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뉴스해설] ‘결핵’ 분리진료·격리해야
입력 2017.07.24 (07:43) 수정 2017.07.24 (09:38) 뉴스광장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엄중식 객원해설위원]

활동성 폐결핵을 가진 간호사가 근무했던 서울의 한 병원에서 신생아실을 이용한 신생아와 영아 백여 명이 최근 잠복 결핵으로 진단돼 수개월 동안 항결핵제를 복용해야 하는 안타까운 일이 발생했습니다. 이처럼 병원이나 보육 시설에서, 활동성 폐결핵에 걸린 종사자와 접촉한 어린이들이 결핵에 걸리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경제 수준과 보건 환경이 비약적으로 발전했지만, 인구 10만 명당 결핵 발생자수가 80여 명으로 OECD 가입국 가운데 환자가 가장 많습니다. 새로 발생하는 결핵 환자도 해마다 3만 명이나 되고 사망자도 2천2백 명이 넘을 정돕니다. 질병관리본부가 지난해 "결핵 안심 국가시행계획” 안을 마련해 조기 발견과 예방적 치료를 하는 방식으로 전략을 수정했고 최근 더 강화된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치료 중심의 결핵 퇴치 사업으로는 높은 잠복 결핵 감염률을 줄일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보다 더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합니다. 먼저 기침 가래와 같은 호흡기 증상을 가진 환자가 의료기관을 찾을 때부터 다른 환자와 분리해 진료해야 하고, 진료 공간도 음압시설을 갖추어 환자와 의료진 모두가 안전하게 진료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활동성 폐결핵 환자는 전파력이 사라질 때까지 반드시 격리해야 하며 이에 따른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제도적 뒷받침이 있어야 합니다. 의료기관이나 보육시설 종사자를 채용할 때는 잠복 결핵 검사를 시행해 결과에 따라 근무 시작 시점을 결정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 대한 법적인 근거도 마련돼야 합니다.

미국의 경우 결핵 관리를 위해 50년 이상 지속적으로 전략을 수립하고 대책을 수정하며 끊임없이 노력을 기울인 결과 결핵 발생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었습니다. 우리나라도 결핵 발생을 줄이기 위한 국가 장기 전략을 수립하는 데 있어 전문가의 심도 있는 자문과 재검토가 필요하고 결핵 예방을 위한 대책을 시행하는데 국민의 적극적인 협조가 절실한 때입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 [뉴스해설] ‘결핵’ 분리진료·격리해야
    • 입력 2017-07-24 07:52:16
    • 수정2017-07-24 09:38:15
    뉴스광장
[엄중식 객원해설위원]

활동성 폐결핵을 가진 간호사가 근무했던 서울의 한 병원에서 신생아실을 이용한 신생아와 영아 백여 명이 최근 잠복 결핵으로 진단돼 수개월 동안 항결핵제를 복용해야 하는 안타까운 일이 발생했습니다. 이처럼 병원이나 보육 시설에서, 활동성 폐결핵에 걸린 종사자와 접촉한 어린이들이 결핵에 걸리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경제 수준과 보건 환경이 비약적으로 발전했지만, 인구 10만 명당 결핵 발생자수가 80여 명으로 OECD 가입국 가운데 환자가 가장 많습니다. 새로 발생하는 결핵 환자도 해마다 3만 명이나 되고 사망자도 2천2백 명이 넘을 정돕니다. 질병관리본부가 지난해 "결핵 안심 국가시행계획” 안을 마련해 조기 발견과 예방적 치료를 하는 방식으로 전략을 수정했고 최근 더 강화된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치료 중심의 결핵 퇴치 사업으로는 높은 잠복 결핵 감염률을 줄일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보다 더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합니다. 먼저 기침 가래와 같은 호흡기 증상을 가진 환자가 의료기관을 찾을 때부터 다른 환자와 분리해 진료해야 하고, 진료 공간도 음압시설을 갖추어 환자와 의료진 모두가 안전하게 진료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활동성 폐결핵 환자는 전파력이 사라질 때까지 반드시 격리해야 하며 이에 따른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제도적 뒷받침이 있어야 합니다. 의료기관이나 보육시설 종사자를 채용할 때는 잠복 결핵 검사를 시행해 결과에 따라 근무 시작 시점을 결정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 대한 법적인 근거도 마련돼야 합니다.

미국의 경우 결핵 관리를 위해 50년 이상 지속적으로 전략을 수립하고 대책을 수정하며 끊임없이 노력을 기울인 결과 결핵 발생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었습니다. 우리나라도 결핵 발생을 줄이기 위한 국가 장기 전략을 수립하는 데 있어 전문가의 심도 있는 자문과 재검토가 필요하고 결핵 예방을 위한 대책을 시행하는데 국민의 적극적인 협조가 절실한 때입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