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클럽 불시 점검해보니…10곳 중 6곳 화재 취약
입력 2017.07.24 (19:12) 수정 2017.07.25 (10:03) 뉴스 7
<앵커 멘트>
젊은이들이 주로 찾는 대형 클럽은 많은 사람이 모이는 데다 음악 소리도 크기 때문에 화재에 특히 취약한데요,
실제로 10곳 가운데 6곳은 방화구역이 훼손되는 등 안전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오승목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밤늦은 시각, 쿵쾅대는 음악 소리와 함께 영업이 한창인 서울의 한 대형클럽.
소방대원과 경찰이 클럽 안으로 들어갑니다.
불시에 단행된 합동 소방시설 점검입니다.
우선 불이 나면 손님들이 따라 대피해야 하는 피난 유도등부터 먹통입니다.
<녹취> "피난유도등이 안 들어오고 있잖아요. 그렇죠?"
탈출통로인 비상구는 식탁과 의자 등으로 가로 막혀 있고, 초기 진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스프링클러가 고장 난 곳도 있습니다.
지난 20일 밤에 실시된 합동 점검 결과 서울 시내 클럽 17곳 중 10곳에서 23건의 위반사항이 적발됐습니다.
전체의 58%, 클럽 10곳 가운데 6곳 가까이가 화재에 취약하다는 얘깁니다.
방화구역 훼손이 8건으로 가장 많았고, 스프링클러와 소화전함 유지관리 불량이 5건과 3건을 차지했습니다.
비상구를 폐쇄하거나 피난통로에 물건을 쌓아놓은 경우도 각각 2건씩 적발됐습니다.
<인터뷰> 유경문(서울 용산소방서 예방과 주임) : "화재가 났을 때 비상구상으로 모든 사람이 몰리는 병목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속한 탈출이 용이하도록 비상구를 관리 해야 합니다."
서울시는 적발된 업소 중 9곳에 대해서는 과태료 등 행정처분을 하고 불시기습 단속을 계속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오승목입니다.
젊은이들이 주로 찾는 대형 클럽은 많은 사람이 모이는 데다 음악 소리도 크기 때문에 화재에 특히 취약한데요,
실제로 10곳 가운데 6곳은 방화구역이 훼손되는 등 안전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오승목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밤늦은 시각, 쿵쾅대는 음악 소리와 함께 영업이 한창인 서울의 한 대형클럽.
소방대원과 경찰이 클럽 안으로 들어갑니다.
불시에 단행된 합동 소방시설 점검입니다.
우선 불이 나면 손님들이 따라 대피해야 하는 피난 유도등부터 먹통입니다.
<녹취> "피난유도등이 안 들어오고 있잖아요. 그렇죠?"
탈출통로인 비상구는 식탁과 의자 등으로 가로 막혀 있고, 초기 진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스프링클러가 고장 난 곳도 있습니다.
지난 20일 밤에 실시된 합동 점검 결과 서울 시내 클럽 17곳 중 10곳에서 23건의 위반사항이 적발됐습니다.
전체의 58%, 클럽 10곳 가운데 6곳 가까이가 화재에 취약하다는 얘깁니다.
방화구역 훼손이 8건으로 가장 많았고, 스프링클러와 소화전함 유지관리 불량이 5건과 3건을 차지했습니다.
비상구를 폐쇄하거나 피난통로에 물건을 쌓아놓은 경우도 각각 2건씩 적발됐습니다.
<인터뷰> 유경문(서울 용산소방서 예방과 주임) : "화재가 났을 때 비상구상으로 모든 사람이 몰리는 병목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속한 탈출이 용이하도록 비상구를 관리 해야 합니다."
서울시는 적발된 업소 중 9곳에 대해서는 과태료 등 행정처분을 하고 불시기습 단속을 계속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오승목입니다.
- 클럽 불시 점검해보니…10곳 중 6곳 화재 취약
-
- 입력 2017-07-24 19:14:24
- 수정2017-07-25 10:03:31

<앵커 멘트>
젊은이들이 주로 찾는 대형 클럽은 많은 사람이 모이는 데다 음악 소리도 크기 때문에 화재에 특히 취약한데요,
실제로 10곳 가운데 6곳은 방화구역이 훼손되는 등 안전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오승목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밤늦은 시각, 쿵쾅대는 음악 소리와 함께 영업이 한창인 서울의 한 대형클럽.
소방대원과 경찰이 클럽 안으로 들어갑니다.
불시에 단행된 합동 소방시설 점검입니다.
우선 불이 나면 손님들이 따라 대피해야 하는 피난 유도등부터 먹통입니다.
<녹취> "피난유도등이 안 들어오고 있잖아요. 그렇죠?"
탈출통로인 비상구는 식탁과 의자 등으로 가로 막혀 있고, 초기 진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스프링클러가 고장 난 곳도 있습니다.
지난 20일 밤에 실시된 합동 점검 결과 서울 시내 클럽 17곳 중 10곳에서 23건의 위반사항이 적발됐습니다.
전체의 58%, 클럽 10곳 가운데 6곳 가까이가 화재에 취약하다는 얘깁니다.
방화구역 훼손이 8건으로 가장 많았고, 스프링클러와 소화전함 유지관리 불량이 5건과 3건을 차지했습니다.
비상구를 폐쇄하거나 피난통로에 물건을 쌓아놓은 경우도 각각 2건씩 적발됐습니다.
<인터뷰> 유경문(서울 용산소방서 예방과 주임) : "화재가 났을 때 비상구상으로 모든 사람이 몰리는 병목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속한 탈출이 용이하도록 비상구를 관리 해야 합니다."
서울시는 적발된 업소 중 9곳에 대해서는 과태료 등 행정처분을 하고 불시기습 단속을 계속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오승목입니다.
젊은이들이 주로 찾는 대형 클럽은 많은 사람이 모이는 데다 음악 소리도 크기 때문에 화재에 특히 취약한데요,
실제로 10곳 가운데 6곳은 방화구역이 훼손되는 등 안전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오승목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밤늦은 시각, 쿵쾅대는 음악 소리와 함께 영업이 한창인 서울의 한 대형클럽.
소방대원과 경찰이 클럽 안으로 들어갑니다.
불시에 단행된 합동 소방시설 점검입니다.
우선 불이 나면 손님들이 따라 대피해야 하는 피난 유도등부터 먹통입니다.
<녹취> "피난유도등이 안 들어오고 있잖아요. 그렇죠?"
탈출통로인 비상구는 식탁과 의자 등으로 가로 막혀 있고, 초기 진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스프링클러가 고장 난 곳도 있습니다.
지난 20일 밤에 실시된 합동 점검 결과 서울 시내 클럽 17곳 중 10곳에서 23건의 위반사항이 적발됐습니다.
전체의 58%, 클럽 10곳 가운데 6곳 가까이가 화재에 취약하다는 얘깁니다.
방화구역 훼손이 8건으로 가장 많았고, 스프링클러와 소화전함 유지관리 불량이 5건과 3건을 차지했습니다.
비상구를 폐쇄하거나 피난통로에 물건을 쌓아놓은 경우도 각각 2건씩 적발됐습니다.
<인터뷰> 유경문(서울 용산소방서 예방과 주임) : "화재가 났을 때 비상구상으로 모든 사람이 몰리는 병목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속한 탈출이 용이하도록 비상구를 관리 해야 합니다."
서울시는 적발된 업소 중 9곳에 대해서는 과태료 등 행정처분을 하고 불시기습 단속을 계속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오승목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 7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오승목 기자 osm@kbs.co.kr
오승목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