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연합 해상훈련 종료…軍, 강화된 대북감시태세 유지

입력 2017.10.20 (20:29) 수정 2017.10.20 (20: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과 미국 해군이 지난 16일부터 진행한 연합 해상훈련이 20일 종료됐다.

훈련 기간에 북한의 도발 가능성이 제기됐지만, 북한은 특별히 군사적 긴장 수위를 끌어올리는 동향은 나타내지 않았다.

동·서해에서 진행된 이번 훈련에는 미국 핵추진 항공모함 로널드 레이건함(CVN-76) 항모강습단이 참가했다. 우리 해군은 이지스 구축함인 세종대왕함을 비롯한 수상함과 잠수함을 투입했으며, 양국 함정 40여 척이 동원됐다.

미군 측의 지상감시 첨단 정찰기인 '조인트 스타즈'(JSTARS)와 FA-18 전폭기, MH-60R(시호크) 대잠헬기·AH-64E(아파치) 공격헬기, A-10(선더볼트) 대전차 공격기 등의 전력도 이번 훈련에 참가했다.

우리 측은 P-3 해상초계기와 링스(Lynx)·AW-159(와일드캣) 해상작전헬기, UH-60 헬기를 비롯한 공군의 F-15K 전투기를 투입했다.

양국 해군은 북한의 해상도발 저지와 연합 해상 특수작전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연합 대특수전부대작전(MCSOF) 훈련을 동·서해에서 고강도로 진행했다. 항모호송작전, 방공전, 대잠전, 미사일경보훈련(Link-Ex), 선단호송, 해양차단작전, 대함·대공 함포 실사격 훈련 등도 병행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미 연합 해상훈련 종료…軍, 강화된 대북감시태세 유지
    • 입력 2017-10-20 20:29:41
    • 수정2017-10-20 20:30:33
    정치
한국과 미국 해군이 지난 16일부터 진행한 연합 해상훈련이 20일 종료됐다.

훈련 기간에 북한의 도발 가능성이 제기됐지만, 북한은 특별히 군사적 긴장 수위를 끌어올리는 동향은 나타내지 않았다.

동·서해에서 진행된 이번 훈련에는 미국 핵추진 항공모함 로널드 레이건함(CVN-76) 항모강습단이 참가했다. 우리 해군은 이지스 구축함인 세종대왕함을 비롯한 수상함과 잠수함을 투입했으며, 양국 함정 40여 척이 동원됐다.

미군 측의 지상감시 첨단 정찰기인 '조인트 스타즈'(JSTARS)와 FA-18 전폭기, MH-60R(시호크) 대잠헬기·AH-64E(아파치) 공격헬기, A-10(선더볼트) 대전차 공격기 등의 전력도 이번 훈련에 참가했다.

우리 측은 P-3 해상초계기와 링스(Lynx)·AW-159(와일드캣) 해상작전헬기, UH-60 헬기를 비롯한 공군의 F-15K 전투기를 투입했다.

양국 해군은 북한의 해상도발 저지와 연합 해상 특수작전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연합 대특수전부대작전(MCSOF) 훈련을 동·서해에서 고강도로 진행했다. 항모호송작전, 방공전, 대잠전, 미사일경보훈련(Link-Ex), 선단호송, 해양차단작전, 대함·대공 함포 실사격 훈련 등도 병행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