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美 9월 소매판매 1.6% 증가…허리케인 충격서 반등
입력 2017.10.13 (22:27) 수정 2017.10.13 (23:39) 국제
미국의 지난달 소매업체 매출이 전월 대비 1.6% 증가했다고 미 상무부가 오늘 밝혔다.
지난 2015년 3월 이후 가장 큰 폭의 증가세다.
자동차·부품 판매가 3.6% 늘면서 소매판매 증가세를 이끌었다.
허리케인 침수 피해에 따른 자동차 교체 수요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허리케인 충격으로 휘발유 가격이 오르면서 주유 판매도 5.8% 증가했다.
그 밖에 건축자재, 식료, 전자상거래 부문도 모두 호조를 보였다.
앞서 소매판매는 지난 8월에는 텍사스 주를 강타한 허리케인 '하비'의 영향으로 예상 밖의 감소세를 기록했다.
지난 2015년 3월 이후 가장 큰 폭의 증가세다.
자동차·부품 판매가 3.6% 늘면서 소매판매 증가세를 이끌었다.
허리케인 침수 피해에 따른 자동차 교체 수요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허리케인 충격으로 휘발유 가격이 오르면서 주유 판매도 5.8% 증가했다.
그 밖에 건축자재, 식료, 전자상거래 부문도 모두 호조를 보였다.
앞서 소매판매는 지난 8월에는 텍사스 주를 강타한 허리케인 '하비'의 영향으로 예상 밖의 감소세를 기록했다.
- 美 9월 소매판매 1.6% 증가…허리케인 충격서 반등
-
- 입력 2017-10-13 22:27:32
- 수정2017-10-13 23:39:30

미국의 지난달 소매업체 매출이 전월 대비 1.6% 증가했다고 미 상무부가 오늘 밝혔다.
지난 2015년 3월 이후 가장 큰 폭의 증가세다.
자동차·부품 판매가 3.6% 늘면서 소매판매 증가세를 이끌었다.
허리케인 침수 피해에 따른 자동차 교체 수요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허리케인 충격으로 휘발유 가격이 오르면서 주유 판매도 5.8% 증가했다.
그 밖에 건축자재, 식료, 전자상거래 부문도 모두 호조를 보였다.
앞서 소매판매는 지난 8월에는 텍사스 주를 강타한 허리케인 '하비'의 영향으로 예상 밖의 감소세를 기록했다.
지난 2015년 3월 이후 가장 큰 폭의 증가세다.
자동차·부품 판매가 3.6% 늘면서 소매판매 증가세를 이끌었다.
허리케인 침수 피해에 따른 자동차 교체 수요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허리케인 충격으로 휘발유 가격이 오르면서 주유 판매도 5.8% 증가했다.
그 밖에 건축자재, 식료, 전자상거래 부문도 모두 호조를 보였다.
앞서 소매판매는 지난 8월에는 텍사스 주를 강타한 허리케인 '하비'의 영향으로 예상 밖의 감소세를 기록했다.
- 기자 정보
-
-
김철우 기자 cwkim@kbs.co.kr
김철우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