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탈북 화가, 남한에서도 힘겨운 ‘예술의 꿈’
입력 2017.07.24 (19:23) 수정 2017.07.24 (19:50) 뉴스 7
<앵커 멘트>
예술가의 삶은 어디에서나 고단하다고 합니다만, 탈북 예술인들에게는 더욱 그렇습니다.
자유롭게 그림을 그리고 싶어 한국에 왔지만, 극심한 생활고 때문에 작품 활동에 전념하기도 여의치가 않다고 합니다.
김민정 기자가 탈북화가들을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철조망 앞에서 절반으로 나뉜 몸.
분단된 한반도의 현실이 화폭에 담겼습니다.
고통스러웠던 탈북의 기억과, 통일에 대한 간절한 염원까지..
예술의 자유를 찾아 남으로 내려온 작가의 작품 세계는 거침없고 강렬합니다.
<인터뷰> 화선(예명/탈북 화가) : "(북한에서는)당에 기쁨을 주기 위해서 그림을 그린다는 얘기에요. 그림을 좀 마음대로 그리고 싶은 생각이 많았어요."
하지만 안경사와 보석감정사까지..
생계를 위해 각종 직업 전선에 뛰어들다보니, 첫 전시회를 열기까지 17년이라는 세월이 걸렸습니다.
<인터뷰> 화선(예명/탈북 화가) : "그림에 대한 미련을 못버리고. 통일이라고 하는 생각을 하는 어떠한 장이됐으면 하는 의미를 가지고.."
5년 전부터 활동을 시작한 오성철 작가 역시 아직까지 부업을 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오성철(탈북 화가) : "(생활만 안정되면)다 내려놓고라도 전업으로 그림 그리겠는데 지금 현실은 내가 화가인지 알바생인지.."
<인터뷰> 황의철(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사무총장) : "(탈북 예술인 지원이)제도적으로 좀 미흡하지 않나. 여기 미술인들하고 동화되게 하고 같이 교류하게 하고 그런 과정을 통해서.."
현재 국내에서 활동 중인 탈북 화가는 다섯 명 내외로 추정됩니다.
가슴 속 예술혼을 화폭에 오롯이 담기 위한 이들의 고된 여정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민정입니다.
예술가의 삶은 어디에서나 고단하다고 합니다만, 탈북 예술인들에게는 더욱 그렇습니다.
자유롭게 그림을 그리고 싶어 한국에 왔지만, 극심한 생활고 때문에 작품 활동에 전념하기도 여의치가 않다고 합니다.
김민정 기자가 탈북화가들을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철조망 앞에서 절반으로 나뉜 몸.
분단된 한반도의 현실이 화폭에 담겼습니다.
고통스러웠던 탈북의 기억과, 통일에 대한 간절한 염원까지..
예술의 자유를 찾아 남으로 내려온 작가의 작품 세계는 거침없고 강렬합니다.
<인터뷰> 화선(예명/탈북 화가) : "(북한에서는)당에 기쁨을 주기 위해서 그림을 그린다는 얘기에요. 그림을 좀 마음대로 그리고 싶은 생각이 많았어요."
하지만 안경사와 보석감정사까지..
생계를 위해 각종 직업 전선에 뛰어들다보니, 첫 전시회를 열기까지 17년이라는 세월이 걸렸습니다.
<인터뷰> 화선(예명/탈북 화가) : "그림에 대한 미련을 못버리고. 통일이라고 하는 생각을 하는 어떠한 장이됐으면 하는 의미를 가지고.."
5년 전부터 활동을 시작한 오성철 작가 역시 아직까지 부업을 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오성철(탈북 화가) : "(생활만 안정되면)다 내려놓고라도 전업으로 그림 그리겠는데 지금 현실은 내가 화가인지 알바생인지.."
<인터뷰> 황의철(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사무총장) : "(탈북 예술인 지원이)제도적으로 좀 미흡하지 않나. 여기 미술인들하고 동화되게 하고 같이 교류하게 하고 그런 과정을 통해서.."
현재 국내에서 활동 중인 탈북 화가는 다섯 명 내외로 추정됩니다.
가슴 속 예술혼을 화폭에 오롯이 담기 위한 이들의 고된 여정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민정입니다.
- 탈북 화가, 남한에서도 힘겨운 ‘예술의 꿈’
-
- 입력 2017-07-24 19:28:33
- 수정2017-07-24 19:50:00

<앵커 멘트>
예술가의 삶은 어디에서나 고단하다고 합니다만, 탈북 예술인들에게는 더욱 그렇습니다.
자유롭게 그림을 그리고 싶어 한국에 왔지만, 극심한 생활고 때문에 작품 활동에 전념하기도 여의치가 않다고 합니다.
김민정 기자가 탈북화가들을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철조망 앞에서 절반으로 나뉜 몸.
분단된 한반도의 현실이 화폭에 담겼습니다.
고통스러웠던 탈북의 기억과, 통일에 대한 간절한 염원까지..
예술의 자유를 찾아 남으로 내려온 작가의 작품 세계는 거침없고 강렬합니다.
<인터뷰> 화선(예명/탈북 화가) : "(북한에서는)당에 기쁨을 주기 위해서 그림을 그린다는 얘기에요. 그림을 좀 마음대로 그리고 싶은 생각이 많았어요."
하지만 안경사와 보석감정사까지..
생계를 위해 각종 직업 전선에 뛰어들다보니, 첫 전시회를 열기까지 17년이라는 세월이 걸렸습니다.
<인터뷰> 화선(예명/탈북 화가) : "그림에 대한 미련을 못버리고. 통일이라고 하는 생각을 하는 어떠한 장이됐으면 하는 의미를 가지고.."
5년 전부터 활동을 시작한 오성철 작가 역시 아직까지 부업을 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오성철(탈북 화가) : "(생활만 안정되면)다 내려놓고라도 전업으로 그림 그리겠는데 지금 현실은 내가 화가인지 알바생인지.."
<인터뷰> 황의철(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사무총장) : "(탈북 예술인 지원이)제도적으로 좀 미흡하지 않나. 여기 미술인들하고 동화되게 하고 같이 교류하게 하고 그런 과정을 통해서.."
현재 국내에서 활동 중인 탈북 화가는 다섯 명 내외로 추정됩니다.
가슴 속 예술혼을 화폭에 오롯이 담기 위한 이들의 고된 여정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민정입니다.
예술가의 삶은 어디에서나 고단하다고 합니다만, 탈북 예술인들에게는 더욱 그렇습니다.
자유롭게 그림을 그리고 싶어 한국에 왔지만, 극심한 생활고 때문에 작품 활동에 전념하기도 여의치가 않다고 합니다.
김민정 기자가 탈북화가들을 만나봤습니다.
<리포트>
철조망 앞에서 절반으로 나뉜 몸.
분단된 한반도의 현실이 화폭에 담겼습니다.
고통스러웠던 탈북의 기억과, 통일에 대한 간절한 염원까지..
예술의 자유를 찾아 남으로 내려온 작가의 작품 세계는 거침없고 강렬합니다.
<인터뷰> 화선(예명/탈북 화가) : "(북한에서는)당에 기쁨을 주기 위해서 그림을 그린다는 얘기에요. 그림을 좀 마음대로 그리고 싶은 생각이 많았어요."
하지만 안경사와 보석감정사까지..
생계를 위해 각종 직업 전선에 뛰어들다보니, 첫 전시회를 열기까지 17년이라는 세월이 걸렸습니다.
<인터뷰> 화선(예명/탈북 화가) : "그림에 대한 미련을 못버리고. 통일이라고 하는 생각을 하는 어떠한 장이됐으면 하는 의미를 가지고.."
5년 전부터 활동을 시작한 오성철 작가 역시 아직까지 부업을 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오성철(탈북 화가) : "(생활만 안정되면)다 내려놓고라도 전업으로 그림 그리겠는데 지금 현실은 내가 화가인지 알바생인지.."
<인터뷰> 황의철(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사무총장) : "(탈북 예술인 지원이)제도적으로 좀 미흡하지 않나. 여기 미술인들하고 동화되게 하고 같이 교류하게 하고 그런 과정을 통해서.."
현재 국내에서 활동 중인 탈북 화가는 다섯 명 내외로 추정됩니다.
가슴 속 예술혼을 화폭에 오롯이 담기 위한 이들의 고된 여정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민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 7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김민정 기자 mjnews@kbs.co.kr
김민정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