 통합의 의미를 더했습니다.
<녹취> "끝내 이기리라~~"
기념식에는 정부와 정치권 인사, 5.18 유족, 세월호 참사 유족 등 만여명이 참석해 사상 최대 규모로 치러졌습니다.
모든 묘역에는 문재인 대통령의 이름이 적힌 하얀 국화꽃이 헌화됐습니다.
KBS 뉴스 최건일입니다.
어제 기념식에서는 5.18 민주화 운동을 상징하는 '임을 위한 행진곡'이 9년 만에 공식 제창됐습니다.
새 정부 들어 처음 맞는 공식 기념식인 만큼 여야 정치권 인사들도 대거 참석해 5.18 정신을 함께 기렸습니다.
최건일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녹취> "사랑도 명예도 이름도 남김없이~"
5.18 민주묘지에 울려 퍼진 임을 위한 행진곡은 9년 만에 모두가 함께 불렀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노래를 작곡한 김종률 씨와 정세균 국회의장의 손을 잡았고, 각 정당 대표 등 정치권 인사들도 서로 손을 맞잡고 제창에 동참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노래 제창과 관련된 논란은 이제 끝내자고 호소했습니다.
<녹취> 문재인 대통령 :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는 것은 희생자의 명예를 지키고 민주주의의 역사를 기억하겠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정우택 자유한국당 대표권한대행 등 일부 야권 인사들은 아직 국민적 합의가 부족하다며 노래를 부르지 않았습니다.
예년에 없었던 기념 공연에서는 5.18 정신과 함께 국민 통합이 강조됐습니다.
<녹취> "그대와 꽃 피운다~"
합창단에는 전국 16개 시도 대표가 참여했고, 대선 때 안철수 후보를 지지했다 비판에 시달렸던 가수 전인권 씨가 상록수를 열창해 통합의 의미를 더했습니다.
<녹취> "끝내 이기리라~~"
기념식에는 정부와 정치권 인사, 5.18 유족, 세월호 참사 유족 등 만여명이 참석해 사상 최대 규모로 치러졌습니다.
모든 묘역에는 문재인 대통령의 이름이 적힌 하얀 국화꽃이 헌화됐습니다.
KBS 뉴스 최건일입니다.
-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정치권 총출동
-
- 입력 2017-05-19 06:17:34
- 수정2017-05-19 07:16:05

<앵커 멘트>
어제 기념식에서는 5.18 민주화 운동을 상징하는 '임을 위한 행진곡'이 9년 만에 공식 제창됐습니다.
새 정부 들어 처음 맞는 공식 기념식인 만큼 여야 정치권 인사들도 대거 참석해 5.18 정신을 함께 기렸습니다.
최건일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녹취> "사랑도 명예도 이름도 남김없이~"
5.18 민주묘지에 울려 퍼진 임을 위한 행진곡은 9년 만에 모두가 함께 불렀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노래를 작곡한 김종률 씨와 정세균 국회의장의 손을 잡았고, 각 정당 대표 등 정치권 인사들도 서로 손을 맞잡고 제창에 동참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노래 제창과 관련된 논란은 이제 끝내자고 호소했습니다.
<녹취> 문재인 대통령 :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는 것은 희생자의 명예를 지키고 민주주의의 역사를 기억하겠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정우택 자유한국당 대표권한대행 등 일부 야권 인사들은 아직 국민적 합의가 부족하다며 노래를 부르지 않았습니다.
예년에 없었던 기념 공연에서는 5.18 정신과 함께 국민 통합이 강조됐습니다.
<녹취> "그대와 꽃 피운다~"
합창단에는 전국 16개 시도 대표가 참여했고, 대선 때 안철수 후보를 지지했다 비판에 시달렸던 가수 전인권 씨가 상록수를 열창해 통합의 의미를 더했습니다.
<녹취> "끝내 이기리라~~"
기념식에는 정부와 정치권 인사, 5.18 유족, 세월호 참사 유족 등 만여명이 참석해 사상 최대 규모로 치러졌습니다.
모든 묘역에는 문재인 대통령의 이름이 적힌 하얀 국화꽃이 헌화됐습니다.
KBS 뉴스 최건일입니다.
어제 기념식에서는 5.18 민주화 운동을 상징하는 '임을 위한 행진곡'이 9년 만에 공식 제창됐습니다.
새 정부 들어 처음 맞는 공식 기념식인 만큼 여야 정치권 인사들도 대거 참석해 5.18 정신을 함께 기렸습니다.
최건일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녹취> "사랑도 명예도 이름도 남김없이~"
5.18 민주묘지에 울려 퍼진 임을 위한 행진곡은 9년 만에 모두가 함께 불렀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노래를 작곡한 김종률 씨와 정세균 국회의장의 손을 잡았고, 각 정당 대표 등 정치권 인사들도 서로 손을 맞잡고 제창에 동참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노래 제창과 관련된 논란은 이제 끝내자고 호소했습니다.
<녹취> 문재인 대통령 :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는 것은 희생자의 명예를 지키고 민주주의의 역사를 기억하겠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정우택 자유한국당 대표권한대행 등 일부 야권 인사들은 아직 국민적 합의가 부족하다며 노래를 부르지 않았습니다.
예년에 없었던 기념 공연에서는 5.18 정신과 함께 국민 통합이 강조됐습니다.
<녹취> "그대와 꽃 피운다~"
합창단에는 전국 16개 시도 대표가 참여했고, 대선 때 안철수 후보를 지지했다 비판에 시달렸던 가수 전인권 씨가 상록수를 열창해 통합의 의미를 더했습니다.
<녹취> "끝내 이기리라~~"
기념식에는 정부와 정치권 인사, 5.18 유족, 세월호 참사 유족 등 만여명이 참석해 사상 최대 규모로 치러졌습니다.
모든 묘역에는 문재인 대통령의 이름이 적힌 하얀 국화꽃이 헌화됐습니다.
KBS 뉴스 최건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광장 1부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최건일 기자 gaegoo@kbs.co.kr
최건일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