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지난해 경제자유구역 일자리 10% 증가
입력 2017.05.19 (19:44) 수정 2017.05.19 (20:00) 경제
지난해 경제자유구역 내 일자리가 10% 가량 늘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제91차 경제자유구역위원회를 열고 2016년 경제자유구역 성과 평가를 심의·의결했다.
지난해 말 기준 경제자유구역 내 고용 인원은 12만6천명으로 집계됐다. 2015년 11만5천명보다 9.6% 늘어난 수치다.
경제자유구역 내 외국인 직접투자액은 22억3천만 달러(약 2조5천억원)로 53.1% 증가했다. 우리나라 전체 외국인 직접투자액의 10분의 1에 해당한다. 이에 비해 국내 기업의 투자액은 3조1천억원으로 전년보다 2.7% 늘어나는 데 그쳤다. 경제자유구역 개발률은 66.7%로 전년보다 12.5%포인트 상승했다. 개발률은 전체 지정면적 중 개발이 진행 중이거나 완료된 면적의 비중을 말한다.
7개 경제자유구역청 중 최상위 평가를 받은 곳은 부산진해였다. 인천(2위), 대구경북과 광양만권(공동 3위)이 뒤를 이었다. 부산진해는 투자유치·개발사업 추진, 인천은 조직운영·기업지원·정주 환경 항목에서 각각 최고점을 받았다.
산업부는 평가결과를 국고 차등지원 등 성과급에 반영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제91차 경제자유구역위원회를 열고 2016년 경제자유구역 성과 평가를 심의·의결했다.
지난해 말 기준 경제자유구역 내 고용 인원은 12만6천명으로 집계됐다. 2015년 11만5천명보다 9.6% 늘어난 수치다.
경제자유구역 내 외국인 직접투자액은 22억3천만 달러(약 2조5천억원)로 53.1% 증가했다. 우리나라 전체 외국인 직접투자액의 10분의 1에 해당한다. 이에 비해 국내 기업의 투자액은 3조1천억원으로 전년보다 2.7% 늘어나는 데 그쳤다. 경제자유구역 개발률은 66.7%로 전년보다 12.5%포인트 상승했다. 개발률은 전체 지정면적 중 개발이 진행 중이거나 완료된 면적의 비중을 말한다.
7개 경제자유구역청 중 최상위 평가를 받은 곳은 부산진해였다. 인천(2위), 대구경북과 광양만권(공동 3위)이 뒤를 이었다. 부산진해는 투자유치·개발사업 추진, 인천은 조직운영·기업지원·정주 환경 항목에서 각각 최고점을 받았다.
산업부는 평가결과를 국고 차등지원 등 성과급에 반영한다.
- 지난해 경제자유구역 일자리 10% 증가
-
- 입력 2017-05-19 19:44:08
- 수정2017-05-19 20:00:39

지난해 경제자유구역 내 일자리가 10% 가량 늘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제91차 경제자유구역위원회를 열고 2016년 경제자유구역 성과 평가를 심의·의결했다.
지난해 말 기준 경제자유구역 내 고용 인원은 12만6천명으로 집계됐다. 2015년 11만5천명보다 9.6% 늘어난 수치다.
경제자유구역 내 외국인 직접투자액은 22억3천만 달러(약 2조5천억원)로 53.1% 증가했다. 우리나라 전체 외국인 직접투자액의 10분의 1에 해당한다. 이에 비해 국내 기업의 투자액은 3조1천억원으로 전년보다 2.7% 늘어나는 데 그쳤다. 경제자유구역 개발률은 66.7%로 전년보다 12.5%포인트 상승했다. 개발률은 전체 지정면적 중 개발이 진행 중이거나 완료된 면적의 비중을 말한다.
7개 경제자유구역청 중 최상위 평가를 받은 곳은 부산진해였다. 인천(2위), 대구경북과 광양만권(공동 3위)이 뒤를 이었다. 부산진해는 투자유치·개발사업 추진, 인천은 조직운영·기업지원·정주 환경 항목에서 각각 최고점을 받았다.
산업부는 평가결과를 국고 차등지원 등 성과급에 반영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제91차 경제자유구역위원회를 열고 2016년 경제자유구역 성과 평가를 심의·의결했다.
지난해 말 기준 경제자유구역 내 고용 인원은 12만6천명으로 집계됐다. 2015년 11만5천명보다 9.6% 늘어난 수치다.
경제자유구역 내 외국인 직접투자액은 22억3천만 달러(약 2조5천억원)로 53.1% 증가했다. 우리나라 전체 외국인 직접투자액의 10분의 1에 해당한다. 이에 비해 국내 기업의 투자액은 3조1천억원으로 전년보다 2.7% 늘어나는 데 그쳤다. 경제자유구역 개발률은 66.7%로 전년보다 12.5%포인트 상승했다. 개발률은 전체 지정면적 중 개발이 진행 중이거나 완료된 면적의 비중을 말한다.
7개 경제자유구역청 중 최상위 평가를 받은 곳은 부산진해였다. 인천(2위), 대구경북과 광양만권(공동 3위)이 뒤를 이었다. 부산진해는 투자유치·개발사업 추진, 인천은 조직운영·기업지원·정주 환경 항목에서 각각 최고점을 받았다.
산업부는 평가결과를 국고 차등지원 등 성과급에 반영한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자 정보
-
-
이재희 기자 leej@kbs.co.kr
이재희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