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롱·메르켈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평화협정 준수하라”

입력 2017.08.29 (05:43) 수정 2017.08.29 (05: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랑스와 독일 정상이 28일(현지시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 평화협정을 준수하라고 강한 어조로 촉구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이날 엘리제 궁에서 정상회담을 한 뒤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 "상황에 주목할 만한 진전이 없다"면서 재차 민스크 평화협정의 완전한 준수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 재차 요구했다.

이들은 "지난주 4자 회담에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측의 평화협정 준수 합의가 있었음에도 협정 위반 행위가 끊임없이 계속되고 있다"면서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마크롱과 메르켈은 또한 "우리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정상들에게 휴전 약속을 완전하고 투명한 방식으로 이행할 것을 요구한다"면서 "현지의 병력에도 적절한 지침이 내려져야 한다는 점도 재차 요구한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22일 프랑스·독일·러시아·우크라이나 정상은 '노르망디 형식 회담'으로 불리는 4개국 전화 회담을 열어 우크라이나 사태의 해법을 논의한 바 있다.

네 나라는 특히 2015년 2월 벨라루스 수도 민스크에서 평화협정을 채택하고, 우크라이나 정부군과 러시아를 등에 업은 분리주의 반군 간의 교전 중단, 크림반도의 자치권 보장을 위한 조치 이행 등의 분쟁해결 방안에 합의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정부군과 반군 간 교전이 산발적으로 이어지면서 민스크 평화협정은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다.

러시아가 2014년 3월 우크라이나에 속했던 크림반도를 강제 병합하고 우크라이나 내전에 개입해 동부 지역의 분리주의 반군을 지원하자 미국과 유럽연합(EU)은 러시아에 각종 제재를 가해왔다.

우크라이나 동부에서는 러시아를 등에 업은 반군과 정부군 간 교전으로 2014년 이후 1만 명 이상이 숨진 것으로 집계됐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마크롱·메르켈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평화협정 준수하라”
    • 입력 2017-08-29 05:43:16
    • 수정2017-08-29 05:54:34
    국제
프랑스와 독일 정상이 28일(현지시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 평화협정을 준수하라고 강한 어조로 촉구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이날 엘리제 궁에서 정상회담을 한 뒤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 "상황에 주목할 만한 진전이 없다"면서 재차 민스크 평화협정의 완전한 준수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 재차 요구했다.

이들은 "지난주 4자 회담에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측의 평화협정 준수 합의가 있었음에도 협정 위반 행위가 끊임없이 계속되고 있다"면서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마크롱과 메르켈은 또한 "우리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정상들에게 휴전 약속을 완전하고 투명한 방식으로 이행할 것을 요구한다"면서 "현지의 병력에도 적절한 지침이 내려져야 한다는 점도 재차 요구한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22일 프랑스·독일·러시아·우크라이나 정상은 '노르망디 형식 회담'으로 불리는 4개국 전화 회담을 열어 우크라이나 사태의 해법을 논의한 바 있다.

네 나라는 특히 2015년 2월 벨라루스 수도 민스크에서 평화협정을 채택하고, 우크라이나 정부군과 러시아를 등에 업은 분리주의 반군 간의 교전 중단, 크림반도의 자치권 보장을 위한 조치 이행 등의 분쟁해결 방안에 합의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정부군과 반군 간 교전이 산발적으로 이어지면서 민스크 평화협정은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다.

러시아가 2014년 3월 우크라이나에 속했던 크림반도를 강제 병합하고 우크라이나 내전에 개입해 동부 지역의 분리주의 반군을 지원하자 미국과 유럽연합(EU)은 러시아에 각종 제재를 가해왔다.

우크라이나 동부에서는 러시아를 등에 업은 반군과 정부군 간 교전으로 2014년 이후 1만 명 이상이 숨진 것으로 집계됐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