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 현역 성전환수술”…사실상 성전환자 복무 허용
입력 2017.11.16 (01:51)
수정 2017.11.16 (08:3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 국방부가 복무 중인 병사의 성전환수술을 허용했다고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전했다.
뉴욕타임스는 오늘 국방부 관계자를 인용해 "그 병사는 이미 성전환수술을 마치고 (호르몬) 치료 단계에 들어간 상태"라고 보도했다.
이 병사는 아프가니스탄에서 복무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사 병원에서는 성전환 의료진이 없는 상황이어서 민간 의료기관에서 수술이 이뤄졌다고 국방부 관계자는 설명했다.
국방부 건강보험 프로그램을 통해 수술 비용도 지원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엄청난 의학적 비용과 혼란"을 이유로 성전환자의 미군 복무를 금지하는 지침에 서명했지만, 현역에 대해서는 제임스 매티스 국방부 장관의 재량에 맡긴 바 있다.
따라서 이번 결정은 성전환자들의 군 복무를 계속 허용하겠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지난해 랜드연구소 자료에 따르면 최소 2천 명에서 최대 만 천 명의 현역·예비군 병력이 트랜스젠더로 추정된다.
뉴욕타임스는 "트랜스젠더의 군 복무를 제한하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지침이 사실상 무력화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트랜스젠더의 군 복무는 전임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허용됐다.
이 때문에 트랜스젠더의 군 복무를 금지하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방침은 '오바마 지우기'의 일환으로도 해석됐다.
[사진출처 : 뉴욕타임즈 온라인판 갈무리]
뉴욕타임스는 오늘 국방부 관계자를 인용해 "그 병사는 이미 성전환수술을 마치고 (호르몬) 치료 단계에 들어간 상태"라고 보도했다.
이 병사는 아프가니스탄에서 복무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사 병원에서는 성전환 의료진이 없는 상황이어서 민간 의료기관에서 수술이 이뤄졌다고 국방부 관계자는 설명했다.
국방부 건강보험 프로그램을 통해 수술 비용도 지원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엄청난 의학적 비용과 혼란"을 이유로 성전환자의 미군 복무를 금지하는 지침에 서명했지만, 현역에 대해서는 제임스 매티스 국방부 장관의 재량에 맡긴 바 있다.
따라서 이번 결정은 성전환자들의 군 복무를 계속 허용하겠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지난해 랜드연구소 자료에 따르면 최소 2천 명에서 최대 만 천 명의 현역·예비군 병력이 트랜스젠더로 추정된다.
뉴욕타임스는 "트랜스젠더의 군 복무를 제한하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지침이 사실상 무력화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트랜스젠더의 군 복무는 전임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허용됐다.
이 때문에 트랜스젠더의 군 복무를 금지하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방침은 '오바마 지우기'의 일환으로도 해석됐다.
[사진출처 : 뉴욕타임즈 온라인판 갈무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군 현역 성전환수술”…사실상 성전환자 복무 허용
-
- 입력 2017-11-16 01:51:54
- 수정2017-11-16 08:31:33

미국 국방부가 복무 중인 병사의 성전환수술을 허용했다고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전했다.
뉴욕타임스는 오늘 국방부 관계자를 인용해 "그 병사는 이미 성전환수술을 마치고 (호르몬) 치료 단계에 들어간 상태"라고 보도했다.
이 병사는 아프가니스탄에서 복무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사 병원에서는 성전환 의료진이 없는 상황이어서 민간 의료기관에서 수술이 이뤄졌다고 국방부 관계자는 설명했다.
국방부 건강보험 프로그램을 통해 수술 비용도 지원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엄청난 의학적 비용과 혼란"을 이유로 성전환자의 미군 복무를 금지하는 지침에 서명했지만, 현역에 대해서는 제임스 매티스 국방부 장관의 재량에 맡긴 바 있다.
따라서 이번 결정은 성전환자들의 군 복무를 계속 허용하겠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지난해 랜드연구소 자료에 따르면 최소 2천 명에서 최대 만 천 명의 현역·예비군 병력이 트랜스젠더로 추정된다.
뉴욕타임스는 "트랜스젠더의 군 복무를 제한하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지침이 사실상 무력화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트랜스젠더의 군 복무는 전임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허용됐다.
이 때문에 트랜스젠더의 군 복무를 금지하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방침은 '오바마 지우기'의 일환으로도 해석됐다.
[사진출처 : 뉴욕타임즈 온라인판 갈무리]
뉴욕타임스는 오늘 국방부 관계자를 인용해 "그 병사는 이미 성전환수술을 마치고 (호르몬) 치료 단계에 들어간 상태"라고 보도했다.
이 병사는 아프가니스탄에서 복무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사 병원에서는 성전환 의료진이 없는 상황이어서 민간 의료기관에서 수술이 이뤄졌다고 국방부 관계자는 설명했다.
국방부 건강보험 프로그램을 통해 수술 비용도 지원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엄청난 의학적 비용과 혼란"을 이유로 성전환자의 미군 복무를 금지하는 지침에 서명했지만, 현역에 대해서는 제임스 매티스 국방부 장관의 재량에 맡긴 바 있다.
따라서 이번 결정은 성전환자들의 군 복무를 계속 허용하겠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지난해 랜드연구소 자료에 따르면 최소 2천 명에서 최대 만 천 명의 현역·예비군 병력이 트랜스젠더로 추정된다.
뉴욕타임스는 "트랜스젠더의 군 복무를 제한하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지침이 사실상 무력화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트랜스젠더의 군 복무는 전임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허용됐다.
이 때문에 트랜스젠더의 군 복무를 금지하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방침은 '오바마 지우기'의 일환으로도 해석됐다.
[사진출처 : 뉴욕타임즈 온라인판 갈무리]
-
-
김철우 기자 cwkim@kbs.co.kr
김철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