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가계부채 채무자 상환능력 충분…리스크 아냐”
입력 2017.10.15 (11:36)
수정 2017.10.15 (12: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을 방문 중인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대 국제신용평가사 고위 관계자들과 만나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과 대북 리스크 등에 대한 우리정부의 입장을 설명했다.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와 2017년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 참석으로 워싱턴 DC를 방문 중인 김 부총리는 12일 무디스, 13일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와 피치의 국가신용등급 글로벌 총괄 담당자 등과 자리를 함께 했다.
각 신용평가사는 새 정부 경제정책 기조, 대북 리스크 전망,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추진현황, 가계부채 등에 관심을 보였다고 기재부는 설명했다.
김 부총리는 "한국 경제의 구조적 문제를 치유하고 지속할 수 있는 성장을 이루기 위해 사람중심 지속성장 경제로 패러다임을 전환하려 한다"고 설명했다.
또 혁신성장을 위해 규제 완화, 혁신자본 확충, 혁신 생태계 구축 등을 포함한 관련 대책을 곧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북 리스크와 관련해서는 한국 정부가 금융과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한국 정부의 적절한 대응으로 대북 이슈가 시장에 끼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강조했다.
김 부총리는 이와 함께 북한 리스크는 새로운 것이 아니라 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향후 예상치 못한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점차 안정되리라고 전망했다.
한미 FTA 문제는 양국 상호 이익균형의 관점에서 개정 논의를 원만하게 끌어갈 것이라고 답했다.
김 부총리는 또 가계부채는 증가율이 줄고 있으며, 가계부채 채무자의 상환능력이 충분해 리스크가 되지 않는다고 강조하면서 가계부채 문제 해결을 위해 조만간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김 부총리의 설명에 각 신용평가사 측은 경제정책방향과 대북 리스크, 통상현안 등 주요 이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계기가 됐다고 답했다.
김 부총리는 거시경제의 안정적 관리와 위험요인 대응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한국경제와 한국 국가신용등급에 한 긍정적인 평가를 당부했다.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와 2017년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 참석으로 워싱턴 DC를 방문 중인 김 부총리는 12일 무디스, 13일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와 피치의 국가신용등급 글로벌 총괄 담당자 등과 자리를 함께 했다.
각 신용평가사는 새 정부 경제정책 기조, 대북 리스크 전망,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추진현황, 가계부채 등에 관심을 보였다고 기재부는 설명했다.
김 부총리는 "한국 경제의 구조적 문제를 치유하고 지속할 수 있는 성장을 이루기 위해 사람중심 지속성장 경제로 패러다임을 전환하려 한다"고 설명했다.
또 혁신성장을 위해 규제 완화, 혁신자본 확충, 혁신 생태계 구축 등을 포함한 관련 대책을 곧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북 리스크와 관련해서는 한국 정부가 금융과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한국 정부의 적절한 대응으로 대북 이슈가 시장에 끼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강조했다.
김 부총리는 이와 함께 북한 리스크는 새로운 것이 아니라 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향후 예상치 못한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점차 안정되리라고 전망했다.
한미 FTA 문제는 양국 상호 이익균형의 관점에서 개정 논의를 원만하게 끌어갈 것이라고 답했다.
김 부총리는 또 가계부채는 증가율이 줄고 있으며, 가계부채 채무자의 상환능력이 충분해 리스크가 되지 않는다고 강조하면서 가계부채 문제 해결을 위해 조만간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김 부총리의 설명에 각 신용평가사 측은 경제정책방향과 대북 리스크, 통상현안 등 주요 이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계기가 됐다고 답했다.
김 부총리는 거시경제의 안정적 관리와 위험요인 대응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한국경제와 한국 국가신용등급에 한 긍정적인 평가를 당부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김동연 “가계부채 채무자 상환능력 충분…리스크 아냐”
-
- 입력 2017-10-15 11:36:17
- 수정2017-10-15 12:12:48

미국을 방문 중인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대 국제신용평가사 고위 관계자들과 만나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과 대북 리스크 등에 대한 우리정부의 입장을 설명했다.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와 2017년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 참석으로 워싱턴 DC를 방문 중인 김 부총리는 12일 무디스, 13일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와 피치의 국가신용등급 글로벌 총괄 담당자 등과 자리를 함께 했다.
각 신용평가사는 새 정부 경제정책 기조, 대북 리스크 전망,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추진현황, 가계부채 등에 관심을 보였다고 기재부는 설명했다.
김 부총리는 "한국 경제의 구조적 문제를 치유하고 지속할 수 있는 성장을 이루기 위해 사람중심 지속성장 경제로 패러다임을 전환하려 한다"고 설명했다.
또 혁신성장을 위해 규제 완화, 혁신자본 확충, 혁신 생태계 구축 등을 포함한 관련 대책을 곧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북 리스크와 관련해서는 한국 정부가 금융과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한국 정부의 적절한 대응으로 대북 이슈가 시장에 끼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강조했다.
김 부총리는 이와 함께 북한 리스크는 새로운 것이 아니라 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향후 예상치 못한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점차 안정되리라고 전망했다.
한미 FTA 문제는 양국 상호 이익균형의 관점에서 개정 논의를 원만하게 끌어갈 것이라고 답했다.
김 부총리는 또 가계부채는 증가율이 줄고 있으며, 가계부채 채무자의 상환능력이 충분해 리스크가 되지 않는다고 강조하면서 가계부채 문제 해결을 위해 조만간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김 부총리의 설명에 각 신용평가사 측은 경제정책방향과 대북 리스크, 통상현안 등 주요 이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계기가 됐다고 답했다.
김 부총리는 거시경제의 안정적 관리와 위험요인 대응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한국경제와 한국 국가신용등급에 한 긍정적인 평가를 당부했다.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와 2017년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 참석으로 워싱턴 DC를 방문 중인 김 부총리는 12일 무디스, 13일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와 피치의 국가신용등급 글로벌 총괄 담당자 등과 자리를 함께 했다.
각 신용평가사는 새 정부 경제정책 기조, 대북 리스크 전망,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추진현황, 가계부채 등에 관심을 보였다고 기재부는 설명했다.
김 부총리는 "한국 경제의 구조적 문제를 치유하고 지속할 수 있는 성장을 이루기 위해 사람중심 지속성장 경제로 패러다임을 전환하려 한다"고 설명했다.
또 혁신성장을 위해 규제 완화, 혁신자본 확충, 혁신 생태계 구축 등을 포함한 관련 대책을 곧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북 리스크와 관련해서는 한국 정부가 금융과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한국 정부의 적절한 대응으로 대북 이슈가 시장에 끼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강조했다.
김 부총리는 이와 함께 북한 리스크는 새로운 것이 아니라 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향후 예상치 못한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점차 안정되리라고 전망했다.
한미 FTA 문제는 양국 상호 이익균형의 관점에서 개정 논의를 원만하게 끌어갈 것이라고 답했다.
김 부총리는 또 가계부채는 증가율이 줄고 있으며, 가계부채 채무자의 상환능력이 충분해 리스크가 되지 않는다고 강조하면서 가계부채 문제 해결을 위해 조만간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김 부총리의 설명에 각 신용평가사 측은 경제정책방향과 대북 리스크, 통상현안 등 주요 이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계기가 됐다고 답했다.
김 부총리는 거시경제의 안정적 관리와 위험요인 대응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한국경제와 한국 국가신용등급에 한 긍정적인 평가를 당부했다.
-
-
임승창 기자 sclim@kbs.co.kr
임승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