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발전소 오염물질 배출 2030년까지 절반 감축”

입력 2017.08.29 (16:32) 수정 2017.08.29 (16: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안전하고 깨끗한 미래에너지 전환을 위해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오는 2030년까지 지금의 50% 수준으로 감축하겠다고 밝혔다.

백운규 산업부 장관은 29일(오늘) 세종컨벤션센터에서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열린 '핵심정책토의'에서 산업부의 에너지와 통상 정책을 보고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우선 산업부는 에너지 부문에서 '안전하고 깨끗한 미래에너지'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기존의 수급 안정·저렴한 에너지 공급 중심의 에너지정책 방향을 국민안전·쾌적한 환경 위주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바꾸겠다는 것이다. 단계적으로 원전 감축을 추진하기로 했다. 노후원전 수명연장을 금지하고, 신규원전 건설을 백지화할 방침이다.

산업부는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 사항인 '2030년 신재생에너지 전력 생산 비중 20%'를 달성하기 위한 세부 플랜도 제시했다.

노후 석탄발전 7기 조기 폐지와 환경설비 개선을 통해 오염물질 배출량을 2030년까지 지금의 50% 수준으로 감축할 계획이다. 신규 석탄발전소 건설은 중단하고 이미 건설 중인 석탄발전소는 청정 액화천연가스(LNG)발전소로 전환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미래에너지 전환을 통해 2022년까지 7만7천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계획도 보고했다. 신재생에너지 보급(4만6천명), 원전해체산업(3천500명), 에너지신산업(2만8천명) 등에서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내다봤다.

아울러, 2022년까지 2만5천개의 내수 중소·중견기업을 수출기업화하고, 농어업경쟁력 향상을 위한 지원도 강화하기로 했다.

무역 분야도 양적 확대 전략에서 벗어나 여러 계층의 이익을 포용하는 '신 통상정책'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이 개정 요구를 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과 관련해서는 미국 업계·의회·주정부 등을 대상으로 상호 호혜성을 적극 홍보할 방침이다.

중국의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 보복'에 대해서는 양국 경제관계가 정상화될 수 있도록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무역보험·관광기금 지원 등을 통해 사드 피해 기업 지원도 강화할 방침이다.

아울러 산업부는 아세안·인도·유라시아 등 거대 신흥시장과 전략적 경제협력을 다져나가기로 했다. 현재 정부는 한·인도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 개선, 한·아세안 FTA 추가 자유화, 한·유라시아경제연합(EAEU) FTA 등을 추진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산업부 “발전소 오염물질 배출 2030년까지 절반 감축”
    • 입력 2017-08-29 16:32:14
    • 수정2017-08-29 16:55:59
    경제
산업통상자원부는 안전하고 깨끗한 미래에너지 전환을 위해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오는 2030년까지 지금의 50% 수준으로 감축하겠다고 밝혔다.

백운규 산업부 장관은 29일(오늘) 세종컨벤션센터에서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열린 '핵심정책토의'에서 산업부의 에너지와 통상 정책을 보고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우선 산업부는 에너지 부문에서 '안전하고 깨끗한 미래에너지'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기존의 수급 안정·저렴한 에너지 공급 중심의 에너지정책 방향을 국민안전·쾌적한 환경 위주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바꾸겠다는 것이다. 단계적으로 원전 감축을 추진하기로 했다. 노후원전 수명연장을 금지하고, 신규원전 건설을 백지화할 방침이다.

산업부는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 사항인 '2030년 신재생에너지 전력 생산 비중 20%'를 달성하기 위한 세부 플랜도 제시했다.

노후 석탄발전 7기 조기 폐지와 환경설비 개선을 통해 오염물질 배출량을 2030년까지 지금의 50% 수준으로 감축할 계획이다. 신규 석탄발전소 건설은 중단하고 이미 건설 중인 석탄발전소는 청정 액화천연가스(LNG)발전소로 전환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미래에너지 전환을 통해 2022년까지 7만7천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계획도 보고했다. 신재생에너지 보급(4만6천명), 원전해체산업(3천500명), 에너지신산업(2만8천명) 등에서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내다봤다.

아울러, 2022년까지 2만5천개의 내수 중소·중견기업을 수출기업화하고, 농어업경쟁력 향상을 위한 지원도 강화하기로 했다.

무역 분야도 양적 확대 전략에서 벗어나 여러 계층의 이익을 포용하는 '신 통상정책'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이 개정 요구를 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과 관련해서는 미국 업계·의회·주정부 등을 대상으로 상호 호혜성을 적극 홍보할 방침이다.

중국의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 보복'에 대해서는 양국 경제관계가 정상화될 수 있도록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무역보험·관광기금 지원 등을 통해 사드 피해 기업 지원도 강화할 방침이다.

아울러 산업부는 아세안·인도·유라시아 등 거대 신흥시장과 전략적 경제협력을 다져나가기로 했다. 현재 정부는 한·인도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 개선, 한·아세안 FTA 추가 자유화, 한·유라시아경제연합(EAEU) FTA 등을 추진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