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고장·충돌·좌초…낚싯배 안전 빨간불
입력 2017.12.05 (07:32) 수정 2017.12.05 (07:53) 뉴스광장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멘트>
전국에서 낚시 열풍이 불면서 낚싯배 이용객도 점차 늘어나고 있는데요.
그만큼 사고와 구조요청도 급증하고 있어 낚싯배 안전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보도에 김지숙 기자입니다.
<리포트>
인천 영흥도의 낚싯배 영업점입니다.
탁 트인 바다에서 짜릿한 손맛을 느끼고 싶은 낚시꾼들을 확보하기 위해 경쟁적으로 영업을 해왔습니다.
이런 곳이 영흥도에만 15곳, 인천에만 270여 곳에 이릅니다.
<녹취> 영흥도 낚싯배 영업 점주 : "주말에 여기 오는 손님으로 한 7~800명 되죠. 많을땐 당일만 한 700명, 성수기때는 그래요."
특히 각종 경품이 걸린 이벤트가 열리는 날에 낚싯배를 타려면 자리 추첨까지 해야 할 정돕니다.
바다낚시 인기는 수치로도 확인됩니다.
2013년 195만명 선이었던 낚싯배 이용객은 지난해 342만명 수준으로 3년 만에 75%이상 늘었습니다.
그만큼 사고나 구조요청도 급증했습니다.
2013년엔 77건에 불과했던 낚싯배 사고 건수는 지난해 208건으로 급증했습니다.
사고원인별로 보면 기관고장이 552건으로 가장 많고 충돌, 좌초, 침몰, 화재 등 순입니다.
이런 추세를 감안하면 낚싯배 안전관리에는 이미 빨간불이 들어왔습니다.
<녹취> 공길영(한국해양대학교 해양학부 교수) : "낚시어선을 좀 더, 조금 더 크게 하고 안전 규칙을 강화해 가지고 안전 부분에 대해서 좀 강화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그런 판단을 해 봅니다."
특히 이번 사고를 계기로 영업시간이나 운항 횟수 제한 등 낚싯배 관리시스템을 전면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전국에서 낚시 열풍이 불면서 낚싯배 이용객도 점차 늘어나고 있는데요.
그만큼 사고와 구조요청도 급증하고 있어 낚싯배 안전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보도에 김지숙 기자입니다.
<리포트>
인천 영흥도의 낚싯배 영업점입니다.
탁 트인 바다에서 짜릿한 손맛을 느끼고 싶은 낚시꾼들을 확보하기 위해 경쟁적으로 영업을 해왔습니다.
이런 곳이 영흥도에만 15곳, 인천에만 270여 곳에 이릅니다.
<녹취> 영흥도 낚싯배 영업 점주 : "주말에 여기 오는 손님으로 한 7~800명 되죠. 많을땐 당일만 한 700명, 성수기때는 그래요."
특히 각종 경품이 걸린 이벤트가 열리는 날에 낚싯배를 타려면 자리 추첨까지 해야 할 정돕니다.
바다낚시 인기는 수치로도 확인됩니다.
2013년 195만명 선이었던 낚싯배 이용객은 지난해 342만명 수준으로 3년 만에 75%이상 늘었습니다.
그만큼 사고나 구조요청도 급증했습니다.
2013년엔 77건에 불과했던 낚싯배 사고 건수는 지난해 208건으로 급증했습니다.
사고원인별로 보면 기관고장이 552건으로 가장 많고 충돌, 좌초, 침몰, 화재 등 순입니다.
이런 추세를 감안하면 낚싯배 안전관리에는 이미 빨간불이 들어왔습니다.
<녹취> 공길영(한국해양대학교 해양학부 교수) : "낚시어선을 좀 더, 조금 더 크게 하고 안전 규칙을 강화해 가지고 안전 부분에 대해서 좀 강화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그런 판단을 해 봅니다."
특히 이번 사고를 계기로 영업시간이나 운항 횟수 제한 등 낚싯배 관리시스템을 전면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 고장·충돌·좌초…낚싯배 안전 빨간불
-
- 입력 2017-12-05 07:35:20
- 수정2017-12-05 07:53:32

<앵커 멘트>
전국에서 낚시 열풍이 불면서 낚싯배 이용객도 점차 늘어나고 있는데요.
그만큼 사고와 구조요청도 급증하고 있어 낚싯배 안전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보도에 김지숙 기자입니다.
<리포트>
인천 영흥도의 낚싯배 영업점입니다.
탁 트인 바다에서 짜릿한 손맛을 느끼고 싶은 낚시꾼들을 확보하기 위해 경쟁적으로 영업을 해왔습니다.
이런 곳이 영흥도에만 15곳, 인천에만 270여 곳에 이릅니다.
<녹취> 영흥도 낚싯배 영업 점주 : "주말에 여기 오는 손님으로 한 7~800명 되죠. 많을땐 당일만 한 700명, 성수기때는 그래요."
특히 각종 경품이 걸린 이벤트가 열리는 날에 낚싯배를 타려면 자리 추첨까지 해야 할 정돕니다.
바다낚시 인기는 수치로도 확인됩니다.
2013년 195만명 선이었던 낚싯배 이용객은 지난해 342만명 수준으로 3년 만에 75%이상 늘었습니다.
그만큼 사고나 구조요청도 급증했습니다.
2013년엔 77건에 불과했던 낚싯배 사고 건수는 지난해 208건으로 급증했습니다.
사고원인별로 보면 기관고장이 552건으로 가장 많고 충돌, 좌초, 침몰, 화재 등 순입니다.
이런 추세를 감안하면 낚싯배 안전관리에는 이미 빨간불이 들어왔습니다.
<녹취> 공길영(한국해양대학교 해양학부 교수) : "낚시어선을 좀 더, 조금 더 크게 하고 안전 규칙을 강화해 가지고 안전 부분에 대해서 좀 강화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그런 판단을 해 봅니다."
특히 이번 사고를 계기로 영업시간이나 운항 횟수 제한 등 낚싯배 관리시스템을 전면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전국에서 낚시 열풍이 불면서 낚싯배 이용객도 점차 늘어나고 있는데요.
그만큼 사고와 구조요청도 급증하고 있어 낚싯배 안전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보도에 김지숙 기자입니다.
<리포트>
인천 영흥도의 낚싯배 영업점입니다.
탁 트인 바다에서 짜릿한 손맛을 느끼고 싶은 낚시꾼들을 확보하기 위해 경쟁적으로 영업을 해왔습니다.
이런 곳이 영흥도에만 15곳, 인천에만 270여 곳에 이릅니다.
<녹취> 영흥도 낚싯배 영업 점주 : "주말에 여기 오는 손님으로 한 7~800명 되죠. 많을땐 당일만 한 700명, 성수기때는 그래요."
특히 각종 경품이 걸린 이벤트가 열리는 날에 낚싯배를 타려면 자리 추첨까지 해야 할 정돕니다.
바다낚시 인기는 수치로도 확인됩니다.
2013년 195만명 선이었던 낚싯배 이용객은 지난해 342만명 수준으로 3년 만에 75%이상 늘었습니다.
그만큼 사고나 구조요청도 급증했습니다.
2013년엔 77건에 불과했던 낚싯배 사고 건수는 지난해 208건으로 급증했습니다.
사고원인별로 보면 기관고장이 552건으로 가장 많고 충돌, 좌초, 침몰, 화재 등 순입니다.
이런 추세를 감안하면 낚싯배 안전관리에는 이미 빨간불이 들어왔습니다.
<녹취> 공길영(한국해양대학교 해양학부 교수) : "낚시어선을 좀 더, 조금 더 크게 하고 안전 규칙을 강화해 가지고 안전 부분에 대해서 좀 강화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그런 판단을 해 봅니다."
특히 이번 사고를 계기로 영업시간이나 운항 횟수 제한 등 낚싯배 관리시스템을 전면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