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해설] ‘초당적 협치’ 국정 전반으로

입력 2017.09.29 (07:43) 수정 2017.09.29 (08: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일상 해설위원]

대통령과 여야 대표들이 안보 위기에 초당적 대처를 강조하며 5개 항의 공동합의문을 채택하고 후속 대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자유한국당이 빠졌지만 대통령과 여야 정당 대표가 공동발표문을 채택한 것은 2년 6개월 만입니다. 안보 문제 해결을 위한 회동과 합의문 채택이 국정 전반에 걸친 협치로 확산될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북핵 위기로 촉발된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감이 높아진 상황에서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가 '안보 협치'의 모습을 보여 준 것은 늦은 감이 있지만 국민들의 불안감 해소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동안 돌파구를 찾지 못하던 여야정 국정상설협의체를 조속히 구성한다는 데 의견을 모은 것도 소통과 타협을 위한 기초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제재와 대화라는 투트랙으로 진행되는 정부의 북한 핵과 미사일 해법에 대해 야당의 이해와 협조를 당부했습니다. 특히 북한과 미국의 강대강 대치로 한반도가 전쟁 위기로 치닫는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필요성도 강조했습니다. 야당 대표들은 외교안보 라인의 혼선과 대북 정책의 엇박자 등에 대한 개선을 요구하고 전술핵 재배치 필요성 등에 대한 주문을 내놨습니다. 문재인 정부의 선심성 정책과 인사 혼선 문제 등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을 촉구하기도 했습니다. 대부분 귀담아듣고 검토해야 할 사안들이라는 데 큰 이견은 없어 보입니다. 그러나 안보 정당을 자처하는 제1야당 대표가 절차와 형식 등을 이유로 불참해 사실상 반쪽 회동에 그친 점은 아쉬운 점이자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이기도 합니다. 체면에 얽매인 듯한 홍준표 대표의 처신도 책임감을 잃었다는 지적을 받고 있지만 청와대가 불참의 빌미를 준 것은 없는지,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점은 없는지도 되돌아 봐야 할 부분입니다.

극한의 안보 위기 속에서도 우리 정치권은 대립과 혼란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사드 보복을 비롯해 경제 사회 등 모든 분야에 엉킨 매듭들이 산적해 있습니다.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가 수시로 소통하면서 실마리와 공통분모를 찾아 나가야 합니다. 협치는 말이 아니라 실천이 중요합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스해설] ‘초당적 협치’ 국정 전반으로
    • 입력 2017-09-29 08:09:09
    • 수정2017-09-29 08:45:17
    뉴스광장
[감일상 해설위원]

대통령과 여야 대표들이 안보 위기에 초당적 대처를 강조하며 5개 항의 공동합의문을 채택하고 후속 대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자유한국당이 빠졌지만 대통령과 여야 정당 대표가 공동발표문을 채택한 것은 2년 6개월 만입니다. 안보 문제 해결을 위한 회동과 합의문 채택이 국정 전반에 걸친 협치로 확산될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북핵 위기로 촉발된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감이 높아진 상황에서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가 '안보 협치'의 모습을 보여 준 것은 늦은 감이 있지만 국민들의 불안감 해소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동안 돌파구를 찾지 못하던 여야정 국정상설협의체를 조속히 구성한다는 데 의견을 모은 것도 소통과 타협을 위한 기초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제재와 대화라는 투트랙으로 진행되는 정부의 북한 핵과 미사일 해법에 대해 야당의 이해와 협조를 당부했습니다. 특히 북한과 미국의 강대강 대치로 한반도가 전쟁 위기로 치닫는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필요성도 강조했습니다. 야당 대표들은 외교안보 라인의 혼선과 대북 정책의 엇박자 등에 대한 개선을 요구하고 전술핵 재배치 필요성 등에 대한 주문을 내놨습니다. 문재인 정부의 선심성 정책과 인사 혼선 문제 등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을 촉구하기도 했습니다. 대부분 귀담아듣고 검토해야 할 사안들이라는 데 큰 이견은 없어 보입니다. 그러나 안보 정당을 자처하는 제1야당 대표가 절차와 형식 등을 이유로 불참해 사실상 반쪽 회동에 그친 점은 아쉬운 점이자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이기도 합니다. 체면에 얽매인 듯한 홍준표 대표의 처신도 책임감을 잃었다는 지적을 받고 있지만 청와대가 불참의 빌미를 준 것은 없는지,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점은 없는지도 되돌아 봐야 할 부분입니다.

극한의 안보 위기 속에서도 우리 정치권은 대립과 혼란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사드 보복을 비롯해 경제 사회 등 모든 분야에 엉킨 매듭들이 산적해 있습니다.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가 수시로 소통하면서 실마리와 공통분모를 찾아 나가야 합니다. 협치는 말이 아니라 실천이 중요합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