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아프리카에 뿌리내리는 ‘농업 한류’
입력 2017.05.19 (06:53) 수정 2017.05.19 (07:34)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우수한 우리 농업기술을 해외에 보급하는 사업이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아프리카 케냐에서는 우리 기술을 전수받은 농가의 소득이 3배 이상 높아지는 등 현지 만족도가 높습니다.
조선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케냐 나이로비의 한 시골 마을.
주민들이 한데 모여 양계장 관리법을 배웁니다.
농촌진흥청을 통해 우리 토종닭을 보급받은 농가는 모두 100곳.
보급 1년 만에 달걀 생산량이 기존보다 5배 늘었습니다.
<인터뷰> 아나스타샤 바타(닭 사육 농민) : "이 사업을 통해서 배운 지식을 활용했더니 닭 마릿수가 늘었고 지금은 농사에 들어가는 시간이 줄었습니다."
바이러스에 강한 우량 씨감자를 보급받은 이 마을도 마찬가지.
우리 기술이 보급되기 전보다 감자 생산량이 3.9배 늘었습니다.
주민들은 이제 수확한 감자를 오래 보관하는 법도 익혔습니다.
<인터뷰> 앤 키히우(씨감자 재배 농민) : "감자를 집에 두면 금방 썩었었는데 지금은 저장고에 두는 법을 알게 되어서 깨끗하고 안전한 감자를 먹고 있습니다."
우리 농업기술이 케냐 땅에 전파된 지 겨우 1년, 농가 소득은 3배가 됐습니다.
<인터뷰> 김충회(KOPIA/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 케냐 소장) : "케냐 사람들의 농가 소득이 낮은데 이 소득을 높이기 위해서 좋은 종자를 자체 마을 내에서 증식해서 보급할 수 있도록 그런 시설을 지원했습니다."
농진청은 해당 마을에 병아리 부화장이나 관수시설 등도 잇따라 설치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조선우입니다.
우수한 우리 농업기술을 해외에 보급하는 사업이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아프리카 케냐에서는 우리 기술을 전수받은 농가의 소득이 3배 이상 높아지는 등 현지 만족도가 높습니다.
조선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케냐 나이로비의 한 시골 마을.
주민들이 한데 모여 양계장 관리법을 배웁니다.
농촌진흥청을 통해 우리 토종닭을 보급받은 농가는 모두 100곳.
보급 1년 만에 달걀 생산량이 기존보다 5배 늘었습니다.
<인터뷰> 아나스타샤 바타(닭 사육 농민) : "이 사업을 통해서 배운 지식을 활용했더니 닭 마릿수가 늘었고 지금은 농사에 들어가는 시간이 줄었습니다."
바이러스에 강한 우량 씨감자를 보급받은 이 마을도 마찬가지.
우리 기술이 보급되기 전보다 감자 생산량이 3.9배 늘었습니다.
주민들은 이제 수확한 감자를 오래 보관하는 법도 익혔습니다.
<인터뷰> 앤 키히우(씨감자 재배 농민) : "감자를 집에 두면 금방 썩었었는데 지금은 저장고에 두는 법을 알게 되어서 깨끗하고 안전한 감자를 먹고 있습니다."
우리 농업기술이 케냐 땅에 전파된 지 겨우 1년, 농가 소득은 3배가 됐습니다.
<인터뷰> 김충회(KOPIA/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 케냐 소장) : "케냐 사람들의 농가 소득이 낮은데 이 소득을 높이기 위해서 좋은 종자를 자체 마을 내에서 증식해서 보급할 수 있도록 그런 시설을 지원했습니다."
농진청은 해당 마을에 병아리 부화장이나 관수시설 등도 잇따라 설치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조선우입니다.
- 아프리카에 뿌리내리는 ‘농업 한류’
-
- 입력 2017-05-19 07:22:57
- 수정2017-05-19 07:34:35

<앵커 멘트>
우수한 우리 농업기술을 해외에 보급하는 사업이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아프리카 케냐에서는 우리 기술을 전수받은 농가의 소득이 3배 이상 높아지는 등 현지 만족도가 높습니다.
조선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케냐 나이로비의 한 시골 마을.
주민들이 한데 모여 양계장 관리법을 배웁니다.
농촌진흥청을 통해 우리 토종닭을 보급받은 농가는 모두 100곳.
보급 1년 만에 달걀 생산량이 기존보다 5배 늘었습니다.
<인터뷰> 아나스타샤 바타(닭 사육 농민) : "이 사업을 통해서 배운 지식을 활용했더니 닭 마릿수가 늘었고 지금은 농사에 들어가는 시간이 줄었습니다."
바이러스에 강한 우량 씨감자를 보급받은 이 마을도 마찬가지.
우리 기술이 보급되기 전보다 감자 생산량이 3.9배 늘었습니다.
주민들은 이제 수확한 감자를 오래 보관하는 법도 익혔습니다.
<인터뷰> 앤 키히우(씨감자 재배 농민) : "감자를 집에 두면 금방 썩었었는데 지금은 저장고에 두는 법을 알게 되어서 깨끗하고 안전한 감자를 먹고 있습니다."
우리 농업기술이 케냐 땅에 전파된 지 겨우 1년, 농가 소득은 3배가 됐습니다.
<인터뷰> 김충회(KOPIA/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 케냐 소장) : "케냐 사람들의 농가 소득이 낮은데 이 소득을 높이기 위해서 좋은 종자를 자체 마을 내에서 증식해서 보급할 수 있도록 그런 시설을 지원했습니다."
농진청은 해당 마을에 병아리 부화장이나 관수시설 등도 잇따라 설치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조선우입니다.
우수한 우리 농업기술을 해외에 보급하는 사업이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아프리카 케냐에서는 우리 기술을 전수받은 농가의 소득이 3배 이상 높아지는 등 현지 만족도가 높습니다.
조선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케냐 나이로비의 한 시골 마을.
주민들이 한데 모여 양계장 관리법을 배웁니다.
농촌진흥청을 통해 우리 토종닭을 보급받은 농가는 모두 100곳.
보급 1년 만에 달걀 생산량이 기존보다 5배 늘었습니다.
<인터뷰> 아나스타샤 바타(닭 사육 농민) : "이 사업을 통해서 배운 지식을 활용했더니 닭 마릿수가 늘었고 지금은 농사에 들어가는 시간이 줄었습니다."
바이러스에 강한 우량 씨감자를 보급받은 이 마을도 마찬가지.
우리 기술이 보급되기 전보다 감자 생산량이 3.9배 늘었습니다.
주민들은 이제 수확한 감자를 오래 보관하는 법도 익혔습니다.
<인터뷰> 앤 키히우(씨감자 재배 농민) : "감자를 집에 두면 금방 썩었었는데 지금은 저장고에 두는 법을 알게 되어서 깨끗하고 안전한 감자를 먹고 있습니다."
우리 농업기술이 케냐 땅에 전파된 지 겨우 1년, 농가 소득은 3배가 됐습니다.
<인터뷰> 김충회(KOPIA/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 케냐 소장) : "케냐 사람들의 농가 소득이 낮은데 이 소득을 높이기 위해서 좋은 종자를 자체 마을 내에서 증식해서 보급할 수 있도록 그런 시설을 지원했습니다."
농진청은 해당 마을에 병아리 부화장이나 관수시설 등도 잇따라 설치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조선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광장 1부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조선우 기자 ssun@kbs.co.kr
조선우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