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강진에도 끄덕없는 日…“보강제 등 대비 철저”
입력 2017.11.16 (21:43) 수정 2017.11.16 (22:07) 뉴스 9
<앵커 멘트>
피해가 속출하고 있는 이번 포항 지진이 규모 5.4입니다.
그런데 일본의 경우 규모 6의 강한 지진에도 건물이 멀쩡하고 끄떡없다고 합니다.
어떻게 대비하고 있는지, 배워 할 대목은 뭔지, 도쿄 이승철 특파원이 살펴봤습니다.
<리포트>
지어진 지 70년 된 집입니다.
2011년 대지진 당시 내벽이 떨어지고 금이 가는 등 피해를 입었습니다.
<녹취> "이 벽이 떨어져 내렸죠."
하지만 그 뒤로 모든 벽에 내진용 보강제를 넣는 등 철저히 대비했습니다.
<인터뷰> 이시(다카하기 주민) : "이 벽과 이 벽도 내진용 보강제를 넣어 바꾸고..."
그 결과 지난해 12월 규모 6.3, 사람이 서 있기 힘들 정도의 강한 지진이 덮쳤지만, 금 간 곳 하나 없이 집은 멀쩡했습니다.
일정한 간격으로 기와까지 고정하고 외벽을 튼튼하게 보강한 덕분입니다.
포항 지진 보다 훨씬 강한 지진에도 거리에서는 낙하물 하나 찾기 어려울 정도였습니다.
이바라키현의 또 다른 도시, 역시 지난해 7월 규모 5를 넘는 지진이 덮쳤지만 아무런 피해가 없었습니다.
옥외 방송을 통해 신속히 피난을 유도한 데다, 주민들도 지침대로 행동한 덕택입니다.
<인터뷰> 나나이(히타치 시청 생활안전과장) : "각 세대에 방재 책자를 배포해, 지진이 발생했을 때 어떻게 행동할 지를..."
인구 18만의 소도시지만 대피소만 65곳.
대피소 마다 며칠을 버틸 수 있는 물품도 완비돼 있습니다.
피해를 철저히 분석하는 과학과 자치단체의 꾸준한 관심이 가져온 체질화된 지진 대비 결과입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이승철입니다.
피해가 속출하고 있는 이번 포항 지진이 규모 5.4입니다.
그런데 일본의 경우 규모 6의 강한 지진에도 건물이 멀쩡하고 끄떡없다고 합니다.
어떻게 대비하고 있는지, 배워 할 대목은 뭔지, 도쿄 이승철 특파원이 살펴봤습니다.
<리포트>
지어진 지 70년 된 집입니다.
2011년 대지진 당시 내벽이 떨어지고 금이 가는 등 피해를 입었습니다.
<녹취> "이 벽이 떨어져 내렸죠."
하지만 그 뒤로 모든 벽에 내진용 보강제를 넣는 등 철저히 대비했습니다.
<인터뷰> 이시(다카하기 주민) : "이 벽과 이 벽도 내진용 보강제를 넣어 바꾸고..."
그 결과 지난해 12월 규모 6.3, 사람이 서 있기 힘들 정도의 강한 지진이 덮쳤지만, 금 간 곳 하나 없이 집은 멀쩡했습니다.
일정한 간격으로 기와까지 고정하고 외벽을 튼튼하게 보강한 덕분입니다.
포항 지진 보다 훨씬 강한 지진에도 거리에서는 낙하물 하나 찾기 어려울 정도였습니다.
이바라키현의 또 다른 도시, 역시 지난해 7월 규모 5를 넘는 지진이 덮쳤지만 아무런 피해가 없었습니다.
옥외 방송을 통해 신속히 피난을 유도한 데다, 주민들도 지침대로 행동한 덕택입니다.
<인터뷰> 나나이(히타치 시청 생활안전과장) : "각 세대에 방재 책자를 배포해, 지진이 발생했을 때 어떻게 행동할 지를..."
인구 18만의 소도시지만 대피소만 65곳.
대피소 마다 며칠을 버틸 수 있는 물품도 완비돼 있습니다.
피해를 철저히 분석하는 과학과 자치단체의 꾸준한 관심이 가져온 체질화된 지진 대비 결과입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이승철입니다.
- 강진에도 끄덕없는 日…“보강제 등 대비 철저”
-
- 입력 2017-11-16 21:44:04
- 수정2017-11-16 22:07:40

<앵커 멘트>
피해가 속출하고 있는 이번 포항 지진이 규모 5.4입니다.
그런데 일본의 경우 규모 6의 강한 지진에도 건물이 멀쩡하고 끄떡없다고 합니다.
어떻게 대비하고 있는지, 배워 할 대목은 뭔지, 도쿄 이승철 특파원이 살펴봤습니다.
<리포트>
지어진 지 70년 된 집입니다.
2011년 대지진 당시 내벽이 떨어지고 금이 가는 등 피해를 입었습니다.
<녹취> "이 벽이 떨어져 내렸죠."
하지만 그 뒤로 모든 벽에 내진용 보강제를 넣는 등 철저히 대비했습니다.
<인터뷰> 이시(다카하기 주민) : "이 벽과 이 벽도 내진용 보강제를 넣어 바꾸고..."
그 결과 지난해 12월 규모 6.3, 사람이 서 있기 힘들 정도의 강한 지진이 덮쳤지만, 금 간 곳 하나 없이 집은 멀쩡했습니다.
일정한 간격으로 기와까지 고정하고 외벽을 튼튼하게 보강한 덕분입니다.
포항 지진 보다 훨씬 강한 지진에도 거리에서는 낙하물 하나 찾기 어려울 정도였습니다.
이바라키현의 또 다른 도시, 역시 지난해 7월 규모 5를 넘는 지진이 덮쳤지만 아무런 피해가 없었습니다.
옥외 방송을 통해 신속히 피난을 유도한 데다, 주민들도 지침대로 행동한 덕택입니다.
<인터뷰> 나나이(히타치 시청 생활안전과장) : "각 세대에 방재 책자를 배포해, 지진이 발생했을 때 어떻게 행동할 지를..."
인구 18만의 소도시지만 대피소만 65곳.
대피소 마다 며칠을 버틸 수 있는 물품도 완비돼 있습니다.
피해를 철저히 분석하는 과학과 자치단체의 꾸준한 관심이 가져온 체질화된 지진 대비 결과입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이승철입니다.
피해가 속출하고 있는 이번 포항 지진이 규모 5.4입니다.
그런데 일본의 경우 규모 6의 강한 지진에도 건물이 멀쩡하고 끄떡없다고 합니다.
어떻게 대비하고 있는지, 배워 할 대목은 뭔지, 도쿄 이승철 특파원이 살펴봤습니다.
<리포트>
지어진 지 70년 된 집입니다.
2011년 대지진 당시 내벽이 떨어지고 금이 가는 등 피해를 입었습니다.
<녹취> "이 벽이 떨어져 내렸죠."
하지만 그 뒤로 모든 벽에 내진용 보강제를 넣는 등 철저히 대비했습니다.
<인터뷰> 이시(다카하기 주민) : "이 벽과 이 벽도 내진용 보강제를 넣어 바꾸고..."
그 결과 지난해 12월 규모 6.3, 사람이 서 있기 힘들 정도의 강한 지진이 덮쳤지만, 금 간 곳 하나 없이 집은 멀쩡했습니다.
일정한 간격으로 기와까지 고정하고 외벽을 튼튼하게 보강한 덕분입니다.
포항 지진 보다 훨씬 강한 지진에도 거리에서는 낙하물 하나 찾기 어려울 정도였습니다.
이바라키현의 또 다른 도시, 역시 지난해 7월 규모 5를 넘는 지진이 덮쳤지만 아무런 피해가 없었습니다.
옥외 방송을 통해 신속히 피난을 유도한 데다, 주민들도 지침대로 행동한 덕택입니다.
<인터뷰> 나나이(히타치 시청 생활안전과장) : "각 세대에 방재 책자를 배포해, 지진이 발생했을 때 어떻게 행동할 지를..."
인구 18만의 소도시지만 대피소만 65곳.
대피소 마다 며칠을 버틸 수 있는 물품도 완비돼 있습니다.
피해를 철저히 분석하는 과학과 자치단체의 꾸준한 관심이 가져온 체질화된 지진 대비 결과입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이승철입니다.
뉴스 9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이승철 기자 neost@kbs.co.kr
이승철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