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찮은 ‘불의 고리’…한반도 영향은?

입력 2017.09.22 (06:21) 수정 2017.09.22 (06: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이번 멕시코 지진은 전 세계 지진의 90% 집중돼 이른바, '불의 고리'로 불리는 환태평양 조산대에서 발생했습니다.

2000년대 들어 이 '불의 고리'에서 대규모 지진이 잇따르면서, 한반도 지각판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송영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번 멕시코 지진 직후 일본과 뉴질랜드, 타이완 등지에서도 다발적으로 지진이 일어났습니다.

지난 4월 이후 지진 분포를 보면 최근 '불의 고리'가 얼마나 더 자주 흔들렸는지 알 수 있습니다.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대지진과 동일본 대지진도 '불의 고리'에서 발생했습니다.

'불의 고리'의 초대형 지진은 2000년대 이후, 도미노처럼 이어지고 있습니다.

<녹취> 홍태경(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 "이런 초대형 지진들이 사실 시기적으로 굉장히 집중적으로 발생을 해요. 1970년대, 80년대, 90년대에 없다가 (2004년) 수마트라 대지진부터 계속 발생하고 있는 거거든요."

한반도는 '불의 고리'에서 살짝 비껴 있지만, 일본의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

문제는, 일본 상황도 심상치 않다는 겁니다.

도쿄 지반이 꺼지는 '직하 지진'이 30년 안에 발생할 수 있다는 충격적인 연구결과가 나온 이후에도 규모 5.0 이상 지진이 수없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녹취> 아베 가쓰유키(도쿄대 지진연구소 명예교수) : "규모 7의 직하 지진은 (일본) 어느 곳에서나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내진설계 추진이 중요합니다."

동일본 대지진 이후, 한반도 지진 역시 눈에 띄게 잦아졌습니다.

특히, 지난 40년 동안 가장 강력했던 지진 13개 가운데 9개가 2000년대에 집중돼 언제 어디든 대규모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습니다.

<녹취> 홍태경(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 "앞으로 한 100년 후에 발생할 규모 7 지진이 갑자기 10년 후나 1년 후에 발생할 수 있는 환경으로 바뀌었을 수도 있다고 생각하는 거예요."

전문가들은 '불의 고리'의 불안정한 지각 상태가 앞으로 최소 20년 정도는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송영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심상찮은 ‘불의 고리’…한반도 영향은?
    • 입력 2017-09-22 06:22:40
    • 수정2017-09-22 06:28:43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이번 멕시코 지진은 전 세계 지진의 90% 집중돼 이른바, '불의 고리'로 불리는 환태평양 조산대에서 발생했습니다.

2000년대 들어 이 '불의 고리'에서 대규모 지진이 잇따르면서, 한반도 지각판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송영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번 멕시코 지진 직후 일본과 뉴질랜드, 타이완 등지에서도 다발적으로 지진이 일어났습니다.

지난 4월 이후 지진 분포를 보면 최근 '불의 고리'가 얼마나 더 자주 흔들렸는지 알 수 있습니다.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대지진과 동일본 대지진도 '불의 고리'에서 발생했습니다.

'불의 고리'의 초대형 지진은 2000년대 이후, 도미노처럼 이어지고 있습니다.

<녹취> 홍태경(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 "이런 초대형 지진들이 사실 시기적으로 굉장히 집중적으로 발생을 해요. 1970년대, 80년대, 90년대에 없다가 (2004년) 수마트라 대지진부터 계속 발생하고 있는 거거든요."

한반도는 '불의 고리'에서 살짝 비껴 있지만, 일본의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

문제는, 일본 상황도 심상치 않다는 겁니다.

도쿄 지반이 꺼지는 '직하 지진'이 30년 안에 발생할 수 있다는 충격적인 연구결과가 나온 이후에도 규모 5.0 이상 지진이 수없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녹취> 아베 가쓰유키(도쿄대 지진연구소 명예교수) : "규모 7의 직하 지진은 (일본) 어느 곳에서나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내진설계 추진이 중요합니다."

동일본 대지진 이후, 한반도 지진 역시 눈에 띄게 잦아졌습니다.

특히, 지난 40년 동안 가장 강력했던 지진 13개 가운데 9개가 2000년대에 집중돼 언제 어디든 대규모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습니다.

<녹취> 홍태경(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 "앞으로 한 100년 후에 발생할 규모 7 지진이 갑자기 10년 후나 1년 후에 발생할 수 있는 환경으로 바뀌었을 수도 있다고 생각하는 거예요."

전문가들은 '불의 고리'의 불안정한 지각 상태가 앞으로 최소 20년 정도는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송영석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