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靑 “개헌 공약 이행 의지…국민 의견 수렴”
입력 2017.05.19 (07:05) 수정 2017.05.19 (09:33) 뉴스광장
<앵커 멘트>
문재인 대통령이 5.18 정신을 헌법 전문에 담겠다며 개헌 추진 의지를 밝히면서 대선 국면에서 중단됐던 개헌 논의가 다시 불붙을 것으로 보입니다.
청와대는 국회에 국민들의 의견에 따르겠다고 밝혔습니다.
정아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문재인 대통령은 기념식에 앞서 5.18 묘역 방명록에 '가슴에 새겨온 역사, 헌법에 새겨 계승하겠다'고 적으며, 개헌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드러냈습니다.
<녹취> 문재인(대통령) : "개헌을 완료할 수 있도록 이 자리를 빌어서 국회의 협력과 국민여러분의 동의를 정중히 요청 드립니다."
문 대통령은 이미 선거기간 4년 중임제와 대선 결선투표제 도입, 지방분권과 책임총리제 강화를 통한 대통령 권한 분산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헌법 개정을 공약했습니다.
내년 초까지 개헌안을 확정해 국회 본회의를 통과시킨 뒤 6월 지방선거 때 국민투표에 부쳐 2022년 대선 때부터 적용하자는 로드맵도 제시했습니다.
하지만 청와대는 아직은 선언적 의미라면서 대통령이 당장 주도적으로 개헌을 추진하겠다는 건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국회 개헌 특위가 이미 가동되고 있는 만큼, 각 정당 등을 통해 국민들의 의견이 수렴되는게 우선이라며, 국회에 공을 넘겼습니다.
<녹취> 박수현(청와대 대변인) : "5.18 정신을 헌법에 담자는 대통령의 제안으로 이런 과정에서 국민적 합의 통해 담기기를 바란다는 뜻입니다."
청와대 안팎에선 문 대통령이 개헌 공약을 지키겠다는 의지를 밝히면서 국회에 개헌 논의에 나설 것을 주문하고, 대통령과 청와대는 당장은 산적한 국정 현안 해결과 개혁에 매진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아연입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5.18 정신을 헌법 전문에 담겠다며 개헌 추진 의지를 밝히면서 대선 국면에서 중단됐던 개헌 논의가 다시 불붙을 것으로 보입니다.
청와대는 국회에 국민들의 의견에 따르겠다고 밝혔습니다.
정아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문재인 대통령은 기념식에 앞서 5.18 묘역 방명록에 '가슴에 새겨온 역사, 헌법에 새겨 계승하겠다'고 적으며, 개헌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드러냈습니다.
<녹취> 문재인(대통령) : "개헌을 완료할 수 있도록 이 자리를 빌어서 국회의 협력과 국민여러분의 동의를 정중히 요청 드립니다."
문 대통령은 이미 선거기간 4년 중임제와 대선 결선투표제 도입, 지방분권과 책임총리제 강화를 통한 대통령 권한 분산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헌법 개정을 공약했습니다.
내년 초까지 개헌안을 확정해 국회 본회의를 통과시킨 뒤 6월 지방선거 때 국민투표에 부쳐 2022년 대선 때부터 적용하자는 로드맵도 제시했습니다.
하지만 청와대는 아직은 선언적 의미라면서 대통령이 당장 주도적으로 개헌을 추진하겠다는 건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국회 개헌 특위가 이미 가동되고 있는 만큼, 각 정당 등을 통해 국민들의 의견이 수렴되는게 우선이라며, 국회에 공을 넘겼습니다.
<녹취> 박수현(청와대 대변인) : "5.18 정신을 헌법에 담자는 대통령의 제안으로 이런 과정에서 국민적 합의 통해 담기기를 바란다는 뜻입니다."
청와대 안팎에선 문 대통령이 개헌 공약을 지키겠다는 의지를 밝히면서 국회에 개헌 논의에 나설 것을 주문하고, 대통령과 청와대는 당장은 산적한 국정 현안 해결과 개혁에 매진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아연입니다.
- 靑 “개헌 공약 이행 의지…국민 의견 수렴”
-
- 입력 2017-05-19 07:09:04
- 수정2017-05-19 09:33:28

<앵커 멘트>
문재인 대통령이 5.18 정신을 헌법 전문에 담겠다며 개헌 추진 의지를 밝히면서 대선 국면에서 중단됐던 개헌 논의가 다시 불붙을 것으로 보입니다.
청와대는 국회에 국민들의 의견에 따르겠다고 밝혔습니다.
정아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문재인 대통령은 기념식에 앞서 5.18 묘역 방명록에 '가슴에 새겨온 역사, 헌법에 새겨 계승하겠다'고 적으며, 개헌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드러냈습니다.
<녹취> 문재인(대통령) : "개헌을 완료할 수 있도록 이 자리를 빌어서 국회의 협력과 국민여러분의 동의를 정중히 요청 드립니다."
문 대통령은 이미 선거기간 4년 중임제와 대선 결선투표제 도입, 지방분권과 책임총리제 강화를 통한 대통령 권한 분산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헌법 개정을 공약했습니다.
내년 초까지 개헌안을 확정해 국회 본회의를 통과시킨 뒤 6월 지방선거 때 국민투표에 부쳐 2022년 대선 때부터 적용하자는 로드맵도 제시했습니다.
하지만 청와대는 아직은 선언적 의미라면서 대통령이 당장 주도적으로 개헌을 추진하겠다는 건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국회 개헌 특위가 이미 가동되고 있는 만큼, 각 정당 등을 통해 국민들의 의견이 수렴되는게 우선이라며, 국회에 공을 넘겼습니다.
<녹취> 박수현(청와대 대변인) : "5.18 정신을 헌법에 담자는 대통령의 제안으로 이런 과정에서 국민적 합의 통해 담기기를 바란다는 뜻입니다."
청와대 안팎에선 문 대통령이 개헌 공약을 지키겠다는 의지를 밝히면서 국회에 개헌 논의에 나설 것을 주문하고, 대통령과 청와대는 당장은 산적한 국정 현안 해결과 개혁에 매진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아연입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5.18 정신을 헌법 전문에 담겠다며 개헌 추진 의지를 밝히면서 대선 국면에서 중단됐던 개헌 논의가 다시 불붙을 것으로 보입니다.
청와대는 국회에 국민들의 의견에 따르겠다고 밝혔습니다.
정아연 기자입니다.
<리포트>
문재인 대통령은 기념식에 앞서 5.18 묘역 방명록에 '가슴에 새겨온 역사, 헌법에 새겨 계승하겠다'고 적으며, 개헌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드러냈습니다.
<녹취> 문재인(대통령) : "개헌을 완료할 수 있도록 이 자리를 빌어서 국회의 협력과 국민여러분의 동의를 정중히 요청 드립니다."
문 대통령은 이미 선거기간 4년 중임제와 대선 결선투표제 도입, 지방분권과 책임총리제 강화를 통한 대통령 권한 분산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헌법 개정을 공약했습니다.
내년 초까지 개헌안을 확정해 국회 본회의를 통과시킨 뒤 6월 지방선거 때 국민투표에 부쳐 2022년 대선 때부터 적용하자는 로드맵도 제시했습니다.
하지만 청와대는 아직은 선언적 의미라면서 대통령이 당장 주도적으로 개헌을 추진하겠다는 건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국회 개헌 특위가 이미 가동되고 있는 만큼, 각 정당 등을 통해 국민들의 의견이 수렴되는게 우선이라며, 국회에 공을 넘겼습니다.
<녹취> 박수현(청와대 대변인) : "5.18 정신을 헌법에 담자는 대통령의 제안으로 이런 과정에서 국민적 합의 통해 담기기를 바란다는 뜻입니다."
청와대 안팎에선 문 대통령이 개헌 공약을 지키겠다는 의지를 밝히면서 국회에 개헌 논의에 나설 것을 주문하고, 대통령과 청와대는 당장은 산적한 국정 현안 해결과 개혁에 매진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아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광장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정아연 기자 niche@kbs.co.kr
정아연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