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초 女취업자 비중 뚝…임신·출산 탓에 ‘경단녀’

입력 2017.11.20 (13:46) 수정 2017.11.20 (13: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젊은 여성들이 임신·출산 때문에 직장을 그만두면서 30대 초반에서 여성 취업자 비중이 뚝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20% 표본조사 자료를 분석해 20일 공개한 '생애주기별 주요 특성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세 이상 기혼 여성이 일을 그만둔 이유는 결혼이 58.5%로 가장 높았고 임신·출산이 28.4%였다.

취학 전 자녀 양육이 7.2%, 부모 등 가족 돌봄 3.8%, 취학 자녀교육이 2.1%로 뒤를 이었다.

경력단절 여성(일명 경단녀)이 된 사유를 연령대별로 구분해보면 50대 이상은 결혼을 이유로 직장을 그만둔 경우가 많았고 젊은 층은 임신과 출산으로 인한 사직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20대는 결혼이 51.3%, 임신·출산이 42.9%였고 30대는 결혼이 43.0%, 임신·출산이 45.1%였다.

결혼을 계기로 일을 그만둔 여성 가운데 임신·출산을 미리 염두에 둔 사직이 포함된다고 보면 임신과 출산이 사직에 미친 실제 영향력은 훨씬 클 것으로 추정된다.

40대, 50대, 50대 이상은 결혼 때문에 일을 그만둔 비율이 각각 56.9%, 69.1%, 68.9%에 달했고 임신·출산으로 사직한 비율은 29.8%, 17.9%, 14.8%였다.

40대 이상 여성의 경우 결혼을 계기로 이미 직장을 그만둔 경우가 많아 임신·출산으로 인한 사직 비율이 낮고 이보다 젊은 기혼 여성의 경우 결혼 후 일을 지속하다가 임신·출산으로 직장 생활을 이어가지 못하는 사례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고 통계청 관계자는 분석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30대 초 女취업자 비중 뚝…임신·출산 탓에 ‘경단녀’
    • 입력 2017-11-20 13:46:59
    • 수정2017-11-20 13:51:54
    경제
젊은 여성들이 임신·출산 때문에 직장을 그만두면서 30대 초반에서 여성 취업자 비중이 뚝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20% 표본조사 자료를 분석해 20일 공개한 '생애주기별 주요 특성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세 이상 기혼 여성이 일을 그만둔 이유는 결혼이 58.5%로 가장 높았고 임신·출산이 28.4%였다.

취학 전 자녀 양육이 7.2%, 부모 등 가족 돌봄 3.8%, 취학 자녀교육이 2.1%로 뒤를 이었다.

경력단절 여성(일명 경단녀)이 된 사유를 연령대별로 구분해보면 50대 이상은 결혼을 이유로 직장을 그만둔 경우가 많았고 젊은 층은 임신과 출산으로 인한 사직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20대는 결혼이 51.3%, 임신·출산이 42.9%였고 30대는 결혼이 43.0%, 임신·출산이 45.1%였다.

결혼을 계기로 일을 그만둔 여성 가운데 임신·출산을 미리 염두에 둔 사직이 포함된다고 보면 임신과 출산이 사직에 미친 실제 영향력은 훨씬 클 것으로 추정된다.

40대, 50대, 50대 이상은 결혼 때문에 일을 그만둔 비율이 각각 56.9%, 69.1%, 68.9%에 달했고 임신·출산으로 사직한 비율은 29.8%, 17.9%, 14.8%였다.

40대 이상 여성의 경우 결혼을 계기로 이미 직장을 그만둔 경우가 많아 임신·출산으로 인한 사직 비율이 낮고 이보다 젊은 기혼 여성의 경우 결혼 후 일을 지속하다가 임신·출산으로 직장 생활을 이어가지 못하는 사례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고 통계청 관계자는 분석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