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시진핑 통화…‘北 도발중단 우선 vs 대화해야’ 온도차
입력 2017.08.12 (17:35)
수정 2017.08.12 (17: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과 북한이 '말폭탄 전(戰)'으로 치달으면서 한반도 위기가 고조되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이 12일 전화통화로 북한 문제를 집중 논의했다.
두 정상은 이날 전화통화에서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안정 실현을 위한 공동 노력의 필요성에 동의하면서도 해법에 대해선 시각차를 드러냈다.
중국 관영 CCTV에 따르면 시진핑(習近平) 국가 주석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중국과 미국이 한반도 비핵화 실현과 한반도 평화 안정을 실현하는데 공동이익이 있다. 유관 측이 자제를 유지해야 하고 한반도 정세 긴장을 고조시키는 언행을 피해야 한다"고 밝혔다.
시 주석은 그러면서 "한반도 핵 문제 해결은 결국 대화와 담판이라는 정확한 해결의 큰 방향을 견지해야 한다는 것"이라면서 "중국은 상호 존중 기초 아래 미국 측과 소통 유지하고 한반도 핵 문제의 적절한 처리를 함께 추진하길 원한다"고 말했다.
근래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을 겨냥해 '군사 옵션'도 거론하면서 압박 수위를 최고조로 끌어올리고 있는 상황에서 시 주석이 '대화'를 강조한 것이었다.
이에 비해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도발행위 중단에 방점을 찍었다.
백악관은 미중 정상 간 통화 직후 발표한 성명을 통해 "북한이 도발적이고, (긴장을) 고조하는 행위를 중단해야 한다는 데 두 정상이 동의했다"고 밝혔다.
백악관은 대화를 강조한 시 주석의 발언은 전하지 않은 채 "두 정상이 한반도의 비핵화를 위한 공동의 노력을 거듭 강조했다"고만 언급했다.
앞서 미중 정상은 독일 함부르크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앞두고 한 지난달 3일 전화통화에서도 한반도 비핵화 약속을 재확인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측이 한반도 핵 문제에 있어 발휘한 역할을 충분히 이해하고 미국 측은 중국 측과 함께 공동 관심의 중대한 국제 및 지역 문제에 대해 계속해서 긴밀한 소통을 유지하길 원한다"고 말했다고 CCTV는 전했다.
두 정상은 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결의안 채택에 대해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달성하기 위한 중요하고 필요한 조치"라고 평가했다고 백악관은 전했다.
두 정상은 이날 전화통화에서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안정 실현을 위한 공동 노력의 필요성에 동의하면서도 해법에 대해선 시각차를 드러냈다.
중국 관영 CCTV에 따르면 시진핑(習近平) 국가 주석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중국과 미국이 한반도 비핵화 실현과 한반도 평화 안정을 실현하는데 공동이익이 있다. 유관 측이 자제를 유지해야 하고 한반도 정세 긴장을 고조시키는 언행을 피해야 한다"고 밝혔다.
시 주석은 그러면서 "한반도 핵 문제 해결은 결국 대화와 담판이라는 정확한 해결의 큰 방향을 견지해야 한다는 것"이라면서 "중국은 상호 존중 기초 아래 미국 측과 소통 유지하고 한반도 핵 문제의 적절한 처리를 함께 추진하길 원한다"고 말했다.
근래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을 겨냥해 '군사 옵션'도 거론하면서 압박 수위를 최고조로 끌어올리고 있는 상황에서 시 주석이 '대화'를 강조한 것이었다.
이에 비해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도발행위 중단에 방점을 찍었다.
백악관은 미중 정상 간 통화 직후 발표한 성명을 통해 "북한이 도발적이고, (긴장을) 고조하는 행위를 중단해야 한다는 데 두 정상이 동의했다"고 밝혔다.
백악관은 대화를 강조한 시 주석의 발언은 전하지 않은 채 "두 정상이 한반도의 비핵화를 위한 공동의 노력을 거듭 강조했다"고만 언급했다.
앞서 미중 정상은 독일 함부르크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앞두고 한 지난달 3일 전화통화에서도 한반도 비핵화 약속을 재확인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측이 한반도 핵 문제에 있어 발휘한 역할을 충분히 이해하고 미국 측은 중국 측과 함께 공동 관심의 중대한 국제 및 지역 문제에 대해 계속해서 긴밀한 소통을 유지하길 원한다"고 말했다고 CCTV는 전했다.
두 정상은 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결의안 채택에 대해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달성하기 위한 중요하고 필요한 조치"라고 평가했다고 백악관은 전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트럼프·시진핑 통화…‘北 도발중단 우선 vs 대화해야’ 온도차
-
- 입력 2017-08-12 17:35:46
- 수정2017-08-12 17:36:15

미국과 북한이 '말폭탄 전(戰)'으로 치달으면서 한반도 위기가 고조되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이 12일 전화통화로 북한 문제를 집중 논의했다.
두 정상은 이날 전화통화에서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안정 실현을 위한 공동 노력의 필요성에 동의하면서도 해법에 대해선 시각차를 드러냈다.
중국 관영 CCTV에 따르면 시진핑(習近平) 국가 주석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중국과 미국이 한반도 비핵화 실현과 한반도 평화 안정을 실현하는데 공동이익이 있다. 유관 측이 자제를 유지해야 하고 한반도 정세 긴장을 고조시키는 언행을 피해야 한다"고 밝혔다.
시 주석은 그러면서 "한반도 핵 문제 해결은 결국 대화와 담판이라는 정확한 해결의 큰 방향을 견지해야 한다는 것"이라면서 "중국은 상호 존중 기초 아래 미국 측과 소통 유지하고 한반도 핵 문제의 적절한 처리를 함께 추진하길 원한다"고 말했다.
근래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을 겨냥해 '군사 옵션'도 거론하면서 압박 수위를 최고조로 끌어올리고 있는 상황에서 시 주석이 '대화'를 강조한 것이었다.
이에 비해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도발행위 중단에 방점을 찍었다.
백악관은 미중 정상 간 통화 직후 발표한 성명을 통해 "북한이 도발적이고, (긴장을) 고조하는 행위를 중단해야 한다는 데 두 정상이 동의했다"고 밝혔다.
백악관은 대화를 강조한 시 주석의 발언은 전하지 않은 채 "두 정상이 한반도의 비핵화를 위한 공동의 노력을 거듭 강조했다"고만 언급했다.
앞서 미중 정상은 독일 함부르크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앞두고 한 지난달 3일 전화통화에서도 한반도 비핵화 약속을 재확인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측이 한반도 핵 문제에 있어 발휘한 역할을 충분히 이해하고 미국 측은 중국 측과 함께 공동 관심의 중대한 국제 및 지역 문제에 대해 계속해서 긴밀한 소통을 유지하길 원한다"고 말했다고 CCTV는 전했다.
두 정상은 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결의안 채택에 대해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달성하기 위한 중요하고 필요한 조치"라고 평가했다고 백악관은 전했다.
두 정상은 이날 전화통화에서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안정 실현을 위한 공동 노력의 필요성에 동의하면서도 해법에 대해선 시각차를 드러냈다.
중국 관영 CCTV에 따르면 시진핑(習近平) 국가 주석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중국과 미국이 한반도 비핵화 실현과 한반도 평화 안정을 실현하는데 공동이익이 있다. 유관 측이 자제를 유지해야 하고 한반도 정세 긴장을 고조시키는 언행을 피해야 한다"고 밝혔다.
시 주석은 그러면서 "한반도 핵 문제 해결은 결국 대화와 담판이라는 정확한 해결의 큰 방향을 견지해야 한다는 것"이라면서 "중국은 상호 존중 기초 아래 미국 측과 소통 유지하고 한반도 핵 문제의 적절한 처리를 함께 추진하길 원한다"고 말했다.
근래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을 겨냥해 '군사 옵션'도 거론하면서 압박 수위를 최고조로 끌어올리고 있는 상황에서 시 주석이 '대화'를 강조한 것이었다.
이에 비해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도발행위 중단에 방점을 찍었다.
백악관은 미중 정상 간 통화 직후 발표한 성명을 통해 "북한이 도발적이고, (긴장을) 고조하는 행위를 중단해야 한다는 데 두 정상이 동의했다"고 밝혔다.
백악관은 대화를 강조한 시 주석의 발언은 전하지 않은 채 "두 정상이 한반도의 비핵화를 위한 공동의 노력을 거듭 강조했다"고만 언급했다.
앞서 미중 정상은 독일 함부르크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앞두고 한 지난달 3일 전화통화에서도 한반도 비핵화 약속을 재확인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측이 한반도 핵 문제에 있어 발휘한 역할을 충분히 이해하고 미국 측은 중국 측과 함께 공동 관심의 중대한 국제 및 지역 문제에 대해 계속해서 긴밀한 소통을 유지하길 원한다"고 말했다고 CCTV는 전했다.
두 정상은 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결의안 채택에 대해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달성하기 위한 중요하고 필요한 조치"라고 평가했다고 백악관은 전했다.
-
-
김진화 기자 evolution@kbs.co.kr
김진화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