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라고 하지만…” 중국동포 반발 확산
입력 2017.10.28 (06:52)
수정 2017.10.28 (07: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국내 체류중인 중국 동포들은 현재 66만여 명에 이르고, 한국 국적 취득자까지 포함하면 80만 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그런데 최근 중국동포 거주지역을 배경으로 한 범죄 영화가 잇따라 개봉되면서 동포사회가 크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신강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중국동포 출신 폭력조직이 살인, 납치, 폭행 등 강력범죄를 저지른다는 내용입니다.
중국동포들은 이들 영화가 자신의 거주지역을 마치 범죄소굴처럼 묘사하고 있다며 분통을 터뜨립니다.
<인터뷰> 이미화(중국 동포) : "그 영화에 대해 얘기를 많이 해요. 손님들이 조선족 다 물러나야 된다고 얘기를 해요. 한국사람들 백이면 백, 다 그렇게 얘기해요. 조선족 이땅에서 떠나라 그렇게 얘기를 많이 해요. 그러면 저는 그 말 들을 때 너무 속상해요."
자신들의 억울함을 호소하겠다며 국회 앞에서 릴레이 1인 시위도 시작됐습니다.
중국동포단체들은 최근 비상대책위를 구성해 다음달 손해배상 청구는 물론, 국가인권위원회 제소까지 준비중입니다.
<인터뷰> 박옥선(귀환중국동포 권익증진위원장) : "외국인들에 대한 차별, 재한중국동포들에 대한 차별, 이것들을 저희가 준비해서 한국인권위원회에 진정을 낼 예정입니다."
제작사측은 허구를 바탕으로 영화를 창작했다며 중국동포들에게 어떤 편견도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인터뷰> 곽재석(한국이주동포개발연구원장) : "영화진흥위원회 차원에서 윤리강령이라든지, 소수자 권리 보호를 위한 영화제작자들의 선언이라든지 이런 것을 통해서 좀 자제하고..."
잇딴 중국동포 범죄영화가 소수 집단 차별인지, 아니면 창작의 자유인지 논란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신강문입니다.
국내 체류중인 중국 동포들은 현재 66만여 명에 이르고, 한국 국적 취득자까지 포함하면 80만 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그런데 최근 중국동포 거주지역을 배경으로 한 범죄 영화가 잇따라 개봉되면서 동포사회가 크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신강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중국동포 출신 폭력조직이 살인, 납치, 폭행 등 강력범죄를 저지른다는 내용입니다.
중국동포들은 이들 영화가 자신의 거주지역을 마치 범죄소굴처럼 묘사하고 있다며 분통을 터뜨립니다.
<인터뷰> 이미화(중국 동포) : "그 영화에 대해 얘기를 많이 해요. 손님들이 조선족 다 물러나야 된다고 얘기를 해요. 한국사람들 백이면 백, 다 그렇게 얘기해요. 조선족 이땅에서 떠나라 그렇게 얘기를 많이 해요. 그러면 저는 그 말 들을 때 너무 속상해요."
자신들의 억울함을 호소하겠다며 국회 앞에서 릴레이 1인 시위도 시작됐습니다.
중국동포단체들은 최근 비상대책위를 구성해 다음달 손해배상 청구는 물론, 국가인권위원회 제소까지 준비중입니다.
<인터뷰> 박옥선(귀환중국동포 권익증진위원장) : "외국인들에 대한 차별, 재한중국동포들에 대한 차별, 이것들을 저희가 준비해서 한국인권위원회에 진정을 낼 예정입니다."
제작사측은 허구를 바탕으로 영화를 창작했다며 중국동포들에게 어떤 편견도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인터뷰> 곽재석(한국이주동포개발연구원장) : "영화진흥위원회 차원에서 윤리강령이라든지, 소수자 권리 보호를 위한 영화제작자들의 선언이라든지 이런 것을 통해서 좀 자제하고..."
잇딴 중국동포 범죄영화가 소수 집단 차별인지, 아니면 창작의 자유인지 논란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신강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영화라고 하지만…” 중국동포 반발 확산
-
- 입력 2017-10-28 07:26:24
- 수정2017-10-28 07:29:14

<앵커 멘트>
국내 체류중인 중국 동포들은 현재 66만여 명에 이르고, 한국 국적 취득자까지 포함하면 80만 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그런데 최근 중국동포 거주지역을 배경으로 한 범죄 영화가 잇따라 개봉되면서 동포사회가 크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신강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중국동포 출신 폭력조직이 살인, 납치, 폭행 등 강력범죄를 저지른다는 내용입니다.
중국동포들은 이들 영화가 자신의 거주지역을 마치 범죄소굴처럼 묘사하고 있다며 분통을 터뜨립니다.
<인터뷰> 이미화(중국 동포) : "그 영화에 대해 얘기를 많이 해요. 손님들이 조선족 다 물러나야 된다고 얘기를 해요. 한국사람들 백이면 백, 다 그렇게 얘기해요. 조선족 이땅에서 떠나라 그렇게 얘기를 많이 해요. 그러면 저는 그 말 들을 때 너무 속상해요."
자신들의 억울함을 호소하겠다며 국회 앞에서 릴레이 1인 시위도 시작됐습니다.
중국동포단체들은 최근 비상대책위를 구성해 다음달 손해배상 청구는 물론, 국가인권위원회 제소까지 준비중입니다.
<인터뷰> 박옥선(귀환중국동포 권익증진위원장) : "외국인들에 대한 차별, 재한중국동포들에 대한 차별, 이것들을 저희가 준비해서 한국인권위원회에 진정을 낼 예정입니다."
제작사측은 허구를 바탕으로 영화를 창작했다며 중국동포들에게 어떤 편견도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인터뷰> 곽재석(한국이주동포개발연구원장) : "영화진흥위원회 차원에서 윤리강령이라든지, 소수자 권리 보호를 위한 영화제작자들의 선언이라든지 이런 것을 통해서 좀 자제하고..."
잇딴 중국동포 범죄영화가 소수 집단 차별인지, 아니면 창작의 자유인지 논란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신강문입니다.
국내 체류중인 중국 동포들은 현재 66만여 명에 이르고, 한국 국적 취득자까지 포함하면 80만 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그런데 최근 중국동포 거주지역을 배경으로 한 범죄 영화가 잇따라 개봉되면서 동포사회가 크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신강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중국동포 출신 폭력조직이 살인, 납치, 폭행 등 강력범죄를 저지른다는 내용입니다.
중국동포들은 이들 영화가 자신의 거주지역을 마치 범죄소굴처럼 묘사하고 있다며 분통을 터뜨립니다.
<인터뷰> 이미화(중국 동포) : "그 영화에 대해 얘기를 많이 해요. 손님들이 조선족 다 물러나야 된다고 얘기를 해요. 한국사람들 백이면 백, 다 그렇게 얘기해요. 조선족 이땅에서 떠나라 그렇게 얘기를 많이 해요. 그러면 저는 그 말 들을 때 너무 속상해요."
자신들의 억울함을 호소하겠다며 국회 앞에서 릴레이 1인 시위도 시작됐습니다.
중국동포단체들은 최근 비상대책위를 구성해 다음달 손해배상 청구는 물론, 국가인권위원회 제소까지 준비중입니다.
<인터뷰> 박옥선(귀환중국동포 권익증진위원장) : "외국인들에 대한 차별, 재한중국동포들에 대한 차별, 이것들을 저희가 준비해서 한국인권위원회에 진정을 낼 예정입니다."
제작사측은 허구를 바탕으로 영화를 창작했다며 중국동포들에게 어떤 편견도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인터뷰> 곽재석(한국이주동포개발연구원장) : "영화진흥위원회 차원에서 윤리강령이라든지, 소수자 권리 보호를 위한 영화제작자들의 선언이라든지 이런 것을 통해서 좀 자제하고..."
잇딴 중국동포 범죄영화가 소수 집단 차별인지, 아니면 창작의 자유인지 논란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신강문입니다.
-
-
신강문 기자 kmshin@kbs.co.kr
신강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