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파키스탄 겨냥 “북한 핵확산 연결고리 철저조사” 거듭요구
입력 2017.11.16 (23:50)
수정 2017.11.17 (00: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도 정부가 국제 현안인 북한 핵 문제와 관련해 카슈미르 영유권 분쟁 등으로 앙숙인 파키스탄의 연계 의혹을 거듭 부각하고 있다.
인도 언론에 따르면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지난 14일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동아시아정상회의(EAS)에서 "북한 핵의 확산 연결고리에 대한 철저한 조사"를 요구하며 "불법한 핵 개발 프로그램을 지원한 당사국은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모디 총리가 직접 파키스탄을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대부분의 인도 언론은 이 발언이 파키스탄을 겨냥한 것으로 해석했다.
앞서 니르말라 시타라만 인도 국방장관 역시 지난달 24일 마닐라에서 열린 제4차 아세안 확대 국방장관회의(ADMM-Plus)에서 "인도는 핵과 미사일 기술의 확산이 인도뿐 아니라 역내 안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한다"면서 북한핵 확산 연결고리에 대한 조사와 북핵 프로그램 지원국에 대한 책임 추궁을 강조했다.
수슈마 스와라지 인도 외교장관도 지난 9월 유엔 총회 기간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과 별도로 만난 자리에서 시타라만 장관과 같은 주장을 했다.
인도는 2013년 2월 북한 3차 핵실험 때에 플루토늄이 아닌 고농축 우라늄이 사용된 것으로 알려지자 이 물질이 파키스탄에서 유입됐을 수 있다는 의혹을 제기하는 등 오랫동안 북한과 파키스탄의 핵무기 기술 교류 가능성에 대해 우려를 표시해 왔다.
파키스탄 핵과학자 압둘 카디르 칸 박사는 2004년 이란과 북한, 리비아에 핵 기술을 전파했다고 시인하기도 했다.
하지만, 파키스탄 정부는 이 같은 북한과의 핵 협력설을 "과거의 잘못된 주장"이라며 공식적으로 부인하고 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인도 언론에 따르면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지난 14일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동아시아정상회의(EAS)에서 "북한 핵의 확산 연결고리에 대한 철저한 조사"를 요구하며 "불법한 핵 개발 프로그램을 지원한 당사국은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모디 총리가 직접 파키스탄을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대부분의 인도 언론은 이 발언이 파키스탄을 겨냥한 것으로 해석했다.
앞서 니르말라 시타라만 인도 국방장관 역시 지난달 24일 마닐라에서 열린 제4차 아세안 확대 국방장관회의(ADMM-Plus)에서 "인도는 핵과 미사일 기술의 확산이 인도뿐 아니라 역내 안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한다"면서 북한핵 확산 연결고리에 대한 조사와 북핵 프로그램 지원국에 대한 책임 추궁을 강조했다.
수슈마 스와라지 인도 외교장관도 지난 9월 유엔 총회 기간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과 별도로 만난 자리에서 시타라만 장관과 같은 주장을 했다.
인도는 2013년 2월 북한 3차 핵실험 때에 플루토늄이 아닌 고농축 우라늄이 사용된 것으로 알려지자 이 물질이 파키스탄에서 유입됐을 수 있다는 의혹을 제기하는 등 오랫동안 북한과 파키스탄의 핵무기 기술 교류 가능성에 대해 우려를 표시해 왔다.
파키스탄 핵과학자 압둘 카디르 칸 박사는 2004년 이란과 북한, 리비아에 핵 기술을 전파했다고 시인하기도 했다.
하지만, 파키스탄 정부는 이 같은 북한과의 핵 협력설을 "과거의 잘못된 주장"이라며 공식적으로 부인하고 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인도, 파키스탄 겨냥 “북한 핵확산 연결고리 철저조사” 거듭요구
-
- 입력 2017-11-16 23:50:25
- 수정2017-11-17 00:10:37

인도 정부가 국제 현안인 북한 핵 문제와 관련해 카슈미르 영유권 분쟁 등으로 앙숙인 파키스탄의 연계 의혹을 거듭 부각하고 있다.
인도 언론에 따르면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지난 14일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동아시아정상회의(EAS)에서 "북한 핵의 확산 연결고리에 대한 철저한 조사"를 요구하며 "불법한 핵 개발 프로그램을 지원한 당사국은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모디 총리가 직접 파키스탄을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대부분의 인도 언론은 이 발언이 파키스탄을 겨냥한 것으로 해석했다.
앞서 니르말라 시타라만 인도 국방장관 역시 지난달 24일 마닐라에서 열린 제4차 아세안 확대 국방장관회의(ADMM-Plus)에서 "인도는 핵과 미사일 기술의 확산이 인도뿐 아니라 역내 안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한다"면서 북한핵 확산 연결고리에 대한 조사와 북핵 프로그램 지원국에 대한 책임 추궁을 강조했다.
수슈마 스와라지 인도 외교장관도 지난 9월 유엔 총회 기간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과 별도로 만난 자리에서 시타라만 장관과 같은 주장을 했다.
인도는 2013년 2월 북한 3차 핵실험 때에 플루토늄이 아닌 고농축 우라늄이 사용된 것으로 알려지자 이 물질이 파키스탄에서 유입됐을 수 있다는 의혹을 제기하는 등 오랫동안 북한과 파키스탄의 핵무기 기술 교류 가능성에 대해 우려를 표시해 왔다.
파키스탄 핵과학자 압둘 카디르 칸 박사는 2004년 이란과 북한, 리비아에 핵 기술을 전파했다고 시인하기도 했다.
하지만, 파키스탄 정부는 이 같은 북한과의 핵 협력설을 "과거의 잘못된 주장"이라며 공식적으로 부인하고 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인도 언론에 따르면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지난 14일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동아시아정상회의(EAS)에서 "북한 핵의 확산 연결고리에 대한 철저한 조사"를 요구하며 "불법한 핵 개발 프로그램을 지원한 당사국은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모디 총리가 직접 파키스탄을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대부분의 인도 언론은 이 발언이 파키스탄을 겨냥한 것으로 해석했다.
앞서 니르말라 시타라만 인도 국방장관 역시 지난달 24일 마닐라에서 열린 제4차 아세안 확대 국방장관회의(ADMM-Plus)에서 "인도는 핵과 미사일 기술의 확산이 인도뿐 아니라 역내 안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한다"면서 북한핵 확산 연결고리에 대한 조사와 북핵 프로그램 지원국에 대한 책임 추궁을 강조했다.
수슈마 스와라지 인도 외교장관도 지난 9월 유엔 총회 기간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과 별도로 만난 자리에서 시타라만 장관과 같은 주장을 했다.
인도는 2013년 2월 북한 3차 핵실험 때에 플루토늄이 아닌 고농축 우라늄이 사용된 것으로 알려지자 이 물질이 파키스탄에서 유입됐을 수 있다는 의혹을 제기하는 등 오랫동안 북한과 파키스탄의 핵무기 기술 교류 가능성에 대해 우려를 표시해 왔다.
파키스탄 핵과학자 압둘 카디르 칸 박사는 2004년 이란과 북한, 리비아에 핵 기술을 전파했다고 시인하기도 했다.
하지만, 파키스탄 정부는 이 같은 북한과의 핵 협력설을 "과거의 잘못된 주장"이라며 공식적으로 부인하고 있다.
[사진 출처 : 게티이미지]
-
-
김종수 기자 sweeper@kbs.co.kr
김종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