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각코드도 없는 ‘저질 달걀’ 유통
입력 2017.08.23 (06:10)
수정 2017.08.23 (06:2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달걀의 유통관리가 들여다 볼수록 허점투성입니다.
품질이 낮아 일반 소비자들이 찾지 않는 달걀이 난각 코드도 없이 음식점 등에 유통되고 있습니다.
엄기숙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한 달걀 직판장에 쌓여있는 달걀.
껍데기가 울퉁불퉁하고 오물도 묻어 있습니다.
껍데기가 약하거나, 오염되는 등 품질이 낮아 통칭 '오란' 이라 부르는 저질 달걀입니다.
어디서 누가 생산한 달걀인지 알려주는 난각 코드도 찍혀 있지 않습니다.
<녹취> 달걀 판매업자(음성변조) : "닭이 노계니까 이게 계란이 (오란이 많아요.) 올해는 워낙 (달걀이) 비싸다 보니까 병아리도 없고."
전통시장의 한 음식점.
역시 난각코드도 없는 오란을 씁니다.
<녹취> 식당 주인(음성변조) : "선별할 때 빼서 세척 안하고 그냥 유통시키는 거에요. 아는 사람들이...식당에서 빵집에서 (많이 써요.)"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이후 달걀 가격이 급등하자 찾는 곳이 더 많아졌습니다.
이렇게 난각코드가 찍혀있지 않은 일명, 오란의 경우 30개들이 한판에 5천원에 거래돼 정상란의 절반 가격입니다.
이런 달걀은 세척 과정을 제대로 거치지 않는 경우가 많은 데다, 껍데기가 얇다 보니 유통 중 파손돼 변질될 우려도 큽니다.
난각코드가 없으니 생산자가 누구인지, 언제 생산된건 지 알 길이 없습니다.
<녹취> 식품의약품안전처 관계자 : "(난각 코드) 표시 자체가 안 돼 있으면 유통되는 달걀 자체는 문제가 있는 것이긴 하거든요."
현재 우리나라에서 유통되는 달걀 가운데 20% 이상이 이같은 저질 달걀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엄기숙입니다.
달걀의 유통관리가 들여다 볼수록 허점투성입니다.
품질이 낮아 일반 소비자들이 찾지 않는 달걀이 난각 코드도 없이 음식점 등에 유통되고 있습니다.
엄기숙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한 달걀 직판장에 쌓여있는 달걀.
껍데기가 울퉁불퉁하고 오물도 묻어 있습니다.
껍데기가 약하거나, 오염되는 등 품질이 낮아 통칭 '오란' 이라 부르는 저질 달걀입니다.
어디서 누가 생산한 달걀인지 알려주는 난각 코드도 찍혀 있지 않습니다.
<녹취> 달걀 판매업자(음성변조) : "닭이 노계니까 이게 계란이 (오란이 많아요.) 올해는 워낙 (달걀이) 비싸다 보니까 병아리도 없고."
전통시장의 한 음식점.
역시 난각코드도 없는 오란을 씁니다.
<녹취> 식당 주인(음성변조) : "선별할 때 빼서 세척 안하고 그냥 유통시키는 거에요. 아는 사람들이...식당에서 빵집에서 (많이 써요.)"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이후 달걀 가격이 급등하자 찾는 곳이 더 많아졌습니다.
이렇게 난각코드가 찍혀있지 않은 일명, 오란의 경우 30개들이 한판에 5천원에 거래돼 정상란의 절반 가격입니다.
이런 달걀은 세척 과정을 제대로 거치지 않는 경우가 많은 데다, 껍데기가 얇다 보니 유통 중 파손돼 변질될 우려도 큽니다.
난각코드가 없으니 생산자가 누구인지, 언제 생산된건 지 알 길이 없습니다.
<녹취> 식품의약품안전처 관계자 : "(난각 코드) 표시 자체가 안 돼 있으면 유통되는 달걀 자체는 문제가 있는 것이긴 하거든요."
현재 우리나라에서 유통되는 달걀 가운데 20% 이상이 이같은 저질 달걀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엄기숙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난각코드도 없는 ‘저질 달걀’ 유통
-
- 입력 2017-08-23 06:12:17
- 수정2017-08-23 06:23:14
<앵커 멘트>
달걀의 유통관리가 들여다 볼수록 허점투성입니다.
품질이 낮아 일반 소비자들이 찾지 않는 달걀이 난각 코드도 없이 음식점 등에 유통되고 있습니다.
엄기숙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한 달걀 직판장에 쌓여있는 달걀.
껍데기가 울퉁불퉁하고 오물도 묻어 있습니다.
껍데기가 약하거나, 오염되는 등 품질이 낮아 통칭 '오란' 이라 부르는 저질 달걀입니다.
어디서 누가 생산한 달걀인지 알려주는 난각 코드도 찍혀 있지 않습니다.
<녹취> 달걀 판매업자(음성변조) : "닭이 노계니까 이게 계란이 (오란이 많아요.) 올해는 워낙 (달걀이) 비싸다 보니까 병아리도 없고."
전통시장의 한 음식점.
역시 난각코드도 없는 오란을 씁니다.
<녹취> 식당 주인(음성변조) : "선별할 때 빼서 세척 안하고 그냥 유통시키는 거에요. 아는 사람들이...식당에서 빵집에서 (많이 써요.)"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이후 달걀 가격이 급등하자 찾는 곳이 더 많아졌습니다.
이렇게 난각코드가 찍혀있지 않은 일명, 오란의 경우 30개들이 한판에 5천원에 거래돼 정상란의 절반 가격입니다.
이런 달걀은 세척 과정을 제대로 거치지 않는 경우가 많은 데다, 껍데기가 얇다 보니 유통 중 파손돼 변질될 우려도 큽니다.
난각코드가 없으니 생산자가 누구인지, 언제 생산된건 지 알 길이 없습니다.
<녹취> 식품의약품안전처 관계자 : "(난각 코드) 표시 자체가 안 돼 있으면 유통되는 달걀 자체는 문제가 있는 것이긴 하거든요."
현재 우리나라에서 유통되는 달걀 가운데 20% 이상이 이같은 저질 달걀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엄기숙입니다.
달걀의 유통관리가 들여다 볼수록 허점투성입니다.
품질이 낮아 일반 소비자들이 찾지 않는 달걀이 난각 코드도 없이 음식점 등에 유통되고 있습니다.
엄기숙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한 달걀 직판장에 쌓여있는 달걀.
껍데기가 울퉁불퉁하고 오물도 묻어 있습니다.
껍데기가 약하거나, 오염되는 등 품질이 낮아 통칭 '오란' 이라 부르는 저질 달걀입니다.
어디서 누가 생산한 달걀인지 알려주는 난각 코드도 찍혀 있지 않습니다.
<녹취> 달걀 판매업자(음성변조) : "닭이 노계니까 이게 계란이 (오란이 많아요.) 올해는 워낙 (달걀이) 비싸다 보니까 병아리도 없고."
전통시장의 한 음식점.
역시 난각코드도 없는 오란을 씁니다.
<녹취> 식당 주인(음성변조) : "선별할 때 빼서 세척 안하고 그냥 유통시키는 거에요. 아는 사람들이...식당에서 빵집에서 (많이 써요.)"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이후 달걀 가격이 급등하자 찾는 곳이 더 많아졌습니다.
이렇게 난각코드가 찍혀있지 않은 일명, 오란의 경우 30개들이 한판에 5천원에 거래돼 정상란의 절반 가격입니다.
이런 달걀은 세척 과정을 제대로 거치지 않는 경우가 많은 데다, 껍데기가 얇다 보니 유통 중 파손돼 변질될 우려도 큽니다.
난각코드가 없으니 생산자가 누구인지, 언제 생산된건 지 알 길이 없습니다.
<녹취> 식품의약품안전처 관계자 : "(난각 코드) 표시 자체가 안 돼 있으면 유통되는 달걀 자체는 문제가 있는 것이긴 하거든요."
현재 우리나라에서 유통되는 달걀 가운데 20% 이상이 이같은 저질 달걀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엄기숙입니다.
-
-
엄기숙 기자 hotpencil@kbs.co.kr
엄기숙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