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포 유일 종합병원 응급실, 의료 공백 우려
입력 2017.06.07 (06:48)
수정 2017.06.07 (07: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국내 관광 1번지 제주, 그중에서도 서귀포를 찾는 분들 많으실 텐데요.
서귀포시의 유일한 응급의료기관인 의료원의 응급실 전문의들이 잇따라 사직하면서 의료공백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강인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제주 서귀포시의 응급의료를 책임지는 서귀포의료원.
주말이면 응급실 환자가 최고 120명에 이릅니다.
하지만 전문의는 공중보건의 3명을 포함해 4명뿐입니다.
<녹취> 응급실 이용 환자(음성변조) : "진통제도 안 주고 한 시간 정도 있다가 엑스레이를 찍고 환자한테 그런 식으로 하면 안 되죠."
상황이 이렇게 된 건 지난 3월부터입니다.
응급실 전문의 4명이 의료원과 갈등 속에 집단사직하자 6명을 충원하며 의료공백은 없을 거라고 자신했습니다.
하지만, 채용된 지 보름 만에 서귀포의료원 응급의료센터 센터장이 퇴사하는 등 이미 2명이 그만뒀습니다.
과도한 업무와 건강 문제가 퇴사 배경으로 알려졌습니다.
서귀포의료원은 전국적으로 응급센터가 늘어 응급의학 전문의 채용이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인터뷰> 성대림(서귀포의료원 원장) : "(공백을)메꾸려면 적어도 외부에서 들어오든지 내부에서 해야 하는 데 외부에서 인력 공급이 안 되니까."
문제는 여름 휴가철로 접어들면 관광객도 급증해 의료공백이 한층 우려되는 점입니다.
그런데도 관리 감독기관인 제주도는 지역응급의료센터 운영기준인 의사 4명 이상을 충족하고 있다며 손을 놓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인희입니다.
국내 관광 1번지 제주, 그중에서도 서귀포를 찾는 분들 많으실 텐데요.
서귀포시의 유일한 응급의료기관인 의료원의 응급실 전문의들이 잇따라 사직하면서 의료공백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강인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제주 서귀포시의 응급의료를 책임지는 서귀포의료원.
주말이면 응급실 환자가 최고 120명에 이릅니다.
하지만 전문의는 공중보건의 3명을 포함해 4명뿐입니다.
<녹취> 응급실 이용 환자(음성변조) : "진통제도 안 주고 한 시간 정도 있다가 엑스레이를 찍고 환자한테 그런 식으로 하면 안 되죠."
상황이 이렇게 된 건 지난 3월부터입니다.
응급실 전문의 4명이 의료원과 갈등 속에 집단사직하자 6명을 충원하며 의료공백은 없을 거라고 자신했습니다.
하지만, 채용된 지 보름 만에 서귀포의료원 응급의료센터 센터장이 퇴사하는 등 이미 2명이 그만뒀습니다.
과도한 업무와 건강 문제가 퇴사 배경으로 알려졌습니다.
서귀포의료원은 전국적으로 응급센터가 늘어 응급의학 전문의 채용이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인터뷰> 성대림(서귀포의료원 원장) : "(공백을)메꾸려면 적어도 외부에서 들어오든지 내부에서 해야 하는 데 외부에서 인력 공급이 안 되니까."
문제는 여름 휴가철로 접어들면 관광객도 급증해 의료공백이 한층 우려되는 점입니다.
그런데도 관리 감독기관인 제주도는 지역응급의료센터 운영기준인 의사 4명 이상을 충족하고 있다며 손을 놓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인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귀포 유일 종합병원 응급실, 의료 공백 우려
-
- 입력 2017-06-07 07:03:40
- 수정2017-06-07 07:51:34

<앵커 멘트>
국내 관광 1번지 제주, 그중에서도 서귀포를 찾는 분들 많으실 텐데요.
서귀포시의 유일한 응급의료기관인 의료원의 응급실 전문의들이 잇따라 사직하면서 의료공백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강인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제주 서귀포시의 응급의료를 책임지는 서귀포의료원.
주말이면 응급실 환자가 최고 120명에 이릅니다.
하지만 전문의는 공중보건의 3명을 포함해 4명뿐입니다.
<녹취> 응급실 이용 환자(음성변조) : "진통제도 안 주고 한 시간 정도 있다가 엑스레이를 찍고 환자한테 그런 식으로 하면 안 되죠."
상황이 이렇게 된 건 지난 3월부터입니다.
응급실 전문의 4명이 의료원과 갈등 속에 집단사직하자 6명을 충원하며 의료공백은 없을 거라고 자신했습니다.
하지만, 채용된 지 보름 만에 서귀포의료원 응급의료센터 센터장이 퇴사하는 등 이미 2명이 그만뒀습니다.
과도한 업무와 건강 문제가 퇴사 배경으로 알려졌습니다.
서귀포의료원은 전국적으로 응급센터가 늘어 응급의학 전문의 채용이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인터뷰> 성대림(서귀포의료원 원장) : "(공백을)메꾸려면 적어도 외부에서 들어오든지 내부에서 해야 하는 데 외부에서 인력 공급이 안 되니까."
문제는 여름 휴가철로 접어들면 관광객도 급증해 의료공백이 한층 우려되는 점입니다.
그런데도 관리 감독기관인 제주도는 지역응급의료센터 운영기준인 의사 4명 이상을 충족하고 있다며 손을 놓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인희입니다.
국내 관광 1번지 제주, 그중에서도 서귀포를 찾는 분들 많으실 텐데요.
서귀포시의 유일한 응급의료기관인 의료원의 응급실 전문의들이 잇따라 사직하면서 의료공백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강인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제주 서귀포시의 응급의료를 책임지는 서귀포의료원.
주말이면 응급실 환자가 최고 120명에 이릅니다.
하지만 전문의는 공중보건의 3명을 포함해 4명뿐입니다.
<녹취> 응급실 이용 환자(음성변조) : "진통제도 안 주고 한 시간 정도 있다가 엑스레이를 찍고 환자한테 그런 식으로 하면 안 되죠."
상황이 이렇게 된 건 지난 3월부터입니다.
응급실 전문의 4명이 의료원과 갈등 속에 집단사직하자 6명을 충원하며 의료공백은 없을 거라고 자신했습니다.
하지만, 채용된 지 보름 만에 서귀포의료원 응급의료센터 센터장이 퇴사하는 등 이미 2명이 그만뒀습니다.
과도한 업무와 건강 문제가 퇴사 배경으로 알려졌습니다.
서귀포의료원은 전국적으로 응급센터가 늘어 응급의학 전문의 채용이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인터뷰> 성대림(서귀포의료원 원장) : "(공백을)메꾸려면 적어도 외부에서 들어오든지 내부에서 해야 하는 데 외부에서 인력 공급이 안 되니까."
문제는 여름 휴가철로 접어들면 관광객도 급증해 의료공백이 한층 우려되는 점입니다.
그런데도 관리 감독기관인 제주도는 지역응급의료센터 운영기준인 의사 4명 이상을 충족하고 있다며 손을 놓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인희입니다.
-
-
강인희 기자 inhee@kbs.co.kr
강인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