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한일 정상 “중·러 대북 제재 동참 설득”
입력 2017.09.08 (07:03) 수정 2017.09.08 (09:05) 뉴스광장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멘트>
러시아를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이 아베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중국과 러시아가 강력한 대북 제재에 동참하도록 최대한 설득하기로 했습니다.
한일 간 민감한 과거사 문제는 안보 상황을 고려해 당분간 쟁점화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블라디보스톡에서 정아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러시아 방문 이틀째인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후 두 번째로 아베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50분 동안 진행된 회담에서 두 나라 정상은 대북 원유 공급 중단 등 더 강한 유엔 안보리 제재 결의에 중국, 러시아가 동참하도록 최대한 설득하자고 뜻을 모았습니다.
<녹취> 문재인 대통령 : "일본 국민들께 위로 말씀을 전합니다. 그런 만큼 한국과 일본 양국의 긴밀한 공조가 더욱더 절실해졌다고 생각합니다."
위안부, 강제징용 등 민감한 과거사 문제는 한반도 안보 상황을 감안해 가능한 쟁점이 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관리하기로 했습니다.
<녹취> 아베(일본 총리) : "여러 가지 분야에 있어서 미래지향적으로 새로운 일한 관계를 구축해나갔으면 좋겠습니다."
문 대통령은 동방경제포럼 기조연설에서, 극동 개발이 성공하면 북한도 참여를 원하게 될 거라며 북핵 해결의 근원적 해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러시아의 유라시아 경제협력 구상을 위해서도 북핵 문제가 해결되야 한다며 대북 제제에 대한 지지를 거듭 요청했습니다.
<녹취> 문재인 대통령 : "(북핵 문제는) 극동 발전을 위한 러시아의 입장에서도 반드시 풀어야 할 숙제입니다."
문 대통령은 향후 남북러 3각 협력을 위해 북한 변화를 이끌 마중물이 될 한러 간 협력부터 우선 강화하자고 제안습니다.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에서 KBS 뉴스 정아연입니다.
러시아를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이 아베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중국과 러시아가 강력한 대북 제재에 동참하도록 최대한 설득하기로 했습니다.
한일 간 민감한 과거사 문제는 안보 상황을 고려해 당분간 쟁점화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블라디보스톡에서 정아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러시아 방문 이틀째인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후 두 번째로 아베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50분 동안 진행된 회담에서 두 나라 정상은 대북 원유 공급 중단 등 더 강한 유엔 안보리 제재 결의에 중국, 러시아가 동참하도록 최대한 설득하자고 뜻을 모았습니다.
<녹취> 문재인 대통령 : "일본 국민들께 위로 말씀을 전합니다. 그런 만큼 한국과 일본 양국의 긴밀한 공조가 더욱더 절실해졌다고 생각합니다."
위안부, 강제징용 등 민감한 과거사 문제는 한반도 안보 상황을 감안해 가능한 쟁점이 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관리하기로 했습니다.
<녹취> 아베(일본 총리) : "여러 가지 분야에 있어서 미래지향적으로 새로운 일한 관계를 구축해나갔으면 좋겠습니다."
문 대통령은 동방경제포럼 기조연설에서, 극동 개발이 성공하면 북한도 참여를 원하게 될 거라며 북핵 해결의 근원적 해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러시아의 유라시아 경제협력 구상을 위해서도 북핵 문제가 해결되야 한다며 대북 제제에 대한 지지를 거듭 요청했습니다.
<녹취> 문재인 대통령 : "(북핵 문제는) 극동 발전을 위한 러시아의 입장에서도 반드시 풀어야 할 숙제입니다."
문 대통령은 향후 남북러 3각 협력을 위해 북한 변화를 이끌 마중물이 될 한러 간 협력부터 우선 강화하자고 제안습니다.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에서 KBS 뉴스 정아연입니다.
- 한일 정상 “중·러 대북 제재 동참 설득”
-
- 입력 2017-09-08 07:10:05
- 수정2017-09-08 09:05:27

<앵커 멘트>
러시아를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이 아베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중국과 러시아가 강력한 대북 제재에 동참하도록 최대한 설득하기로 했습니다.
한일 간 민감한 과거사 문제는 안보 상황을 고려해 당분간 쟁점화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블라디보스톡에서 정아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러시아 방문 이틀째인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후 두 번째로 아베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50분 동안 진행된 회담에서 두 나라 정상은 대북 원유 공급 중단 등 더 강한 유엔 안보리 제재 결의에 중국, 러시아가 동참하도록 최대한 설득하자고 뜻을 모았습니다.
<녹취> 문재인 대통령 : "일본 국민들께 위로 말씀을 전합니다. 그런 만큼 한국과 일본 양국의 긴밀한 공조가 더욱더 절실해졌다고 생각합니다."
위안부, 강제징용 등 민감한 과거사 문제는 한반도 안보 상황을 감안해 가능한 쟁점이 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관리하기로 했습니다.
<녹취> 아베(일본 총리) : "여러 가지 분야에 있어서 미래지향적으로 새로운 일한 관계를 구축해나갔으면 좋겠습니다."
문 대통령은 동방경제포럼 기조연설에서, 극동 개발이 성공하면 북한도 참여를 원하게 될 거라며 북핵 해결의 근원적 해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러시아의 유라시아 경제협력 구상을 위해서도 북핵 문제가 해결되야 한다며 대북 제제에 대한 지지를 거듭 요청했습니다.
<녹취> 문재인 대통령 : "(북핵 문제는) 극동 발전을 위한 러시아의 입장에서도 반드시 풀어야 할 숙제입니다."
문 대통령은 향후 남북러 3각 협력을 위해 북한 변화를 이끌 마중물이 될 한러 간 협력부터 우선 강화하자고 제안습니다.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에서 KBS 뉴스 정아연입니다.
러시아를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이 아베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중국과 러시아가 강력한 대북 제재에 동참하도록 최대한 설득하기로 했습니다.
한일 간 민감한 과거사 문제는 안보 상황을 고려해 당분간 쟁점화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블라디보스톡에서 정아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러시아 방문 이틀째인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후 두 번째로 아베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50분 동안 진행된 회담에서 두 나라 정상은 대북 원유 공급 중단 등 더 강한 유엔 안보리 제재 결의에 중국, 러시아가 동참하도록 최대한 설득하자고 뜻을 모았습니다.
<녹취> 문재인 대통령 : "일본 국민들께 위로 말씀을 전합니다. 그런 만큼 한국과 일본 양국의 긴밀한 공조가 더욱더 절실해졌다고 생각합니다."
위안부, 강제징용 등 민감한 과거사 문제는 한반도 안보 상황을 감안해 가능한 쟁점이 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관리하기로 했습니다.
<녹취> 아베(일본 총리) : "여러 가지 분야에 있어서 미래지향적으로 새로운 일한 관계를 구축해나갔으면 좋겠습니다."
문 대통령은 동방경제포럼 기조연설에서, 극동 개발이 성공하면 북한도 참여를 원하게 될 거라며 북핵 해결의 근원적 해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러시아의 유라시아 경제협력 구상을 위해서도 북핵 문제가 해결되야 한다며 대북 제제에 대한 지지를 거듭 요청했습니다.
<녹취> 문재인 대통령 : "(북핵 문제는) 극동 발전을 위한 러시아의 입장에서도 반드시 풀어야 할 숙제입니다."
문 대통령은 향후 남북러 3각 협력을 위해 북한 변화를 이끌 마중물이 될 한러 간 협력부터 우선 강화하자고 제안습니다.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에서 KBS 뉴스 정아연입니다.
뉴스광장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정아연 기자 niche@kbs.co.kr
정아연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